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조선 풍속사 1 - 조선 사람들, 단원의 그림이 되다 ㅣ 푸른역사 조선 풍속사 1
강명관 지음 / 푸른역사 / 2010년 6월
평점 :
막장으로 치닫는 교권의 현실
2개월 전, 어느 학교의 교사가 거짓말을 했다고 의심이 되는 학생을 발로 가격을 하는 장면이 담은 폭행 수준의 체벌 동영상이 공개되어 사회적으로 물의를 빚었다. 학생에게 폭행을 가한 교사는 '손바닥으로 한번 맞으면 쓰러진다'는 의미로 학생들 사이에서는 ‘오장풍’이란 별명으로 불릴 정도로 체벌을 잘 하는 교사로 알려져 있었다. 이 동영상 한 편으로 인해서 학생 체벌의 필요성에 대한 논란이 제기되었다. 논란을 종식시키기 위해서 이번에 새로 선출된 곽노현 교육감은 서울 내 모든 학교에 체벌을 전면 금지하는 방안을 추진하기에 이른다. 그리고 일회성 체벌로 인해서 해임 처분이 없었던 전례를 뒤엎고 교육청 징계위원은 오장풍 교사를 해임 처리하기로 결정했다. 일회성의 체벌을 이유로 교단을 떠나야 한다는 높은 수준의 징계를 내린 점은 가혹할 수도 있다. 그러나 교사가 피해 학생에게 가한 체벌 수준은 교사로서의 도가 지나친 것이었기에 해임 처리는 당연한 것이었다.
오장풍 교사 문제는 이렇게 일단락되었지만 교사들의 심각한 체벌 문제는 여기저기서 시한폭탄처럼 한 개씩 폭발하고 있다. 어느 학교의 교장이 학생들의 복장 불량을 검사하는 교사의 행동에 책임을 물어 학생들이 보는 앞에서 그 교사에게 엉덩이를 체벌한 사건이 발생하기도 했다. 그 전에도 발생했던 일이지만 부모가 교사를 폭행하는 사건도 간혹 뉴스에서 접하기도 한다. 이렇듯 교사들 입장에서는 곽 교육감의 체벌 전면 금지 정책을 반기지 않는다. 안 그래도 교권이 추락한 마당에 도리어 교권이 더 약해질까 봐 걱정한다. 심지어 몇 몇 일부의 학생들은 교육감의 정책을 빌미 삼아 교사들의 체벌에 대해 눈 까딱하지 않는다. 오히려 학생들을 체벌하려는 교사들을 이상하게 여긴다. 제자들이 잘 되기 바라는 스승의 마음이 담긴 ‘사랑의 매’는 이제 옛 말이 되어버렸다.
서당 내 분위기 = 오늘날의 교실 분위기
![](http://image.aladin.co.kr/Community/mypaper/pimg_736553166594466.jpg)
이 그림은 누구나 다 아는 김홍도의 [서당]이라는 작품이다. 옛날의 교육기관인 서당에서의 한 장면을 재미있게 그리고 있다. 이 그림을 보게 되면 쉽게 지나칠 수 없는 점은 그림 속 중앙에 배치된 울고 있는 아이의 중심으로 하는 인물들에 대한 뛰어난 묘사이다. 훈장님 앞에서 공부한 모습을 제대로 보여주지 못했는지 종아리를 맞고 난 뒤, 눈물을 훔치고 있고 주위의 학생들은 그 모습을 보고 킥킥거리며 웃고 있다. 그리고 훈장님은 울고 있는 제자를 한심하게 쳐다보고 있다. 학창 시절 때에 되돌아보면 만날 선생님께 자주 꾸중과 체벌을 감수하는 말 안 드는 친구가 교실에 한 명은 꼭 있다. 선생님에게 자주 혼나다보니 주위 친구들은 이제 그 친구가 선생님한테 혼나는 장면만 보게 되면 재미있어 하게 된다. 해를 당하지 않는 자만이 느낄 수 있는 여유라고 해야 되나? 어쨌든 그림 속 서당 안의 모습은 지금의 교실 안의 모습과 분위기가 비슷하다.
