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문/사회/과학/예술 주목 신간 작성 후 본 글에 먼댓글 남겨 주세요.
1. 정치심리학 / 데이비드 패트릭 호튼 / 사람의 무늬
'정치심리학'이라는 학문이 낯설다. '정치심리학'으로 검색하면 관련도서가 이번에 출간된 책과 2004년에 김도종이라는 분이 동명 제목으로 편찬한 교재 한 권 뿐이다. 모 포털 사이트 백과사전에서는 정치심리학을 인간의 정치행동을 인지, 정보, 가치, 신념 등의 심리적 요인으로 해설하는 과학으로 설명하고 있다. 국내에는 생소하지만 사회 심리학과 정치학의 학제 분야로 이론의 구축방법과 문제의식에 있어서는 사회 심리학과 동일하지만 정치학과 연구대상을 공유하는 분야로 보고 있다. 인간의 의식이나 행동은 그 사회의 문화에 의해 규정되는데 마찬가지로 정치의식이나 행동을 규정하는 개념을 정치문화로 설명할 수 있다. 정치과정에 질서와 의미를 부여하고 정치체계 내의 행동을 지배하는 원인을 다양한 사례를 통해서 알 수 있다는 점에서 이 책이 흥미롭게 다가온다.
2. 싸우는 인문학 / 서동욱 / 반비
우리나라 인문학 열풍은 ‘풍요 속의 빈곤’이다. 인문학의 필요성은 자각하지만, 사회가 그만큼 따라주지 못하고 있다. 저조한 취업률을 기록한 인문학과는 대학 내 미운 오리 새끼로 전락했다. 인문학을 전공하는 학생 중 과반수는 전공하는 것을 심각하게 고민하고 있다. 기업이 인문학을 사랑한다고 해도 모든 인문학도를 사랑할 수 없는 게 현실이다. 기업이 인문학에 관심을 가지는 모습은 환영할 만한 일이다. 무엇보다도 창의적 인재의 중요성이 강조될수록 기업은 인문학을 많이 찾기 때문이다. 기업 환경이 기존 정보산업을 넘어 창조산업 중심으로 바뀌며 효율성 중심의 경영이 가지는 한계를 극복하기 위한 대안을 인문학에서 찾고 있다. 하지만 인문학이 취업 전선에 죽 쑤고, 기업에게 동냥하듯이 의지한다고 해서 인문학도들이 회생할 수 있는 돌파구가 있을지 의문이다. 기업의 옷을 입은 인문학은 '실용적 학문'으로 전락할 가능성이 있다. '삶 그리고 인간에 대한 이해'를 요구하는 진짜 인문학이 필요하다. 국내 인문학자들은 현재 우리나라 인문학의 현주소를 어떻게 바라보고 있으며 그들의 냉철한 분석이 궁금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