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의 의인들 - 역사의 땅 사상의 고향을 가다 한길인문학문고 생각하는 사람 2
박석무 지음, 황헌만 사진 / 한길사 / 2010년 6월
평점 :
품절


 

우리나라 국무총리는 언제. . .? 

정운찬 전 국무총리가 공식 사퇴를 밝힌 지 한 달 만에 9월 16일에 김황식 감사원장이 새 국무총리 후보에 내정되었다. 이번 주부터 추석 연휴로 인해서 김황식 총리 후보자의 청문회는 다음 주인 28~29일로 확정되었다. 김황식 총리 후보자가 내정되기 전까지 여러 명의 총리 후보자들이 거론되었지만 줄줄이 낙마한 이후 국정 운영에 큰 차질을 빚고 있다.

정운찬 전 총리는 공식 사퇴 입장을 언급하기 전부터 이미 여당의 6.2 지방선거 패배, 국회에서의 세종시 수정안 부결 결과에 대한 책임론을 운운하며 스스로 물러날 것임을 밝혔다. 이에 대해 이전부터 정 총리의 사의 결정에 대해서 고심하고 있던 이명박 대통령은 정 총리의 사퇴서를 수리하였다. 그리고 이 대통령은 정치 실무 감각이 뛰어나며 ‘세대교체’ 이미지를 줄 수 있는 차기 총리 후보를 내정할 것임을 시사하였다. 그 후로 후보 물색 작업 끝에 김태호 후보와 장관 후보 2명 등이 거론되었으나 오히려 이명박 정부의 국정 이미지에 손상만 입었다. 청문회를 통해서 총리 후보 내정자들의 과거에 있었던 부정적 의혹들이 불거진 것이다. 결국, 이명박 정부가 집권 후반기 국정이념으로 내세운 '공정한 사회'에 부합하지 못한 채 유력한 후임 총리로 떠올랐던 김태호 후보는 스스로 중도포기하고 말았다. 후임 총리 인선에 난항을 겪고 있는 정부로서는 ‘공정한 사회’에 적합한 총리를 찾는 방향으로 선회하였다. 총리 인선의 기간이 가면 갈수록 길어졌다. 그리고 엎친 데 겹친 격으로 외교통상부 특채 의혹까지 드러나게 되어서 정부에 대한 국내 여론의 시선이 곱지 않게 되자, 여러 명의 정치인들이 총리직 제의를 고사하기에 이른다. 정부의 오랜 고심 끝에 김황식 감사원장이 총리 후보자로 결정되었다.

짧으면서도 기나긴 총리 인선 기간 동안 민심은 냉담한 반응을 보이는 거 같다. 정부는 여러 명의 총리 후보 카드를 자신 있게 내밀었건만 인사청문회의 문을 통과하지 못하고 있으며 정부가 지향하는 ‘공정한 사회’ 실현에 부합되고 있지 않기 때문이다. 김황식 감사원장 역시 과거에 부동시(不同視)로 인한 병역 면제가 대두되면서 야당이 총리 임명의 동의 여부와 국민들의 냉담한 민심을 다시 얻을 수 있을지 추석 연휴가 지나고 지켜봐야할 일이다. 총리 인선에 관한 논쟁이 길면 길수록 국민들의 정치적 무관심이 커질 우려가 있다. 
 

  

한국인이라면 기억해야 할 조선의 의인들 
 
국무총리는 대통령을 보좌하고, 대통령의 명을 받아 행정 각부를 거느리고 관할하는 아주 중요한 직책이다. 조선 시대의 국무총리와 유사한 직책을 꼽으라면 영의정(領議政)이 있다. 역대 조선 왕조의 영의정 중에는 이름만 들으면 아는 유명한 위인들이 거쳐 갔다. 대표적인 인물로는 황희, 한명회, 신숙주, 유성룡, 이항복 & 이덕형(舊 오성과 한음) 등이 있다. 이들 중에 유성룡, 이항복, 이덕형은 박석무 교수가 펴낸 『조선의 의인들: 역사의 땅 사상의 고향을 가다』에 소개되어 있다. 조선사에 큰 발자취를 남긴 24명의 의인(義人)들에 대한 기록물이다. 늘그막 생활을 하면서도 학문 수양을 게을리지 않았던 퇴계 이황부터 일본에게 국권을 빼앗긴 현실에 대한 울분을 자결로써 생을 마감한 매천 황현까지. 우리나라에서 태어난 사람이라면 꼭 기억해야 할 인물들이다. 
  