재미있게도 스승에게 체벌을 맞는 학생들의 생각도 옛날이나 지금이나 별반 다를 게 없다. 선생님에게 거하게 꾸중을 듣고 난 뒤에 자신을 혼낸 선생님에 대한 미움을 친구들 앞에서 뒷담화를 통해 표출하게 된다. 이런 일은 학창 시절에 다 있어봄직한 일들이지만 어떤 학생은 선생님에 대한 비난의 화살은 부모님에게 까지 고하기에 이른다. 대부분 정상적인 부모님들은 이런 자식을 호되게 꾸짖기 마련이다. 그러나 고슴도치가 제 새끼를 이뻐한다는 말이 있듯이 일명 ‘고슴도치 형 부모’들은 이 일을 가만히 넘어가지 않는다. 자식을 혼냈던 선생님에게 따지기 위해서 학교에까지 찾아와서 한바탕 소란을 일으킨다. 금지옥엽(金枝玉葉) 같은 제 자식이 학교 내에서 불리한 처사를 받았다는 이유로 교사에게 손찌검을 하는 부모들 대부분이 고슴도치 형 부모들이다. 어리석은 고슴도치 부모에 그 고슴도치 새끼이다. 조선 시대에도 그런 학생들이 있었던가 보다. 이덕무는 이런 고슴도치 부모와 아이가 되지 말아야 한다고 경계를 하고 있다.
스승이 엄하면 모자란 아이놈은 반드시 싫어하고 괴로워하여 자기 부형에게 이렇게
말한다.
“제 선생님은 잘 못 가르칩니다.”
그리고는 스승을 배반하고 물렁하고 속된 사람을 선생으로 삼아 따르니, 부형이 된
사람은 반드시 그 간사한 거짓말을 속속들이 살펴 호되게 꾸짖는 것이 옳다.
- 이덕무 <사소절>중에서, 『조선풍속사 1』강명관, p 273~274 -
입신양명(立身揚名)을 할 수 있는 유일한 출구, 서당
요즘 학교 수업은 어떻게 진행되는지 모르겠지만 필자가 학생이었을 때에는 대부분 선생님들의 강의는 일명 주입식 교육이었다. 분필가루들이 심하게 흩날릴 정도로 학생들에게 가르쳐야 할 내용들을 칠판 한 가득 안에 써놓고 쭉 설명을 한다거나 어떤 선생님은 수업 시간 50분 동안 내내 스탠딩 코미디언 뺨치는 입담으로 학생들에게 설명하기도 한다. 이렇다보니 평소에 학습이 저조한 학생들은 그 날 배운 내용들을 바로 이해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다. 그러나 30여 명의 학생들을 위해서 목 쉬어가면서 하루 종일 서서 가르치는 선생님들의 열정과 수고는 인정하지 않을 수가 없다.
서당에서 학습 분위기도 주입식 교육 방식과 유사하다. 훈장님이 <천자문>과 같은 한문 책 속의 구절을 학생들 앞에서 암송하면 학생들은 그 구절을 따라 읽고 외우게 된다. 시험 치는 방식도 비슷하다. 교과서 속 중요한 내용을 잘 암기하여 주관식 문제를 풀듯이 조선 시대의 시험 방식도 훈장님 앞에서 배웠던 구절들을 암송해야 하고, 답안지에 풀이를 작성해야 했다.
조선 시대 서당의 주입식 교육도 나쁘다고 말할 수는 없지만 그 당시에는 지위 상승을 위해서는 어느 정도의 한문 텍스트의 독해 및 작문 능력이 필수적이었다. 유교의 경전들만 제대로 이해하고 있으면 눈 앞에 벼슬길이 훤하였다. 그래서 서당은 과거에 응시하기를 원하는 지방 사람들에게는 입신양명할 수 있는 유일한 교육 공간이었다. 박세채가 쓴 <남계서당학규>라는 문헌에서는 서당 내에서 유교를 기본으로 하는 성리학 이외의 학문을 공부해서는 안된다고 명시하고 있다. 여기서 말하는 성리학 이외의 학문은 도가 사상이나 불교를 포함하고 있다. 오직 과거에서 벼슬을 하기 위해서는 성리학만 잘 이해하고 있으면 되었다.
