감정의 혼란 - 슈테판 츠바이크의 대표 소설집 츠바이크 선집 (하영북스) 1
슈테판 츠바이크 지음, 정상원 옮김 / 하영북스 / 2024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대구 세계문학 읽기 모임

<읽어서 세계문학 속으로> 첫 번째 선정 도서





평점


4점  ★★★★  A-










잘 만든 음반 커버는 훌륭한 예술 작품이 된다. 1960~70년대에 활동한 영국의 디자인 그룹 힙노시스(Hypnosis)는 가수들의 바이닐(Vinyl, 레코드판) 음반 커버 캔버스로 삼아 사람들의 눈길을 사로잡는 이미지를 제작했다. 멋진 음반 커버 중 하나로 손꼽히는 영국의 록 밴드 핑크 플로이드(Pink Floyd)의 정규 9Wish you were here 음반 커버는 마치 신비로우면서도 불길한 느낌이 감도는 초현실주의 그림을 연상시킨다. 두 남자가 악수하고 있다. 그런데 한 사람만 불타고 있다. 악수하는 순간 남자의 몸에 불이 일어나기 시작한 것일까, 아니면 이미 몸에 불이 붙은 상태에서 악수하고 있는 것일까.


힙노시스가 제작한 Wish you were here커버 디자인은 오스트리아의 작가 슈테판 츠바이크(Stefan Zweig)의 소설과 잘 어울린다. 슈테판 츠바이크의 소설은 매우 뜨겁다. 그의 소설에 나오는 인물들도 뜨겁다. 작중 인물들의 마음에 열정이라는 화염이 일어난다정열에 지배당한 인물들은 불타는 사람이다돌이킬 수 없을 정도로 커져 버린 화염은 인물들의 정신뿐만 아니라 삶을 송두리째 태워버린다이번에 새로 나온 츠바이크의 소설 선집 감정의 혼란에 네 편의 작품이 수록되어 있다. <감정의 혼란>, <아모크>(Amok), <책벌레 멘델>, <체스 이야기>.


츠바이크의 단편소설 <감정의 혼란>은 에로틱한 열정의 화염에 휩싸인 사람들이 나온다. <감정의 혼란>의 교수와 제자는 서로 만나면 불이 붙는 사람들이다롤란트(Roland)’라는 이름의 제자는 젊은이들 앞에서 연설하는 문학 교수의 열정에 매료된다. 교수는 풋풋하면서도 언제든지 활활 타오르는 힘을 가진 젊은 열정을 가진 롤란트를 좋아한다. 만나면 서로가 뜨거워진다는 사실을 알게 된 교수와 제자는 둘만의 시간을 보내고 싶어 한다. 하지만 세상은 만날 때마다 불타는 두 사람의 뜨거운 관계를 받아들이지 못한다. 교수는 롤란트를 만날 때마다 생기는 마음속 화염을 끄기 위해 아무 말 없이 사라지곤 한다. 롤란트는 자신을 잘 대해주다가 갑자기 차갑게 대하는 교수의 태도에 분노한다. 화를 끊일수록 교수를 만나고 싶은 열정의 화염이 점점 커진다. 교수가 만나지 못한 날에도 롤란트의 몸과 마음은 불타고 있다.


