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는 과거에 철학사를 사랑하는 사람이었다철학책은 읽기 어렵다는 핑계로 철학 개론서와 철학사 관련 책만 골라 읽었다. 철학 개론서와 철학사에 축약된 철학 지식이 담겨 있다. 그것만 충분히 이해하면 철학을 좀 안다고 착각했다철학책 읽기 모임을 하면서 철학사가 아닌 철학을 사랑해 보기로 결심했다











지난달 초에 시작된 레비나스(Emmanuel Levinas) 철학 읽기 모임에 참여하고 있다선정 도서는 레비나스의 강연록 시간과 타자



















* 에마누엘 레비나스, 강영안 · 강지하 함께 옮김 《시간과 타자》 (문예출판사, 2024)


* 마르틴 하이데거, 이기상 옮김 《존재와 시간》 (까치, 1998)




레비나스는 이 책에서 자신의 철학 스승 하이데거(Martin Heidegger)의 저서 존재와 시간에 담긴 존재론을 비판적으로 검토한다하이데거는 라는 존재는 이미 구성된 거대한 세계에 내던져진’ 상태라고 주장한다하이데거의 는 현존재(Dasein)’즉 거대한 세계 안에 존재하는 세계가 없으면 는 존재할 수 없다하이데거는 현존재를 세계 속 타자와 함께 살 수밖에 없는 공존재(共存在, Mitsein)’로 정의한다여기서 레비나스는 개인보다 전체를 더 중시하는 공존재가 전체주의로 변질되는 위험성이 있다고 지적한다그뿐만 아니라 주체 및 이성 중심 철학까지도 비판한다레비나스에 따르면주체와 이성에 초점을 맞춘 철학은 타자와의 관계성을 진지하게 논의하지 않는다.


레비나스는 자신의 철학이 파르메니데스와 결별하자는 시도(시간과 타자, 37)’라고 한다왜 레비나스는 갑자기 고대 그리스 철학자들을 언급했을까? 레비나스는 왜 그런 표현을 썼는지 구체적으로 언급하지 않는다파르메니데스는 존재는 하나요불변하는 것이라고 주장한 철학자다. 영원불변하는 일원론 철학사를 통해 알려진 파르메니데스 철학의 핵심이다철학사를 사랑하는 사람은 파르메니데스가 만물의 변화를 거부하는 철학자’라고 외운

















플라톤, 정준영 옮김 《테아이테토스》 (아카넷, 2022)

플라톤, 김인곤 · 이기백 함께 옮김 《크라튈로스》 (아카넷, 2021)




파르메니데스 철학과 반대되는 헤라클레이토스(Heraclitus)는 만물의 변화를 인정한 철학자로 알려져 있다철학사를 외운’ 사람은 플라톤이 헤라클레이토스가 한 말이라고 주장한 격언을 강조한다. “너는 같은 강물에 두 번 들어갈 수 없다(《크라튈로스》 402a).” 플라톤이 인용한 헤라클레이토스의 격언은 만물 변화설을 설명할 때 반드시 언급된다플라톤은 테아이테토스에서 파르메니데스와 헤라클레이토스 철학을 명확하게 일원론과 다원론으로 구분 지어서 설명한다.

하지만 파르메니데스와 헤라클레이토스 철학을 이분법적으로 정의한 플라톤의 견해는 정확하지 않다. 상식으로 굳어진 파르메니데스의 일원론 대 헤라클레이토스의 다원론’, ‘파르메니데스의 만물 불변설 대 헤라클레이토스의 만물 변화설은 두 철학자의 진짜 생각을 보여주지 못한다. 지금까지 일부만 남아 있는 파르메니데스와 헤라클레이토스와 관련된 고대 문헌들 속에 플라톤이 생각한 것과 전혀 다른 내용이 있다.



















* 김재홍 · 김주일 · 강철웅 외, 소크라테스 이전 철학자들의 단편 선집(아카넷, 2005)

 

* 움베르토 에코 · 리카르도 페드리가, 윤병언 옮김, 움베르토 에코의 경이로운 철학의 역사 1: 고대. 중세 편(arte, 2018)

 

* [절판] 피터 애덤슨, 신우승 · 김은정 함께 옮김 초기 그리스 철학(전기가오리, 2017)




헤라클레이토스가 쓴 글은 완전한 형태로 남아 있지 않다. 헤라클레이토스의 문장을 인용한 다른 학자들의 글만 남아 있다. 히폴뤼토스(Hippolytus of Rome)라는 고대 로마의 기독교 신학자는 헤라클레이토스가 로고스(logos)’를 언급한 문장을 인용했다.



