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화와 과학으로 보는 별자리와 우주 뉴턴 하이라이트 Newton Highlight 19
뉴턴코리아 편집부 엮음 / 아이뉴턴(뉴턴코리아) / 2008년 7월
평점 :
절판


  

 그대를 비춰주는 별이 될게 

 ♬ 내 사랑을 꼭 기억해줘요 
    내 눈물을 그댄 듣고 있나요
    기억할께 십년이 지나도 나 약속해
    그대를 잊지 않을께 
 

    그대를 비춰주는 별이 될께 ♬ 

    - 작사. 작곡 오성훈, 노래 디셈버 <별이 될께> 가사 엔딩 부분, 출처: 네이버 뮤직 -  

 

세상을 떠나고 만 연인을 향한 사랑을 표현하는 가사의 노래이다. 비록 연인은 지금 존재하지  

않지만 사랑했던 기억들은 영원히 간직할 것이며 연인을 환하게 비춰주는 별과 같은 사람이  

되겠다는 낭만적인 내용이다. 노래 가사에서도 알 수 있듯이 ‘별’은 사랑의 상징으로 비유되고  

있다. 7080세대 연인들 사이에서 ‘별을 따다줘’라는 말이 유행했다. 주로 여성들이 이 말을  

사용하는데 사랑하는 남성이 자신을 진짜로 사랑을 하고 있는지 확인하기 위해서 쓴다.  

비록 밤하늘에 있는 별을 따온다는 것은 현실적으로 불가능한 일이지만 이 말을 들은 남성들은  

사랑하는 여자를 위해서라면 당장이라도 따올 수 있을 듯이 말한다. 그런 반응에 여자들은 

그런 남성을 사랑하지 않을 수 없게 된다. 요즘 우리의 귀에 들려오는 또 다른 노래 가사에도  

사랑하는 사람이 떠나지 않게 밤하늘의 별을 따서 주겠다는 내용이 있다. ("밤하늘의 별을" 

-양정승, KCM, Nonoo 노래)  사랑하는 사람에게 별을 따다 바치는 것. 지금도 들어도  

참으로 낭만적인 사랑의 관용어구이다. 하지만 실제로 이런 말을 사용하게 된다면 촌스럽게  

느껴지기도 하다. 별은 사랑 확인의 상징뿐만 아니라 영원한 사랑의 상징으로서도 사용한다.  

디셈버의 노래 가사처럼 사랑하는 사람을 비춰주는 별이 되어 수많은 사랑의 기억들이 영원히
빛나게 하고 싶은 것이 연인들의 소망일 것이다.  

 

 

 별의 일생: 암흑성운에서부터 초신성까지

밤하늘의 별은 인간의 수명보다 더 오래 빛나는 것은 사실이다. 그러나 별빛도 유한성을 지니고  

있다. 별의 수명은 100만 년 정도인데 인간이 정해진 수명에 따라 죽는 것처럼 별에게도 죽음이  

있다. 

 

별이 맨 처음 탄생되는 곳은 암흑성운이다. 그곳에서는 중력이 작용하여 우주에 떠도는 가스와  

먼지들을 끌어 모으는데 새로운 아기별이 탄생한다. 쉽게 비유하자면 어머니의 자궁 속에서
수정을 거쳐서 아기가 완성되는 것처럼 암흑성운은 별들의 자궁인 것이다. 탄생한 수천 개  

