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이 닭을 낳는다 - 생태학자 최재천의 세상보기
최재천 지음 / 도요새 / 2007년 8월
평점 :
구판절판


 

 우리나라의 대중적인 과학자들

우리나라 대표적인 대중적인 과학자를 뽑으라고 하면 주저없이
정재승 카이스트 박사와 최재천 이화여대 교수라고 말할 것이다.
지금은 이 분들의 책들 말고도 대중들을 위한 과학 도서가 많이 출간되고 있다.
다만, 두 분이 썼던 책들은 스테디셀러를 기록 중이다.
정재승 교수는 <과학 콘서트>는 9년 전에 초판이 나온 뒤로
M 방송사 선정 도서 이후부터 더욱 더 인기를 끌면서 스테디셀러로 자리잡고 있다.
최재천 교수는 정 교수의 <과학 콘서트>와 같은 대박 도서는 없다.
하지만 <과학 콘서트>와 같은 해에 출간된
<생명이 있는 것은 아름답다>는 여전히 많은 사람들이 구입하고 읽고 있으며
책 속의 글이 고등학교 국어 교과서에 실리기도 한다.
고등학교 1학년용 국어(상)의 ‘황소개구리와 우리말’이다.
그리고 <생명이...> 출간 2년 전에는
<개미제국의 발견>이라는 책을 쓰기도 하셨는데
당시 한국 출판계를 휩쓸고 있던  

베르나르 베르베르의 소설 <개미>와 더불어  

'우리나라에 흔치 않은 개미 관련 대중 도서'로서 많은 인기를 끌었다. 
 

두 분의 공통점은 과학의 대중화를 큰 기여를 했다는 점이 있으나,
이 밖에도 사회, 문화, 예술 등 서로 다른 분야를 과학 분야와 접목하여
경계 없는 학문을 드나들며 넓은 식견을 자랑한다.
정 교수는 최근에 소설가 김탁환 씨와 공동으로 과학소설을 펴냈으며
최 교수는 그 이전에 인문학의 도정일 영어학 교수와 함께한 대화를 책으로 옮긴

<대담>(휴머니스트, 2005)이라도 책도 출간하여
과학과 인문학에 대해서 논하기도 했다.

그래서 항상 느낀 것이지만 최 교수의 글은 과학 교수답지 않게 문학적이다.
본인도 어렸을 때 글 쓰는 것이 좋아서 백일장에 상을 타봤다고 하셨는데
그때부터 문학적 관심과 재능이 있었던 것이다.
그리고 사회 문제에도 관심이 많아 예전에 호주제 폐지 문제에 대해서 
과학적 방식으로 접근하여 폐지 찬성을 주장하였다.
그래서 폐지 반대에 있는 보수주의자들에게 인신공격 및 인터넷 테러를 당해야만 했다.
하지만 이에 굴하지 않고 호주제 폐지 판결을 이끌어내는데 큰 기여를 했다.
(재미있게도 호주제 폐지 찬성에 관여한 인사들 중에는
최재천 박사의 동명이인이 前 열린우리당 국회의원이며 변호사인 최재천 씨도 있었다) 
 

  

 

 타임머신을 타다

가끔 그의 에세이집을 읽다 보면
호주제 폐지와 관련된 내용부터 시작해서 남녀 차별과 여성 권익 보호 등
다양한 사회 문제에 대해서 자신의 전공인 생물학 지식들을 버무려
생물학도 공부하고 사회 문제에 대해서 관심을 가질 수 있는
일석이조(一石二鳥)의 독서를 할 수 있다.
비록 출간된 지 몇 년이 지난 것이라서 글의 신선함은 떨어질 수 있다.  
하지만, 내용의 재미는 떨어지지 않았다. 

그의 에세이집을 읽으면 읽을수록 다시 한 번
사회 문제에 대해 성찰할 수 있기에 아직도 유효하다. 
 

<알이 닭을 낳는다>는 역시 2001년에 첫 출간되어
5년 뒤에 개정판이 나왔으며 이듬해에는 개정 2판이 출간되었다. 
그만큼 많은 사람들이 몇 년이 지난 글들을 읽고 있다는 증거이다.
이 책에도 역시 9년 전 사회 핫 이슈였던 호주제와 관련된 글을 읽을 수 있다.
그리고 그 때 미국 대선에 출마한 조지 W. 부시와 엘 고어도 등장한다.
그 중에 선거 운동 중에 엘 고어가 부인과의 키스에 대해서
생물학적으로 설명한 글이 있다.
최 교수는 부인과의 키스를 통해 가족 사랑이라는
좋은 이미지를 부각시켜 선거 승리를 위한 전략이었다고 말한다.
그리고 어떤 글에는 엘 고어와 같은 환경주의자가 대통령이 되길 바라는 내용도 있다.
하지만 모든 이들이 알다시피 엘 고어는 투표 때문에 억울하게 선거에 패하게 되었다.
또 최근에는 엘 고어와 그의 부인은 이혼을 했다.
새삼 인생은 새옹지마(塞翁之馬)라는 것을 깨닫게 된다.