 나에게 귀를 기울이지 말고 로고스에 귀를 기울여, 만물은 하나이다라는 데 동의하는 것이 지혜롭다.

     

(소크라테스 이전 철학자들의 단편 선집, 236)



헤라클레이토스는 처음으로 로고스의 중요성을 언급한 철학자. 그가 생각하는 로고스는 모든 만물에 대한 완벽한 설명이다. 고대 사람들은 완벽한 것은 변하지 않는다고 생각했다. 고대 철학을 연구하는 학자들은 이 문장을 근거로 내세워서 헤라클레이토스가 만물 변화설을 믿었다는 플라톤의 견해를 반박한다(참고 문헌: 피터 애덤슨, 초기 그리스 철학, 움베르토 에코, 경이로운 철학의 역사 1)

















* 김주연 철학사 수업 1: 고대 그리스 철학(사색의숲, 2021)




파르메니데스는 최초로 존재론을 정립한 철학자존재론에 초점을 맞춘 철학자들의 계보를 만든다면 당연히 제일 먼저 파르메니데스가 나와야 한다. 레비나스는 전통적인 존재론을 비판적으로 검토하기 위해 하이데거와 파르메니데스를 언급한 것으로 보인다.


파르메니데스가 생각한 존재의 정의는 아주 단순하다. 반드시 있는 것이어야 하며, 그것이야말로 참된 진리다. 있지 않은 것은 존재하지 않은 것이므로 탐구해야 할 대상이 아니다그는 더 나아가서 있는 것절대로 변하지 않은 완벽한 구()’의 형태라고 믿는다우리가 경험하는 실제 세계 속 존재들은 변한다. 그러나 파르메니데스는 우리가 보고 느끼는 변화하는 현상들 모두 감각이 꾸며낸 환영 또는 착각이라고 주장한다파르메니데스가 중요하게 여기는 것은 이성이다. 그는 순수한 이성적 논리를 동원하여 존재의 불변함을 증명하려고 했다.


파르메니데스는 자연의 변화를 거부하는 엄격한 일원론자로 알려졌으나 흥미롭게도 다원론자들은 파르메니데스야말로 자신들의 지적 스승이라고 주장한다. 다원론자들은 자연이 변화한다고 믿는 자연철학자들이다. 그들은 자연 현상을 관찰하는 것을 언급한 파르메니데스의 글에 주목한다. 자연철학자들은 세계가 두 개의 층으로 되어 있다고 주장한다. 우리가 살고 있는 현실은 변화하는 현상이 일어나는 세계. 현실 배후에 ‘(변하지 않는) 만물의 근원이 있는 참된 세계가 있다. 다원론자는 참된 세계속 만물의 근원이 하나가 아니라 여러 개라고 주장한다. 두 개의 만물의 근원이 섞이면현실 세계에서 필멸하는 만물이 생긴다. 그리하여 자연철학자들은 항상 변하는 자연 현상의 원인과 변하지 않는 만물의 근원을 동시에 설명할 수 있게 되었다(참고 문헌: 김주연, 《철학사 수업 1》).


파르메니데스와 헤라클레이토스는 소크라테스 이전 철학자로 분류된다. 소크라테스 이전 철학자들은 여백이 많은 철학자. 출생 연도와 출생지가 불분명하고, 고대 문헌에 적힌 내용이 정확하지 않아서 연구 대상으로 접근하기가 쉽지 않다이렇다 보니 소크라테스 이전 철학자들을 과소평가하는 철학도들이 있다하지만 철학을 진심으로 사랑하는 철학도는 자신이 동의하지 않는 철학 사상을 대충 보지 않는다. 그들을 제대로 이해하려고 공부한다. 그런 다음에 비판적으로 검토한다. 어제 쓴 글을 다시 강조하자면 지성을 사용할 용기(공부할 용기)와 무지와 오류를 인정할 용기가 모두 있어야만 철학을 사랑할 수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