이상의 아기별들은 불규칙적으로 모여 있게 되는데 이것이 산개성단이다. 어리고 젊은 별은  

처음에는 푸르스름한 색을 띄게 되는데 시간에 따라 점차 변하게 된다. 별의 내부에는 수소의  

핵융합 작용이 일어나게 되어 별은 팽창과 수축을 반복한다. 그래서 별의 온도가 높다. 내부 작용 

으로 인해서 색깔만 변하는 것이 아니라 크기가 변하게 된다. 인간은 활동하면서 필요한 에너지를 

소모하게 되면 지치게 되듯이 별도 수소의 핵융합 작용이 활발히 일어나고 난 뒤에는 밝기와 내부 

온도가 점차적으로 떨어지며 예전과 같지 않게 된다. 그리고 별의 색깔도 청색에서 적색으로  

변하게 되는데 수소를 다 태우고 재만 남은 적색 거성이 된다. 적색 거성을 사람으로 치자면  

노년기로 비유할 수 있지만 아직까지는 핵융합 작용은 유지하고 있는 상태이다. 마지막 남은  

강한 핵융합 작용을 이용하여 적색 거성은 폭발하고 마는데 바로 이것이 초신성이다. 일반적으로 

초신성이라는 단어만 듣게 되면 새로운 별의 탄생을 뜻한다고 생각할 수 있다. 물론 별의 탄생을  

일컫는 말이기도 하다. 하지만 별의 탄생 배경에는 적색 거성의 죽음이 있다. 즉, 초신성은 별이  

죽어가는 과정이면서도 새로운 별의 탄생 과정을 뜻하기도 하는 것이다. 그래서 초신성은 우주  

형성 과정의 실마리를 제공하고 있다. 무수히 흩어진 초신성의 잔해는 다양하고도 새로운 우주  

현상을 형성하는데 사용한다. 암흑 성운 구성에 필요한 성간 가스가 되어 새로운 별의 탄생에  

재활용되기도 하거나 강한 전자파와 X선을 방출하는 펄서(중성자별)블랙홀이 되기도 한다. 

별은 초신성의 잔해로 시작해서 끊임없는 핵융합 작용이라는 순환 과정을 통해서 오늘날  

밤하늘에는 수많은 별이 죽는 동시에 또 다른 새로운 별들이 탄생한다. 



 달님이시여, 높이높이 돋으셔서, 멀리멀리 비춰 주소서

비록 별도 인간처럼 죽게 되지만 백년해로(百年偕老)의 상징성은 계속 유지될 것이다. 결혼식  

주례 단골 멘트인 '검은 머리가 파뿌리가 되도록'이라는 말이 있듯이 남녀가 한번 인연을  

맺으면 죽을 때까지 아니 죽어서 혼(魂)이 되더라도 인연의 끈은 영원히 이어져있기를 바라는  

것이 모든 사랑하는 연인들이 가지고 있는 공통적인 소망이기도하다. 작가 미상의 고려 가요 

『정읍사』중에는 ‘달님이시여, 높이높이 돋으셔서, 멀리멀리 비춰 주소서’라는 구절이  

있다. 작품 속 화자는 사랑하는 임을 향해서 달이 비춰지기를 간절히 바라고 있다. 밤하늘에  

떠있는 달이 항상 우리가 움직이는 대로 따라오는 현상을 절묘하게 임을 향한 사랑으로 묘사했다. 

사실 달이 우리를 따라오는 것처럼 느끼는 것은 지평선과 달까지 이루는 각이 항상 일정하게  

됨으로써 일어나는 착시 현상일 뿐이다. 이런 현상을 광행차 효과라고 한다. 그리고 또 다른  

달의 재미있는 특징은 항상 앞면을 지구로 향한 채 떠오른다는 점이다. 그래서 지구에서 망원경 

으로 달을 관측하더라도 뒷면을 절대로 볼 수 없게 된다. 이유는 신기하게도 달이 지구 주위를  

공전하는 주기와 자전 주기가 일치하기 때문이다. 달의 자전주기와 공전주기는 똑같이 27일이다. 

‘별을 따다 바칠게, 검은 머리 파뿌리 되도록 사랑할게’와 같은 말은 이제 고전적인 사랑 멘트가  

되어버렸다. 사랑하는 사람을 향해서 영원히 사랑할 것임을 은유적으로 멋들어지게 표현하고  

싶다면 별이 아니라 이제는 ‘달’로 표현해보는 것이 어떨까 생각한다. 앞면으로 지구를 향하는  

현상과 광행차 효과를 비유삼아 항상 사랑하는 그대만을 바라 보고, 항상 그대 곁에 있는 달이  

되겠다는 멘트는 어떤가?  이 멘트도 너무 식상하다, 닭살이 돋는다고 생각하면 지금부터라도  

곁에 있는 사랑하는 연인만 바라보고 영원히 비춰주는 달과 같은 사람이 되어라. 그러면 오랫동안 

사랑의 감정이 유지될 수 있을 것이다. 
 

 

 

* 과학 내용과 전혀 관련 없는, 그러나 알고는 있어야 할 뱀꼬리   

 

리뷰를 살펴보면 '별이 될께' , '기억할께' , '않을께' 라고 되어있는데 이는 잘못된 표현이다.  

잘못된 언어 습관이 쉽게 고쳐지지 않을 정도로 고착화되어 그렇게 표현하고 있으며  

노래 제목과 가사에도 그렇게 표기하고 있어서 리뷰 작성에는 편의상 그렇게 썼다.  

사실은 '별이 될게' , '기억할게', '않을게' 가 올바른 표현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