수험생들이 보다 유리한 대학에 진학하기 위해서 수능 시험에서 수리와 외국어 영역의 비중을 늘게 하고 탐구 영역을 축소화시키는 최근의 교육 정책과 비교하면 지금과 같은 특정 과목에 편향하는 그릇된 교육 시스템이 옛날부터 이어져오고 있었던 셈이다. 자신의 제자들이 좋은 대학을 보내고 싶은게 선생님의 마음이다. 그래서 제자들이 공부해야할 내용들을 충실히 가르치기 위해서 노력한다. 선생님들 중에서 그럴 분은 없을 것이라고 생각되지만 제자들에게 단지 대학을 가기 위해서 편향된 학습을 유도하는 것은 도리어 제자들의 정신적 성장을 막는 것이다. 학생들에게 공부의 즐거움을 깨닫게 해주고 올바른 학습 성취로 대학에 진학할 수 있도록 해주는 것이 선생님의 역할이다.
호랑이 선생님, 누룽지 선생님 그리고 훈장님
28년 전에 <호랑이 선생님>이라는 드라마가 방영했었다. ‘호랑이 선생님’이라고 불리는 허봉수라는 교사와 초등학교 5학년 5반 학생들 간의 학교생활을 그린 우리나라 최초 학교를 주재로 한 어린이들을 위한 드라마이다. 필자가 세상에 태어나기 전에 방영했던 터라 직접 보지는 못했지만 그 당시로서는 신선한 드라마였고 5년 동안 방영할 정도로 꽤 인기가 있었던 걸로 알고 있다. 허봉수는 ‘호랑이 선생님’이라는 별명답게 제자들 앞에서는 엄격한 모습을 보여주지만 속마음은 자식처럼 제자들을 사랑하는 마음씨 따뜻한 교사로 등장한다.
<호랑이 선생님>이 방영된 지 16년 뒤에는 역시 학교의 교사와 제자 간의 이야기를 포맷으로 한 <누룽지 선생과 감자 일곱 개>라는 드라마가 방영되었다. 이 드라마를 본 지 세월이 꽤 지나서 기억은 가물가물하지만 7명밖에 없는 어느 시골 마을의 분교에 서울에서 온 선생님(유동근 분)이 새로 부임하여 그 곳에서 펼쳐지는 이야기를 그리고 있다. 푸근한 인상의 노총각 교사로 분한 유동근 씨의 연기가 아직도 잊히지 않는다. 마음씨 착한 선생님과 선생님의 말을 고분고분히 따르면서 성장하는 학생들. 비록 드라마 속 이야기이지만 지금의 막장 교실 분위기와 비교하면 옛날에는 제자가 선생님에게 대든다는 것은 생각할 수도 없는 일이었다. 그 때 그 시절의 교실은 선생님과 제자들 간의 정을 느낄 수 있었다.
이 책의 부제는 ‘조선 사람들, 단원의 그림이 되다.’이다. 조선 시대의 생활상들은 이제 단원이 남긴 그림으로만 확인할 수 있다. 단원의 <서당> 속 학습 능력이 부진하고 마음이 여린 제자를 보면서 찡그리고 있는 훈장님의 표정 뒤에는 어떻게 하면 올바른 아이로 만들 것인지 고민하고 있을 것이다. 단지 제자가 학습 부진아라고 해서 그를 미워해서 꾸중하는 것이 아니다. 다 잘 되라고 훈계하는 것이다. 단원의 그림을 보면서 그림 속 훈장님, 그리고 엄격한 호랑이에다가 마음씨가 착한 누룽지 같은 선생님이 아이들이 다니는 학교에 많았으면 좋겠다는 생각이 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