페테르부르크 이야기 민음사 세계문학전집 68
고골리 지음, 조주관 옮김 / 민음사 / 2002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1001-87] 코

 

 

 

 

 코의 행방불명 
 

만약에 아침에 일어나 거울을 봤는데 자신의 얼굴에 코가 사라졌다면?
상상만 해도 현실적으로 불가능한 상황에 대해서 난감하면서도
거울에 비친 얼굴을 보면서 스스로 기겁할 것이다.
한 개의 호흡 통로는 사라지고 입으로만 숨을 쉬어야 할 것이다.
축농증이나 비염과 같은 코와 관련된 질환에 걸려본 사람을 알 것이다.

코가 막혀서 입으로만 숨을 쉬는 것도 불편하다는 것을.
그리고 맛있는 음식과 향기로운 꽃들의 냄새를 맡지 못할 수도 있다.
무엇보다도 코가 사라지게 되면 사회 생활이 불가능하다.
코 없이 밖에 돌아다녀 봐라. 주위 사람들의 시선이 코 없는 당신에게 집중할 것이다.
그러면 외모에 대해 콤플렉스를 가지게 되고, 타인의 시선에 대한 두려움에 사로잡혀
집에만 있는 폐쇄적인 생활을 해야 할 것이다.

이렇듯, 이 가상의 이야기의 결론은
코 하나의 상실로 인해 인간으로서의 존재도 상실하게 될 수도 있다는 것이다.
하지만 긍정적인 성격을 가진 사람이었다면 이야기를 달라진다.
우리나라의 완벽한 과학적(?) 성형 의술의 힘을 빌어  

어떻게든 인조 코를 만들어 다닐 수도 있다.
냄새를 맡지 못하고 숨 쉬는 것이 불편해도
인조 코 하나만 달고 있어도 사람 만나는 생활에는 큰 지장이 없을 것이다. 

코가 없어진다는 가정 하의 여러 가지 상상의 나래를 펼쳐보았는데
비약이 심하다고 느낄 수도 있겠다.
하지만 이것은 새 발의 피다.
이것보다 한술 더 떠서  

자신의 사라진 코가 사람처럼 살아 움직이고 다닌다면 어떻게 될까? 
 

  

 

 콧대 높은 자의 콧대 꺾기

니콜라이 고골의 단편 소설인 <코>에는
앞에서 상상했던 ‘코의 행방 불명 + 살아 움직이는 코’ 라는  

주제가 복합적으로 구성되어 있다.
줄거리를 간략하게 설명하자면 이렇다.

소설에 나오는 러시아의 관리 꼬발료프는 낮은 계급이지만
관리’ 라는 꼬리표가 있어서 허세를 부리는 인물이다.  
어느 날, 면도 후 코가 없어졌다는 사실을 알게 된다.
자신의 코를 찾아야한다는 심정으로 미친 듯이 거리를 돌아다니다가
드디어 코를 찾았지만..... 꼬발료프는 눈 앞에서 펼쳐진 황당한 장면에 까무러친다.
코가 사람처럼 행세하는 것 아닌가.
그것보다도 더 황당한 것은 코가 자신보다 높은 계급의 관리라는 점이다.
꼬발료프는 공손하게 고급 관리 코에게 자신의 신체 일부분임을 설명하나
코는 자신보다 낮은 계급인 꼬발료프의 말을 무시한다.
퇴짜 맞은 꼬발료프는 코에게 무시당했다는 점에 분통을 느낀다.
코의 상실감으로 인해 낙심한 가운데 엉뚱하게도
거리를 지나가던 경찰관 덕분에 잃어버린 코를 되찾았다.
일단 코를 되찾기는 했으나, 문제는 원 상태로 되돌리는 것이다.
수단 방법을 가리지 않고 코를 붙이는 여러 가지 시도를 해보았으나
코는 얄밉게도 자신의 얼굴에 붙여지지 않았다.
의사를 만나 해결 방안을 찾으려고 하였으나
의사의 처방은 그냥 코 없이 살아라고 말한다.
코를 원래대로 붙일 수 없다는 사실에 반쯤 포기한 상태에서 코발료프는
잠을 자게 되는데, 다음 날 아무 일 없었다듯이 코가 붙어있는 것이 아닌가(!)
드디어 완전한 형태의 얼굴로 돌아온 모습에 꼬발료프는 무척 기뻐한다.
그리고 며칠 전 코가 없어서 쩔쩔매던 모습은 온데간데없고
평소대로 면도를 하면서 관리 특유의 허세를 부린다.