<알이 닭을 낳는다>의 내용을 한 마디로 표현하자면, 타임머신이다.
타임머신을 타고 과거로 돌아가듯이 

그의 글을 통해 과거에 있었던 사회문제들을 볼 수가 있다.
비단 타임머신은 시간을 거꾸로 갈 수 있을뿐만 아니라
시간을 앞당겨서 미래의 사회 모습을 볼 수도 있다.   

  

 

 

 9년 후, 지금은..... 
   

최 교수는 남자도 미래에는 여자처럼 화장을 하게 될 것이라고 예상한다.
생물학적으로는 여성이 생물 번식에 대한 궁극적인 결정권이 있다는
성 선택론을 기반으로 미래에 남자들은 여자의 선택을 받으려고 노력한다.
그래서 화장과 성형 수술을 할 것이며
이에 더불어 남자 전용 성형외과가 생길 것이라며 미래에 나올 신종 사업도 예상한다.
최 교수가 이 글을 쓴 지 9년 후, 지금 그가 예언한 것이 적중되었다.
과거 여성들은 취업의 첫 관문인 면접 시험에서 좋은 인상을 주기 위해서
성형 수술을 했었다. 하지만 지금은 남자들도 성형 수술을 하고 있다.
바늘 구멍만한 취업문을 뚫기 위해서이다.
예전보다 여자의 권위가 상승되어 일방적으로  

남자가 여자를 선택하여 짝을 짓는 시대는 끝났다.
요즘 30명의 여자들이 출연하여 한 명의 남자를 선택하느냐 마느냐 하는
새로운 미팅 프로그램이 인기를 얻고 있다.

그리고 요즘 남자들, ‘결못남’이라는 한다.
결혼과 출산을 당연하게 생각했던 여자들이 이제는 ‘선택’ 으로 받아들이면서
결혼을 못하는 남자들이 생겨나고 있다는 것이다. 

남성이 결혼하는데 필요한 자금이 1억이 넘는단다.
결혼 자금 대부분은 신혼집 마련에 사용한다고 한다.
무엇보다도 중요한 것은 ‘결못남’ 이 만나게 되는 첫 번째 벽이 자금이다.
자금이 없어서 ‘결못남’ 이 생기는 것이다.
안 그래도 우리 나라 인구, 남자가 여자보다 많아서
결혼할 여자도 부족하다는 마당에 여자들은 결혼을 하기 싫어하고,
결혼하려고 하면 턱없이 부족한 돈 때문에 어려워지고.....
앞으로 남자들의 운명은 어떻게 될지 걱정된다. 
 

  

 

 알면 사랑한다

미래의 모습을 예상하는 글을 보면서
몇 년 전부터 이런 생각을 하고 있었다는 점에서 저자의 안목이 놀랍기도 하면서도
한편으로는 눈 앞에서 펼쳐진 글 속의 미래 모습이 그리 밝지 않아서 씁쓸하다.
이런 사회는 남자들만 좋은 것은 아니다.  

결혼률이 하락하면 동시에 출산율도 떨어진다. 

이대로 가다가는 심각한 사회문제로 대두될 것이다.
그래서 결혼을 둘러싼 남녀의 상반된 입장을 그대로 방관할 수만은 없다.

하지만 딱히 구체적인 대책 방안은 없다.   

그 전부터 정부의 출산율 하락에 대한 정책을 내세우고 있지만 제자리걸음이다. 

그리고 여성의 결혼 기피는 정책학적으로 접근한다고해도  

금방 해결하기가 쉽지 않을 것이다. 

그리고 여성이 결혼을 안 한다는 것 자체가  

개인 스스로 선택하는 것이며  

단순히 사회경제적 요인보다는 여성들의 심리적 요인이 더 크게 작용하기 때문이다.

일단은 남녀가 서로 입장을 이해하고 세상을 현실적으로 바라봐야만 할 뿐이다.

 

최 교수가 항상 말하는 것이 있다.
“알면 사랑한다”

남성과 여성이 서로에 대해 알고 이해해주면 사랑이라는 큰 결실을 맺지 않을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