오늘은 레드스타킹 독서 모임이 있는 날입니다. 선정 도서는 케이트 본스타인(Kate Bornstein)젠더 무법자(바다출판사, 2015)입니다. 케이트 본스타인은 미국의 트랜스페미니즘(Transfeminism) 운동가입니다. 그녀는 mtf(male to female) 트랜스젠더입니다. 태어날 때 의사가 지정한 성별은 남성이었지만 성전환 수술로 여성의 삶을 살고 있습니다. 그녀는 또 레즈비언입니다. 그래서 LGBT(레즈비언, 게이, 양성애자, 트랜스젠더의 약자) 운동에도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있습니다.

 

오늘 모임은 젠더 무법자를 같이 읽어보는 첫 번째 모임입니다. 모임 전에 3장까지 읽었습니다. 1(‘우선 말해 둘 것’)은 저자가 트랜스젠더 스타일, 즉 본인의 글쓰기 방식을 독자에게 전달하는 장입니다. ‘서론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저자는 자신의 정체성을 표현하는 것을 패션과 같다고 정의합니다. 그녀는 유동하는 정체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따라서 생물학적 성별인 남성여성이라는 이분법적 성적 규범에 억지로 들어가려고 하지 않기 위해 그녀는 콜라주(collage) 형식의 글을 선보입니다.

 

 

나는 패션을 선언이나 성명(聲明)으로 여긴다. 그러니까 정체성이 중요한 문제인 한 패션도 계속 중요할 거다. 내 정체성과 패션은 콜라주로 설명될 수도 있다. 그 왜, 여기서 조금 저기서 또 조금 가져다 합치는 것? 일종의 잘라다 붙이기다. (119, 20)

 

 

다양성을 표현할 수 있는 유동성을 반영한 표현 방식이 콜라주입니다. 그래서 그녀는 젠더와 여성 운동에 대한 자신의 솔직한 생각, 트랜스젠더인 자신을 바라보는 타인의 시선 등을 이것저것 가져다 글을 씁니다.

 

2(‘씨앗 추려내기’)태어나자마자 아기에게 성별을 지정하는 문화를 날카롭게 비판한 장입니다. 저자는 너는 '남자/여자'야라고 지정하고 강요하는 것에 대해 의문을 제기합니다.

 

 

문화가 너는 이러이러한 존재다.”고 말할 때 젠더가 지정된다. 거의 대부분 문화에서 우리는 출생 시에 성별을 지정받는다. 한 번 젠더를 지정받으면 당신은 바로 그 젠더다. 젠더를 지정해 주는 것은 대부분의 경우 의사이며, 이 사실은 젠더가 얼마나 철저하게 의료화되었는지를 보여 준다. (248)

 

 

젠더를 지정하게 만드는 요인은 무척 많습니다. 특히 생물학적 성별을 받아들이기 힘든 어린아이들은 또래 집단의 압박을 받으면 자신의 젠더 정체성에 혼란을 느낍니다. 학교는 젠더라는 규칙이 지배하는 사회화 기관입니다.

 

인형남(가명)은 인형을 가지고 노는 것을 좋아하는 남자아이입니다. 형남이는 인형은 여자아이의 전유물이라는 인식을 하고 있지 않습니다. 그러나 학교에 다니는 남자아이들은 인형보다는 장난감 로봇을 더 선호합니다. 형남이는 인형도 장난감 로봇 못지않게 재미있는 장난감이라고 또래 남자아이들에게 친절하게 설명합니다. 하지만 남자아이들은 인형을 가지고 노는 형남이를 놀립니다. “남자가 인형을 가지고 놀다니. 너 여자구나.” 남자아이들은 인형을 가지고 노는 형남이의 모습이 생소해서 그와 친하게 지내려고 하지 않습니다. 그와 어울리면 자신도 여자처럼 행동하게 될까 봐 두려웠던 거죠.

