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명의 기억 - 고롱고사국립공원에서 펼쳐진 자연과 인간, 그 아름다운 공존의 기록
에드워드 오스본 윌슨 지음, 최재천.장수진 옮김 / 반니 / 2016년 6월
평점 :
절판


 

 

모잠비크의 고롱고사(Gorongosa) 국립공원은 성경 속 대홍수 때 노아의 방주가 도착한 땅으로 알려진 곳이다. 실제 노아의 방주가 도착한 곳이 고롱고사인지 아닌지는 불분명하다. 하지만 이런 이야기가 나올 만큼 고롱고사가 태고의 아름다움을 간직한 낙원이었다는 점은 분명하다. 하지만 고롱고사의 숲은 16년 동안 일어난 내전에 휘말리면서 처참하게 훼손됐다. 군인들이 고기를 얻고자 야생동물을 마구잡이로 잡았다. 이렇게 황폐해진 이곳 생태계를 살리기 위해 미국인 자선사업가 그레고리 카를 비롯한 환경운동가들은 초식 동물들을 이주시켜 이들이 안전하게 번식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육식 동물들도 천천히 늘려나가는 등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어찌 보면 ‘현대판 노아의 방주’를 시도한 셈이다. 이러한 노력 덕택에 코끼리와 하마를 시작으로 버펄로, 사자 등 야생 동물들이 점차 고롱고사에서 자리를 잡아가고 있다.

 

《생명의 기억》(A Window on Eternity)은 고롱고사의 생태계를 회복하는 데 총력을 기울이는 사람들의 이야기를 담은 기록이다. 세계적인 생물학자 에드워드 오스본 윌슨은 고령과 비행기 트라우마에 불구하고 고롱고사의 땅을 밟는다. 그곳에서 노학자는 야생이 녹아 흐르는 자연의 대지를 관찰한다.

 

세상의 모든 생명은 자신이 태어나고 자란 곳에 있을 때 가장 빛이 난다. 고롱고사 국립공원에서 만난 동물들은 우리가 도시의 동물원에서 보던 동물들과 완전히 달랐다. 사자의 위엄 있는 모습, 사체에 모여 살점을 뜯어먹는 독수리들, 황새의 우아한 날갯짓 등은 진정한 생명력을 가진 동물들에게서만 볼 수 있다. 인간들의 눈요기를 위해 차고 딱딱한 콘크리트 바닥에서 사는 동물원 동물들의 피곤하고 생기 없는 모습이 새삼 안쓰러워진다. 일생을 비좁은 동물원의 ‘감옥’에 갇혀 사는 동물들과 달리 숲에서 있는 그대로의 야성을 발산하는 동물들은 경이로움을 넘어 생명에 대한 외경심을 불러일으킨다.

 

생태계를 흔히 약육강식, 적자생존의 세계라고 말하지만, 그 속에는 오묘한 조화와 조물주의 섭리가 배어 있다. 이 조화로운 섭리가 흐트러지면 생태계 전체가 와르르 무너질 수 있기 때문이다. 생태계를 구성하는 동물들의 숫자는 먹고 먹히는 관계를 통해 조절된다. 어떤 지역의 생물의 종류와 수가 일정하게 유지되는 것을 생태계의 평형이라고 한다. 먹이 연쇄의 한 단계를 이루는 어떤 생물의 수가 많이 줄어들게 되면, 생태계 전체에 영향을 준다. 먹이사슬의 고리 하나가 빠져나가면서 연쇄적인 붕괴가 시작된다. 내전이 끝났을 때 고롱고사의 평원을 누비던 사슴과 버펄로의 개체 수가 줄어들자 사자와 치타 등 대형 포식자도 자취를 감췄다.

 

곤충 역시 생태계를 연결하는 중요한 존재다. 곤충이 살아나지 않으면 생태계도 살아남지 못한다. 죽은 동물의 사체는 미생물에 의해서 천천히 부패하다 토양으로 사라지며 다시 자연 일부가 된다. 그런데 미생물의 역할만으로는 이러한 생태계 순환 과정이 더디게 이루어진다. 이 과정에서 사체 분해를 빠르게 도와주는 청소부 곤충들이 있다. 이들은 사체를 먹으며 잘게 부수어 미생물의 번식을 빠르게 만들고 동물의 배설물도 먹어 치우며 생태계 전반에서 순환 역할을 하고 있다. 그들이 배설물, 부패한 시체 등을 먹는다는 이유로 더럽다고 느낄 수 있지만 명백한 생태계의 순환의 일꾼들이다.

