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마녀사냥은 무지와 군중심리, 광기를 본질로 한다. 전염병, 기근 등 갑작스러운 재앙의 원인에 대해 당시 지식의 수준으로는 설명할 수 없었다. 국가는 흉흉해진 민심을 통제하기 위한 방책이 필요했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교황은 이단 심문관들에게 마녀재판을 주관하는 권한을 부여했다. 마녀재판으로 희생된 마녀들은 대개 평범한 여성들이었다. 재난이 닥쳐오면 마녀의 저주 때문이라 하여 무고한 여성들이 마녀의 누명을 쓰고 억울하게 죽어갔다.
* 주경철 《마녀 : 서구 문명은 왜 마녀를 필요로 했는가》 (생각의 힘, 2016)
* 양태자 《중세의 잔혹사 마녀사냥》 (이랑, 2015)
* [절판] 이케가미 슈운이치[슌이치] 《마녀와 성녀》 (창해, 2005)
* 제프리 버튼 러셀 《마녀의 문화사》 (르네상스, 2004)
* [절판] 제프리 버튼 러셀 《악마의 문화사》 (황금가지, 1999)
* 장 미셸 살망 《사탄과 약혼한 마녀》 (시공사, 1995)
마녀재판의 희생자 가운데는 여성뿐만 아니라 남성도 적지 않았다. 현대에 와서 ‘마녀사냥’은 대중의 잘못된 믿음을 악용해 무고한 사람을 죄인으로 만들거나 여론몰이 등으로 희생시키는 상황을 의미하는 단어로 사용된다.
* 쿠사노 다쿠미 《도해 마술의 역사》 (AK커뮤니케이션즈, 2016)
* 쿠사노 다쿠미 《도해 흑마술》 (AK커뮤니케이션즈, 2015)
* 하니 레이 《도해 근대마술》 (AK커뮤니케이션즈, 2012)
‘악마는 무엇인가?’, ‘마녀는 존재하는가?’라는 문제는 유럽 중세 및 르네상스의 오랜 종교적 질문이었다. 마녀재판이 절정기에 달했던 시기는 새로운 인문주의적 인간성이 성립된 르네상스 시대였다. 초기 기독교는 선과 악, 신과 악마를 구분 짓지 않았다. 신은 전지전능한 존재다. 신의 신비로운 힘을 느끼는 영적 체험은 ‘신의 은총’이다. 기독교가 말하는 인간은 오직 신의 은총으로 구원받을 수 있는 타락한 존재다. 즉 인간은 자신의 구원을 위해 어떤 능동적인 역할도 할 수 없다. 마술을 이용해 기적과 저주를 내리는 마법사들이 활동하게 되자 기독교는 마술을 이단이란 이름 아래 탄압하기 시작했다.
* 야콥 슈프랭거, 하인리히 크라머 《마녀를 심판하는 망치 : 말레우스 말레피카룸》
(우물이있는집, 2017)
말레우스 말레피카룸(Malleus Maleficarum)으로 알려진 《마녀를 심판하는 망치》는 마녀가 존재하는 이유와 그들을 고문하고 심문하는 방법이 기술된 책이다. 이 책은 전 유럽에 마녀사냥의 광기가 번지도록 기름을 붓는 역할을 하게 된다. 이 책을 쓴 두 명의 저자는 종교 재판소의 이단 심문관으로 활동한 성직자다. 야콥 슈프랭거(Jacob Sprenger)는 독일 출신, 하인리히 크라머(Heinrich Kramer)는 프랑스 출신이다. 어떤 학자는 《마녀를 심판하는 망치》의 정당성을 높이기 위해 크라머가 명망 있는 이단 심문관 야콥 슈프랭거의 이름을 가져왔다고 주장한다. 이 책이 나오기 전까지 독일 가톨릭은 마법의 힘과 마녀의 존재를 믿지 않았다. 그런데 슈프랭거와 크라머는 마녀를 부정하는 성직자들의 입장에 반대했고, 마법은 ‘악마가 가진 초자연적인 힘’이며 마녀는 이 악마의 힘을 이용하는 사악한 존재로 규정했다. 자신들의 ‘마녀론’을 합리화하기 위해 토마스 아퀴나스(Thomas Aquinas) 같은 권위 있는 종교인들의 글을 인용하기도 했다. 전문가의 의견에 호소하는 ‘권위에 의거하는 논증’은 마법의 단죄를 정당한 것으로 보이게 했다. 그러나 《마녀를 심판하는 망치》는 이성적인 판단과 근거가 빈약한 책이다. 이케가미 슌이치(池上俊一)는 《마녀를 심판하는 망치》의 내용에 ‘여성에 대한 강박적인 두려움’을 확인할 수 있다고 말했다.
