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경에 잠깐 스쳐 지나가는 헤로디아(Herodias)의 딸은 이름이 없다. 그녀는 성경을 이탈하여 종이로 펼쳐진 무대가 설치된 희곡으로 향한다. 무대 한가운데에 서 있는 순간, 그녀는 헤로디아의 딸이 아니다. 이 주인공의 이름은 살로메(Salome).





















* 오스카 와일드, 오브리 비어즐리 그림, 임성균 옮김 살로메(지만지드라마, 2023)


* 오스카 와일드, 정영목 옮김 오스카 와일드 작품선(민음사, 2009)

 




성경에서 정숙하게 놀고 있던 헤로디아의 딸을 섭외한 극작가는 오스카 와일드(Oscar Wilde). 그는 엄숙한 도덕을 마구 조롱하는 사나운(wild) 신사다. 와일드는 헤로디아의 딸에게 치명적인 아름다움을 뿜어대는 영혼을 불어넣었다이로써 메마른 헤로디아의 딸은 욕정으로 살찌운 살로메로 변신한다

















* 박세현 《비어즐리 또는 세기말의 풍경》 (한길아트, 2004)


* 박세현 《세기말의 그림은 악의 꽃이었다: 세기말적 멜랑콜리가 만든 기상천외한 화가들》 (청색종이, 2020)




병약해서 가늘어진 오브리 비어즐리(Aubrey Beardsley)의 펜 끝에 검정과 흰색이 묻혀 있다. 비어즐리는 펜으로 와일드가 연출한 살로메의 영혼에 색기(色氣)를 입혔다. 와일드와 비어즐리는 무명의 여자를 단숨에 유명한 요부(femme fatale)로 만들었다.







오브리 비어즐리

The Stomach Dance

희곡 살로메》의 열세 번째 삽화

1893




살로메독자와 관객 모두 홀리게 만드는 매력이 있다. 와일드는 자신에게 추파를 던지는 의붓아버지 헤롯(Herod) 영주 앞에서 춤을 춘다. 희곡 초판에는 일곱 면사포의 춤(Dance of the Seven Veils)’이라고 언급되어 있다. 와일드는 춤의 구체적인 묘사를 생략함으로써 독자와 관객에게 에로틱한 상상력을 일으키도록 부추긴다. 독자와 관객은 와일드가 꾸민 여백을 통과해 헤롯의 연회가 열리는 궁전으로 향한다. 이들은 다 같이 일곱 면사포를 하나하나씩 슬며시 벗기는 살로메의 스트립쇼를 숨죽여 지켜본다. 사실 그들은 살로메가 어떻게 춤을 추는지 전혀 관심이 없다. 살로메를 쳐다보는 모든 남자는 비슷한 생각을 한다. 한 몸이 된 그들이 정말로 보고 싶은 건 춤이 아니다. 살로메의 알몸이다.
















* 오드리 로드, 주해연 · 박미선 함께 옮김 시스터 아웃사이더(후마니타스, 2018)




, 여기까지만 보면 살로메남성이 만든, 남성을 위한 에로틱한 희곡이다. 하지만 에로티시즘은 단순히 남성의 정욕을 유발하는 음란한 정서가 아니다. 미국의 시인 오드르 로드(Audre Lorde)여성의 진실한 성적 욕구와 관능적 끌림을 강조하는 건강한 에로티시즘을 긍정한다, ‘건강한 에로티시즘’을 성적 자유주의(sexual liberalism)와 쾌락주의의 동의어로 오해해선 안 된다. ‘건강한 에로티시즘과 성적 자유주의와 쾌락주의는 성적 본능을 말살하는 도덕규범과 종교적 권위에 저항한다. 하지만 건강한 에로티시즘은 성에 긍정적인 인식을 부여할 뿐만 아니라 개인이 원하는 성생활을 스스로 결정할 수 있는 성적 자기 결정권을 강조한다.


헤롯은 포도주와 사과를 내밀면서 살로메를 유혹한다. 하지만 살로메는 헤롯의 명령을 따르지 않는다.



[헤롯] 내 잔에 포도주를 따라라. (포도주가 들어온다.) 살로메, 이리 와서 나와 포도주를 마시자꾸나. 여기 최상급 포도주가 있거든. 시저께서 하사하신 거지. 네 붉은 입술을 포도주에 담가 봐, 내가 그 잔을 비울게.

 

[살로메] 목마르지 않습니다, 영주님.