 


서애의 소프트 파워, 영재의 하드 파워

22명의 학자들 중에서 정부가 원했던 실무 처리 능력이 뛰어난 국무총리의 모습과 비슷했던 인물은 서애 유성룡(1542~1607)이 있다. 벼슬 생활하는 동안 쌓은 국정 운영의 경험을 통해서 국난들을 처리해나갔다. 특히, 서애가 51세였을 때 발발한 임진왜란 기간 동안 그의 뛰어난 국정 운영 능력이 빛을 발휘하였다. 특히, 서애는 화합의 달인이었다. 그가 주장한 인재 발굴의 10대 원칙에서는 신분이나 가문과 같은 조선 사회를 지배하고 있던 조건들을 따지지 않았다. 오직 학식이 있고, 임무 수행 능력이 뛰어난 호기 있는 인재를 등용할 것임을 주장하고 있다. 천한 신분 상태이거나 아직까지 능력을 발휘하지 못한 인재들을 발굴하여 등용하는데 노력하였다. 서애의 안목에서 고른 옥석의 인재는 권율과 이순신 등이 있다. 서애의 탁월한 안목이 이 두 사람을 천거하게 함으로써 전란에 휩싸였던 조선을 기사회생할 수 있었다. 그러나 서애는 뛰어난 학식과 국정 운영 능력을 갖췄음에도 불구하고, 그에게도 옥의 티가 있었다.   

 

 

   서애는 재주나 식견이 높아 임금께 올려 바치는 건의를 잘했다. 더욱이 경연에서  

  아뢰는 내용은 모두가 잘한다는 칭찬을 받았다. 그러나 때로는 일관된 마음으로  

  봉직하지 못하고 이롭고 해로운 점만 따지려는 부분이 있어 식자 들이 단점으로  

  여기기도 했다.

   - 박석무 『조선의 의인들』‘유성룡 편’ p 124, 서애에 관한 율곡 이이의 평 -

율곡 이이는 조선의 ‘미스터 쓴소리’가 못마땅했는가 보다. 서애 본인 입장에서는 간언(諫言)했을 뿐인데 그와 당시 활동했던 학자와 관리들에게 서애의 따끔한 지적이 무서웠을 것이다. 그리고 또 다른 단점으로는 성격이 너무 온화한 나머지 굳센 성품이 부족하다는 것이었다. 하지만 단점보다 장점이 컸었기에 서애가 활동했던 시기부터 지금까지도 조선의 위대한 학자로 명망이 높다.    

 

 반면에 유성룡이 성품이 온화한 스마트 파워(Soft Power)형 정치인이었다면, 영재 이건창(1852∼1898)은 서애보다 뜨거운 애국심이 가득 찬 호기 있는 하드 파워(Hard Power)형 정치인이었다. 1894년 갑오개혁 이후부터 관직에 나아가지 않은 재야의 학자였지만, 한창 그의 이름이 조정에 알려졌을 때에는 암행어사로 활약했다. 영재는 자신보다 높은 벼슬자리에 오른 탐관오리일지라도 옳고 그름을 냉정하게 따져 판결을 냈다. 그의 날카로운 암행어사 실행 능력과 명성은 당시 고종황제의 귀에도 알려져 있었다. 고종황제가 지방의 관리들을 임명하면서 그들에게 ‘만약 잘못한다는 소리가 들리면 바로 이건창을 암행어사로 파견하겠다.’라고 당부했을 정도이다. (『조선의 의인들』‘이건창 편’ p 472) 그의 냉철한 비판 능력은 서양 열강과 일본의 조선 개입에 대해 조정을 향해 강력한 비판을 할 수 있었다. 영재의 지나친 쓴 소리는 고종황제에게 눈 밖에 나서 2년의 유배생활을 할 정도였다. 그리고 그는 소론이면서도 반대파였던 노론과의 관계를 소홀히 하지 않았으며 실학자들과도 교류를 하였다. 조선의 당쟁관계사를 기록한 <당의통략>(黨議通略)은 어느 당론에도 치우치지 않고 비교적 공정하게 서술되어 있어, 당쟁연구에 좋은 자료가 되고 있다. 
 

 

우리나라 국민들이 원하는 국무총리

개인적인 생각이지만 필자는 우리나라의 새로운 국무총리가 서애 유성룡의 소프트 파워와 영재 이건창의 하드 파워가 조합되어 있는 정치를 펼쳐 주었으면 하는 바람이 있다. 국민들이 바라는 훌륭한 국무총리를 임명하기 위해서 정부가 고심하고 있는 것은 이해하고 있다. 국무총리라는 직함 자체가 대통령이 국회의 동의를 얻어야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정당의 이익 실현에 급급해 국무총리 자리 하나 가지고 여당과 야당이 논쟁을 질질 끌고 나가면 곤란하다. 국무총리 자리 하나 때문에 시끌벅적한 나라 분위기를 이어가서는 안된다. 혼란의 정세 속에서 대통령은 국가의 최고 통솔자답게 서애처럼 화합과 조정의 리더십이 발휘해야할 때이다. 정부는 자신들이 천명했던 ‘공정한 사회’라는 모토에 끼워 맞출 수 있는 총리 후보자보다는 ‘공정한 사회’를 원하고 있는 국민들의 민심에 맞출 수 있는 총리 후보자를 선택해야할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