* 니시무라 유코 《그림과 사진으로 풀어보는 마녀의 약초상자》
(AK커뮤니케이션즈, 2017)
마녀재판이 유럽 전역을 휩쓸기 전까지 마녀는 마을 외진 곳에 혼자 살면서 민간 처방이나 주술을 행하던 여성 정도로 인식되었다. 《그림과 사진으로 풀어보는 마녀의 약초상자》는 약을 제조하는 법, 약초의 효능에 대한 지식을 습득한 ‘현명한 여인들’이 마녀로 오해받은 이유를 설명한다. 이단 심문관들은 ‘현명한 여인들’이 만든 약을 ‘마녀의 연고’라고 판단했고, 이 연고를 몸에 바르면 동물로 변신하거나 빗자루를 타면서 하늘을 날 수 있다고 주장했다. 그러나 이단 심문관들은 무고한 여인들을 추궁했으나 끝내 ‘마녀의 연고’ 재료를 알아내지 못했다. 심지어 산파도 마녀사냥의 주요 표적이 되었다. 성경 ‘창세기’ 편에 따르면 신은 낙원에서 추방당한 하와(Ḥawwāh)에게 ‘출산의 고통’을 주었다. 산파는 산모의 출산을 돕는 일을 하는데, 이단 심문관은 성경 구절을 근거로 산파를 ‘신이 내린 출산의 고통을 부정하는 자’로 규정했다.
* 시부사와 다쓰히코 《흑마술 수첩》 (어문학사, 2017)
* 쥘 미슐레 《마녀》 (봄아필, 2012)
* 폴 카루스 《악마의 탄생》 (청년정신, 2015)
* [구판, 절판] 폴 카루스 《악마의 역사》 (더불어책, 2003)
프랑스의 역사가 쥘 미슐레(Jules Michelet)와 독일의 과학철학자 폴 카루스(Paul Carus)는 '민중을 현혹하는 마녀(악마)'라는 인식에 반론을 제기한다. 쥘 미슐레는 마녀가 ‘민중의 몸과 마음을 치료하는 의사’였다고 주장했고, 폴 카루스는 이단으로 규정 받아 종교로부터 탄압받은 지식인들이 세상을 진보시키는 데 큰 역할을 했다고 봤다. 마녀 집회에 참여하는 것이야말로 민중의 목소리를 가까이 들을 수 있는 가장 중요한 기회였다. 이단 심문관들은 마녀 집회를 ‘신과 교회를 부정하는 이단세력들의 모임’, ‘악마들의 문란한 축제’로 인식했다. 그러나 마녀 집회를 바라보는 그들의 생각은 과도한 상상력이 덧붙여진 편견이다. 마녀 집회는 ‘민중의 축제’였으며 그것이 종교의 힘에 철저히 지키려는 지배계급의 눈에는 자신들의 권위를 위협하고 부정하는 행위로 보였다. 오컬트에 관심 많은 일본의 작가 시부사와 다쓰히코(澁澤龍彥)는 마녀 집회에 참여한 민중들이 중세 계급사회와 종교적 질서를 거부하고, 성(sex)의 자유를 외친 아나키스트라고 주장한다.
악마와 마녀는 인간의 의지와 관계없이 존재하는 것인가, 아니면 인간의 어두운 내면이 반영돼 의인화한 것인가라는 주제는 여전히 논란으로 남아 있다. 과학에 대한 믿음이 절정에 달한 지금도 사람들은 ‘마법’과 ‘악마의 존재’에 관심을 가진다. 마법은 암울한 현실에 얽매인 인간의 ‘현실 초월의 욕구’를 충족시켜준다. 반면 현실 지향적인 지식은 때로 이성을 마비시키는 가장 강력한 독이 되기도 한다. 그 독을 품은 지식인 및 종교인들은 ‘악마에 관한 지식’을 이용하여 마녀사냥을 주도했고 막강한 힘을 과시했다. 그들이야말로 민중을 못살게 군 진짜 악마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