이야기는 짧고 설정도 황당하게 느껴질지도 모르나 그렇다고 가볍게 볼 소설은 아니다.
고골은 코를 비유하여 당시 러시아 관리들을 조롱하였다.
자신보다 낮은 계급의 관리나 사람들 앞에서는 콧대 높이면서 위풍당당하다가
계급이 높은 사람을 만나면 위축해지고 아부를 떠는  

러시아 관리들의 이중성을 보여주고 있다. 
 

예나 지금이나 꼬발료프의 행동은 계급 사회에서는 볼 수 있는 장면이다.
직장에서는 보다 높은 직책으로 승진하기 위해서  

윗사람 앞에서 굽실거리는 사람들이 있다.
그리고 TV에서는 국민을 위한 정치를 하겠다던 사람이
막상 카메라가 없어지면 국민의 소리를 귀담아 듣지 않으려하고,
자신의 정치 행적을 비난하는 사람이 있으면 들어 보려고 하지도 않고  

어떻게든 입 막으려고 한다.
단지, 자신은 국민이 낸 세금으로 쓰고 싶은 거 쓰면서 자신의 배만 채우기에 급급하다.

고골은 <코>를 통해 희화적으로 콧대 높은 자들의 콧대를 꺾고 있는 셈이다. 
 

  

 

 주종(主從) 관계의 전복

<코>의 황당무계한 플롯은 한편으로는 베르나르 베르베르의 단편 소설을 보는 거 같다.
그의 글도 우리가 평소에 상상하지 않았던 요소들로 이야기를 풀어나가기 때문이다.
베르나르 베르베르의 단편 모음집 <나무>(열린책들, 2003)에 보면
‘조종(操縱)’ 이라는 소설이 있다. 거기에는 왼손이 사람처럼 생각하고 행동한다.
고골의 코처럼 말하는 것은 아니지만 왼손은 자신의 생각을 종이에 글을 써서 나타낸다.
소설 속의 왼손은 주인이 오른손잡이라는 사실에 실망하여 반란을 일삼는다.
주인이 왼손으로 무엇을 할려고 하면 행동을 거부한다거나
시키지도 않은 짓을 저지른다. 심지어 잠을 자는 주인의 목을 조르거나
주인이 깊은 잠에 빠진 사이에 사람을 죽이기도 한다.
결국 왼손에 굴복한 주인은 왼손과 오른손에게  

서로 협력 계약을 맺어주고 양손잡이가 된다.
그리하여 왼손이 그 주인을 마음대로 조종하게 되면서
결국 왼손이 인간의 ‘주인’ 이 된다는 것으로 끝나게 된다.

고골의 <코>와 비슷한 장면이 떠올린다.

얼굴에 붙어있었던 코의 주인은 꼬발료프였다.  

하지만 코가 떨어져나가고 고급 관리가 되면서
상황은 바뀌게 된다. 코가 주인이 되어버린 것이다.
두 이야기의 공통점은 ‘주종(主從) 관계의 전복’ 을 보여주고 있다. 

참고로 고골의 작품은 1836년에 발표되었다.
베르베르의 상상력의 독특함은 둘째 치더라도, 수백 년 전에 고골이 이미 
베르베르式 플롯의 소설을 썼다는 점이 놀라울 뿐이다. 
 