 

개미 연구 전공자답게 윌슨의 개미 사랑은 여전하다. 윌슨은 침으로 자신의 손가락 살을 찌른 개미 한 마리가 다치지 않게 조심스레 떨어뜨린다. 그리고 줄지어 가는 개미 떼의 행렬을 밟지 않는다. 연구 대상에 대한 애정이 아니라 자연 그 자체에 대한 경외심이리라. 재미있는 사실은 개미를 좋아하는 학자가 거미 공포증을 느낀다.

 

윌슨은 인간의 손길이 닿지 않은 자연보호 구역은 절반이라도 그대로 두자고 제안한다. 인류는 자신이 자연의 주인이라고 자처하면서 끝없는 자연정복과 자기중심적 약탈을 정당화해왔고 이러한 과정을 진보로 규정했다. 윌슨은 ‘진보’라는 열매 속에 든 독성에 대해 주의를 환기한다. 인류의 탐욕에 의한 끝없는 자연 개발은 자연은 물론 인류의 존속까지 위협한다. 우리나라가 생물 종(種) 다양성이 풍부한 아프리카처럼 야생동물을 자연 상태에서 쉽게 볼 수 있는 국립공원이나 사설 보호구역을 만드는 것은 현실적으로 어렵다. 하지만 인간만의 지구가 아니라 모든 생물이 공존하는 지구임을 깨달아야 한다. 산업화, 도시화와 함께 자연에 대한 감성이 무디어지면서 자연이 얼마나 빠른 속도로 파괴되고 있는지를 느낄 수 없게 됐다. 세상에 존재하는 그 어떤 생물이 ‘더 소중하거나, 소중하지 않다’라고 하는 것은 자연의 이치에서는 있을 수 없는 일이다. 모두가 그 존재의 가치와 의미를 지닌다. 만약 더 소중한 생명체가 있다고 한다면 그것은 단지 그렇게 판단하는 인간의 생각 속에만 존재한다.

 

 

 

 

 

※ 깜놀주의!

 

* 50쪽 : 동물 사체를 뜯어먹는 독수리 떼들의 모습을 찍은 사진

* 77쪽, 78쪽, 80쪽, 83쪽 : 거미를 클로즈업한 사진, 거미공포증이 있는 독자는 주의할 것.

* 86쪽, 96쪽, 100쪽, 103쪽, 124쪽, 143쪽 : 개미를 클로즈업한 사진

* 130쪽 : 작은 개구리를 잡아먹는 거미를 클로즈업한 사진

* 141쪽 : 밤나방 애벌레를 클로즈업한 사진

 

 

 


댓글(6) 먼댓글(0) 좋아요(2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syo 2016-09-08 17:25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친절한 cyrus님. 사진 있는 책마다 등장하는 ˝깜놀주의˝ 코너.

cyrus 2016-09-09 09:15   좋아요 0 | URL
제가 곤충 사진을 무서워해요. 밤에 혼자 이 책을 보다가 거미 사진에 깜짝 놀랐습니다. ^^;;

yureka01 2016-09-08 22:22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아고 아프리카가서 사진 찍고 싶습니다..ㄷㄷㄷㄷ6^..

cyrus 2016-09-09 09:16   좋아요 0 | URL
그 꿈 꼭 이루셔서 사진집을 내셨으면 합니다. ^^

페크pek0501 2016-09-10 12:15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저 같은 사람은 조심해야겠군요. 티브이의 동물의 왕국 같은 프로를 보면
잔인하게 뜯어먹는 장면이 나오는데 저는 다른 데로 고개를 돌리게 되더라고요.
기다렸다가 다시 봅니다.ㅋ

cyrus 2016-09-10 21:13   좋아요 0 | URL
피 튀기는 장면이 나오는 무서운 영화를 못 보는 사람도 있어요. 끔찍한 사진이나 장면 한 번 보고, 그게 머릿속에 남으면 후유증이 오래 가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