 

[헤롯] 익은 과일을 가져와. (과일이 들어온다.) 살로메, 이리 와서 나와 과일을 먹자꾸나. 난 과일에 네 작은 이빨 자국이 난 걸 보는 게 좋아. 이 과일을 조금만 먹어 보렴, 남은 건 내가 먹을게.

 

[살로메] 배고프지 않습니다, 영주님.


 

(임성균 옮김, 75)


 

살로메는 모든 남자를 유혹해서 지배하려는 요부가 아니다. 그녀는 매력 없는 음탕한 노인이 성가시게 굴자, 거부 의사를 확실히 밝힌다. 
















* 파스칼 키냐르, 송의경 옮김섹스와 공포(문학과지성사, 2007)




극 중에서 살로메의 아름다움에 눈을 떼지 못하는 인물은 두 명이다. 헤롯과 호위대장 젊은 시리아인이다. 헤로디아는 남편이 된 헤롯에게, 헤로디아의 시종은 호위대장에게 살로메를 너무 빤히 쳐다보지 말라고 경고한다. 과연 이 두 사람은 살로메를 어떻게 쳐다봤을까?

 

프랑스의 작가 파스칼 키냐르(Pascal Quignard)였다면 두 사람이 정면으로 보지 않고, 곁눈질했다고 주장했을 것이다. 키냐르는 에로틱한 장면이 그려진 로마 폼페이 벽화를 보고 난 후섹스와 공포라는 책을 쓴다. 키냐르는 이 책에서 고대 그리스 · 로마인들의 성문화매혹과 공포라는 개념으로 새롭게 해석한다.


(키냐르가 생각하기에) 폼페이 벽화 속 로마인들의 눈빛은 음란하지 않다. 정욕만 넘쳐흐를 것만 같은 그들의 눈동자 한구석에 섹스를 부끄러워하거나 두려워하는 마음이 고여 있. 그래서 자신의 속내를 들키지 않으려고 곁눈질한다. 키냐르는 영화와 예술 작품에 묘사된 것처럼 로마인의 성문화가 향락적이지 않았다고 주장한다. 오히려 로마인들은 섹스를 불길한 죽음을 연상시키는 공포의 개념으로 이해했다. 절정이 지나가면 팔팔했던 몸은 축 늘어지고, 용암처럼 뜨거웠던 몸의 열기는 싸늘히 식어간다. 신화 속 영웅들은 섹스에 지나치게 탐닉하는 바람에 자멸한다. 영웅호색의 뒤에 죽음이 따라온다. 섹스의 즐거움에 빠지면 파멸이 가까이 오는 것을 잊어버린다. 매혹과 공포라는 섹스의 두 얼굴을 바라본 로마인들은 스스로 경계한다. 따라서 그들은 섹스를 정면으로 마주 보지 않으려고 한다.

 

헤롯은 형의 아내(제수) 헤로디아와 결혼하기 위해 첫 번째 아내와 이혼한다. 우물(수조)에 갇힌 세례자 요한(히브리어: 요카난)은 근친상간을 저지른 헤롯을 계속해서 꾸짖는다. 헤롯은 성적 욕망을 이기지 못해 근친상간 금기(incest taboo)를 위반한 인물이다. 도덕적으로 파멸한 헤롯은 메아리처럼 울려 퍼지는 요한의 질타에 심리적으로 위축되어 있고, 금기를 어긴 섹스가 얼마나 위험한지 깨달았다. 하지만 의붓딸 살로메 앞에만 서면 위험한 생각은 작아지지 않는다음란한 욕심이 커질수록 근친상간 금기는 잊어버린다. 이런 헤롯을 잘 아는 헤로디아가 가만히 있을 리 없다. 살로메, 헤로디아, 요한에 둘러싸여 난처한 상황에 처한 헤롯은 무의식적으로 살로메를 정면으로 바라보는 대신에 곁눈질할 수 있다살로메의 성적 매력에 눈이 먼 호위대장은 두근거리는 심장을 부여잡으면서 호기심 반 두려움 반으로 슬쩍슬쩍 쳐다봤을 것이다.


키냐르는 어느 인터뷰에서 모든 해석은 망상에 지나지 않는다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자신의 책 섹스와 공포를 에로티시즘에 대한 하나의 (주관적) 견해라고 소개했다. 살로메에 대한 필자의 해석 또한 망상에 가깝다. 그래도 살로메는 이리 보고 저리 봐도, 정면으로 보든 곁눈질하든 다양한 해석을 불러일으키는 매력적인 인물임이 확실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