  

 

 무관심당한 자들의 반란

고골의 <코>는 환상적이며 일반적인 소설 플롯과 다른 특이한 작품이다.
어떻게 보면 내용이 뭔가 부실하게 느껴질지도 모른다.
그러나 작품을 읽는 독자들은 <코>를 읽으면서
이야기 전개상에 나타난 공백에 대해 다양한 상상과 문제 제기를 할 수가 있다.
나도 이 이야기를 읽고 난 후, 한 가지 의문점이 들었다.

꼬발료프의 코는 왜 이유 없이 사라지다가 다시 원래대로 돌아왔을까?

읽어보면 코가 꼬발료프의 얼굴을 떠난 정확한 이유에 대한 장면은 어디에도 없다.
물론 <코>가 러시아 관리들을 조롱하는 내용이기 때문에
코가 허세 부리는 관리 꼬발료프에게 ‘X 먹어라’ 라고 할 수도 있다.

아니면 베르베르 소설의 왼손처럼 무관심만 받고 있던 코가
관심을 자기에게 집중시키려는 주인에 대한 역행적 행동일 수도 있다.
베르베르의 <조종> 결말과의 차이점으로 이유를 추측할 수 있다.
<조종>의 왼손은 반란 투쟁에 성공하여 결국에는 주인을 지배하는 반면,
꼬발료프의 코는 일시적인 반란일뿐, 다시 원래 자리로 돌아온다.
주인이 오른손잡이라서 자신을 무시하는 왼손이 제멋대로 행동하듯이
코도 다른 신체 부위보다 관심을 받지 못해 질투가 나자
‘나에게도 사랑과 관심을 가져주세요’ 하듯 가출을 한 셈이다.
코가 가출하고 나서 고급 관리로 변신하고 나서야
꼬발료프는 평소에 느껴보지도 못했던 코의 중요성을 깨닫게 되고,
드디어 코에 관심을 가지게 된다.
꼬발료프는 원래대로 돌아오도록 종용하지만
코가 예전의 서러움이 생각나서 주인 꼬발료프를 무시한 것일 수도 있다.

인간이라는 것은 숨 쉬고 생각하고 말하면서 움직이면서도 
평소에 우리를 움직이게 하는 것들에 대해서는 관심이 없다.
그러다가 불의의 사고로 신체 일부가 없어지고 나서야
신체 존재의 중요성을 뒤늦게 깨닫는다.
코 말고도 우리가 미처 생각하지 못하고 있는 중요한 신체 부위가 있다.
눈은 작지만 없어서는 안 될 아주 중요한 부위다.
눈이 없으면 어둠만 있을 뿐이며 사랑하는 사람들의 모습을 볼 수가 없게 된다.
우리는 손톱에 때가 끼거나 좀 길어지면 깎아야한다는 점에 불만을 가지게 마련인데
손톱이 없으면 손발이 있어도 무용지물이다.
손은 물건을 집을 때 손에서 발생하는 힘을 받쳐주는 작용을 하는데
없어지게 되면 물건을 집을 수가 없다.
발톱도 그렇다. 발 다리가 있어도 발톱이 힘을 받쳐주지 못해 서 있을 수가 없다. 
그리고 새끼발가락이 없어진다면?
우리가 서 있을 때 새끼발가락의 부재(不在)로 인해 몸의 균형이 깨진다.
그러면 오래 서 있는 것이 불가능하다. 
 

결국, 우리 몸에 이루어져 있는 모든 신체 기관과 부위의 메커니즘에 의해서
‘인간’ 이라는 하나의 집합체가 구성되고 지금도 살아 움직이는 것이다.

한편으로는 베르베르의 소설처럼
모든 신체 부위들이 인간의 주인이고
인간은 우리가 모르는 사이  

그냥 신체 부위가 움직이고 싶은 것에 따라 시키는 대로 움직이는
종이 아닐까하는 발칙한 상상도 해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