<아모크>는 국내에 처음 소개된 작품이다. ‘아모크살인 충동을 일으키는 정신착란 증세를 가리키는 용어다. 정식으로 공인받은 의학 용어는 아니다. 열대 지역에 대한 대중의 호기심이 매우 높았던 20세기 초에 유행한 용어다. 당시 서구는 제국주의라는 횃불을 들고 다니면서 동양과 아프리카를 식민지로 삼았다. 제국주의 횃불은 동양과 아프리카의 고유한 역사와 언어, 문화를 모조리 태워버렸다<아모크>의 주인공은 동남아시아에 있는 식민지에 파견된 의사. 의사는 식민지에서 8년을 살아왔으나 열대 기후와 동남아시아 문화에 적응하지 못해 무기력한 나날을 보낸다. 그러다가 백인 여성을 만나기 시작하면서 의사의 말라버린 감정에 에로틱한 열정의 불꽃이 피어오른다. 여자는 오만하고 쌀쌀맞게 의사를 대한다. 하지만 의사의 열정은 식을 줄 모르고 급기야 그녀를 만나기 위해 스토커처럼 따라다닌다. 의사는 자신의 상태를 아모크와 비슷하다면서 자가 진단한다. 유럽인들은 열대 기후가 아모크를 유발한다고 생각했다. 의사는 본인의 스토커 행각을 열대 기후가 일으킨 증상으로 포장하려고 억지 주장을 펼친다. 의사는 스스로 조절하지 못한 에로틱한 열정의 화염에 지배당한 사람이다.


<책벌레 멘델>은 모든 책 제목과 가격, 표지를 전부 기억하는 사람이 나온다. 멘델은 책만 보면 불타는 사람이다. ‘카페 글루크는 멘델의 뜨거운 열정을 보호하는 유일한 일터이자 보금자리다. 하지만 엄청난 화력을 가진 전쟁의 화염은 평화와 인간을 잔인하게 태워버린다. 책을 읽을 때마다 불타는 멘델은 빠르게 변하는 현실에 무관심하다. 그는 전쟁의 뜨거운 위력을 모른다. 불행하게도 멘델은 수용소에 2년 동안 갇혀 지낸다. 살아서 카페에 돌아오지만, 멘델의 정신에 열정의 화염이 더 이상 일어나지 않는다.


<체스 이야기>는 서로 다른 삶을 살아온 두 명의 체스 천재에 관한 이야기다. 젠토비치(Czentovic) 인간적인 감정이 없으며 슈퍼컴퓨터처럼 완벽할 정도로 체스를 두지만, 상상력에 의존하면서 진행하는 블라인드 체스에 약하다. 반면 B 박사는 블라인드 체스의 달인이다그러나 체스판 앞에만 서면 체스를 두지 못한다교수는 블라인드 체스를 두면 불타는 사람이다B 박사는 수용소에 갇혀 있었을 때 우연히 발견한 체스 교본을 읽는다. 그는 체스 교본을 여러 번 반복하면서 읽는다. 체스 교본은 체스를 두고 싶은 열정의 화염을 만든 땔감이었다. B 교수는 책 속에 있는 체스 선수와 대국하는 상황을 상상하면서 체스 실력을 늘린다. 대국 상대가 없어지자, B 교수는 본인을 대국 상대로 정한다. B 교수는 블라인드 체스를 하면 흑을 쥔 자아와 백을 쥔 자아로 분열한다. 체스를 좋아하는 열정의 화염은 누구든지 이기고 싶어 하는 욕망과 만나면서 더욱더 커진다


열정은 나태한 마음을 태워버리고 우리를 즐겁게 해주는 일을 하게 만드는 힘을 준다. 그러나 호기로운 열정이 지나치게 뜨거우면 주변 사람들의 마음에 화상이 생기고, 심지어 자기 자신마저 태워버리고 만다. 불타는 마음에 질투(<감정의 혼란>)와 집착(<아모크>)을 끼얹으면 열정의 화염은 도저히 끌 수 없는 상태가 된다독일의 작가 헤르만 헤세(Hermann Hesse)는 츠바이크의 소설을 한 번 읽기 시작하면 끝까지 따라가게 된다라고 극찬했다. 츠바이크의 뜨거운 이야기를 따라가려면 기이한 열정의 화염에 휩싸인 사람들이 내뿜는 열기를 감당해야 한다. 불타는 사람을 만나면 선뜻 손을 내밀 수 있는가? 악수하더라도 최대한 빨리 손을 빼야 한다. 끄기 쉽지 않은 열정의 화염이 순식간에 옮겨붙을 수 있으니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