 

형남이는 남자라는 성별이 지정된 또래 친구들과 어울리지 못했습니다. 느는 남자아이들이 자신을 놀렸을 때 했던 말을 잊지 못했습니다. 너는 여자야.” 그 말이 자꾸만 걸렸던 형남이는 자신의 젠더 정체성을 의심합니다. 자신을 남자아이 모습을 한 여자라는 생각을 하기 시작합니다. 외로운 형남이는 인형 놀이를 좋아하는 여자아이들에게 다가가기로 결심합니다. 그러나 여자아이들의 반응도 차가웠습니다. 여자아이들은 인형을 좋아하는 남자아이를 받아들이기 힘들었던 거죠. 형남이는 매일 학교 가기가 두려웠습니다. 학교 친구들은 형남이를 남자도 아닌 여자도 아닌 성별이 없는 아이로 대했기 때문입니다.

 

본스타인은 3(‘힘 되찾기’)에서 성별 없이 존재하는 것의 두려움을 느껴봤다고 고백합니다. 그리고 어린 시절의 공포를 추적하여 자신(트랜스젠더)을 두렵게 만든 젠더 규칙의 영향력을 분석합니다. 비트렌스섹슈얼은 한 번 정해진 젠더는 바꿀 수 없다고 생각합니다. 그래서 자신이 부여받은 젠더에 맞는 규칙들을 따릅니다. 그리하여 비트랜스섹슈얼은 남자라면 남자답게”, “여자라면 여자답게 행동하는 것이죠. 하지만 트랜스젠더는 이 젠더 규칙에 순응하지 않습니다. 그들은 젠더 규칙을 거부합니다. 본스타인은 트랜스젠더를 젠더 무법자라고 부릅니다.

 

2장에는 트랜스섹슈얼에 반대하는 문화주의 페미니즘(Cultural Feminism)에 대한 내용이 나옵니다.

 

 

2물결 페미니즘(1960년대 말에서 1980년대 초까지 융성)의 한 갈래로, 급진 페미니즘의 영향을 받았다. 여성의 본질(nature) 혹은 정수(essence)를 재평가하고 회복해야 한다고 주장하였으며 생물학에 기반한 남성과 여성의 본질적 차이, 성차를 중요하게 여긴다.

 

(‘문화 페미니즘을 설명한 옮긴이의 각주, 285)

 

 

문화주의 페미니스트들은 여성 운동과 LGBT 운동을 병행하는 본스타인을 비판할 때마다 이런 말을 자주 했습니다. 당신이 아무리 여성이라고 말해도 죽는 날까지 당신은 남자로 남을 뿐이다.” 이 말, 어디서 많이 들어본 것 같죠? 문화주의 페미니즘은 ‘TERF(Trans-Exclusionary Radical Feminism)’와 유사한 진영입니다. 국내에서는 ‘TERF’를 지지하는 페미니스트를 가리켜 터프라고 부릅니다.

 

본스타인은 문화주의 페미니스트의 트랜스섹슈얼 공격을 또 다른 젠더 수호라고 비판합니다. 그녀는 문화주의 페미니스트들이 여성성의 본질을 강조하기 위해 젠더 규범을 이용하여 트랜스섹슈얼을 공격한다고 주장합니다. 2장의 핵심 내용은 트랜스페미니즘 대 문화주의 페미니즘간의 대립 양상입니다. 혹시 제 글을 보고 오해를 할까 봐 첨언합니다. 문화주의 페미니즘이 래디컬 페미니즘의 한 분류라고 해서 모든 래디컬 페미니스트들이 터프처럼 트랜스젠더를 공격한다고 생각하면 곤란합니다. 문화주의 페미니즘오늘 독서모임의 핫 이슈가 될 것으로 조심스레 예상해봅니다. 저는 트랜스섹슈얼을 인정하지 않는 문화주의 페미니스트에 대한 레드스타킹 회원님들의 생각이 무척 궁금합니다. 오늘 이 주제로 대화를 나누게 된다면 후기에서 자세히 밝히겠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