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가들의 마스터피스 - 유명한 그림 뒤 숨겨진 이야기
데브라 N. 맨커프 지음, 조아라 옮김 / 마로니에북스 / 2023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책을 협찬받고 쓴 서평이 아닙니다.



평점


4점  ★★★★  A-








Cry baby, cry baby, cry baby.

Honey, welcome back home.


[중략]

 

Honey, your heartache, too?

And if you need me, you know

That I’ll always be around if you ever want me.

 

 

- 재니스 조플린(Janis Joplin) Cry Baby(1971) 노랫말 -





명화는 걸작의 동의어다. 매우 훌륭한 예술 작품(傑作)은 사람들의 칭송을 받아서 유명해진 것(名畫)이다명화와 걸작의 정의는 모든 사람이 동의할 수 있을 정도로 단순하다. 하지만 명화와 걸작으로 불릴 만한 자격 및 조건은 천차만별로 다르다. 생각보다 복잡하다.


명화와 걸작에 피어나는 영롱한 빛은 세월이 지나도 사그라지지 않는다. 하느님께서 빛이 생겨라!’ 하시자 빛이 생겨났다.” 성경 첫 장면에 따르면 하느님은 하늘과 땅을 창조한 뒤에 빛을 만들었다. 빛나는 명화의 창조주는 예술가다. 그러나 명화는 예술가가 빛이(명화가) 생겨라!’라고 말해서 한순간에 나온 것이 아니다천재소리를 듣는다고 해도 예술가는 명화를 뚝딱 만들지 않는다. 예술가는 그림이 본인이 보기에[주1]좋았다고 생각할 때까지 붓을 잡고 휘두르는 사람이다. 명화 나와라 뚝딱!”하고 주문을 외치면서 도깨비방망이를 휘두르지 않는다.


엄마 품속에 먹고 자란 아기는 거대한 세상에 나오자마자 우렁차게 운다. 이와 마찬가지로 감정과 생각을 표현하는 예술가의 머리에서 태어나 완성된 예술 작품은 말이 없다. 예술 작품이 완성되자마자 응애, 저 명화예요라고 말하지 않는다보부아르(Simone de Beauvoir)가 남긴 명언을 빌리자면 명화는 태어나는 것이 아니라, 만들어지는 것이다. 캔버스에서 태어나는 것은 대중의 반응과 평가를 기다리는 예술 작품이다. 부모의 마음을 지닌 예술가는 갓 태어난 예술 작품을 귀한 걸작으로 생각한다. 예술가는 당연히 갓난 예술 작품이 누구에게나 사랑받는 멋진 명화로 성장하길 원한다. 하지만 갓난 예술 작품을 바라보는 대중의 말이 부드럽고 달콤한 모유 같은 칭찬이 아닌 뾰족한 꼬챙이처럼 생겼다면? 대중의 쌀쌀한 말은 갓난 예술 작품의 연약한 귀를 따갑게 만드는 소음이 된다. 뾰족한 소음이 무서운 갓난 예술 작품은 기분이 좋지 않아서 응앙응앙 울을 것[2]이다. 대중은 예쁘고 귀엽고 빛나는 걸작을 좋아한다. 그들의 눈에는 울기만 하는 예술 작품이 귀엽지 않은 실패작으로 보인다.


대중의 관심에서 멀리 떨어진 갓난 예술 작품에도 한 줄기 빛이 있다. 그 빛은 아주 얇아서 희미하다. 대중의 눈에 들리지 않을 정도로 조용하게 퍼진다그 모습이 화려하지 않지만, 대중들에게 인정받는 날이 언젠가는 찾아온다. 평범한 예술 작품은 그렇게 어엿한 명화가 되고, 무색에 가까운 빛은 알록달록 아름다워진다.


화가들의 마스터피스: 유명한 그림 뒤 숨겨진 이야기는 명화의 화려한 빛에 가려진 긴 어둠을 들려준다. 긴 어둠책의 부제인 유명한 그림 뒤 숨겨진 이야기, 갓난 예술 작품이 갓생사는 명화가 되기까지 앓아야 했던 성장통이다







보티첼리(Sandro Botticelli)비너스의 탄생』(1485년경)은 바다에 일은 거품에서 태어난 사랑의 신 비너스[Venus, 그리스 신화 속 이름은 아프로디테(Aphrodite)’]의 몸을 우아하게 표현한 작품이다. 거대한 조개 위에 서 있는 비너스의 자세는 너무나도 유명하다이 작품 속에 모든 남자가 홀딱 반하게 만드는 사랑의 신이 한가운데에 우뚝 서있는데도 처음에는 대중에게 많은 사랑을 받지 못했다. 1815년 우피치 미술관에서 공개된 이후부터 그림 속 비너스의 빛이 점점 커지기 시작한다. 아름다운 것만 보면 미쳐버린 남성 시인과 소설가들은 미술관에서 폭발한 비너스의 빛에 압도당한다. 그들이 여러 번 비너스를 언급하고 칭송함으로써 긴 어둠을 먹고 자란 보티첼리의 그림은 빛나는 명화로 만들어지게 된다.


레오나르도 다빈치(Leonardo da Vinci)모나리자』(1503년경)도 처음에는 여인을 그린 평범한 초상화였다. 희미한 미소의 의미도 수수께끼고, 미소 짓는 여인의 정체도 수수께끼인 모나리자는 어떻게 루브르의 A급 명화가 되었을까. 우리는 모나리자의 우아함과 다빈치 특유의 천재성 덕분에 명화가 빛을 발한다고 생각한다. 하지만 모나리자의 빛을 유명하게 만든 사람은 다빈치와 그의 주변 사람들도 아니요, 건물 전체가 걸작이라고 할 수 있는 루브르도 아니다. 모나리자를 명화로 키워준 사람은 다름 아닌 여행 안내자들이다. 자본주의가 도시에 스며들던 19세기 이후부터 중산층은 충분히 먹고살 수 있을 정도로 부유해졌다. 돈 많은 귀족만 드나들던 미술관에 중산층의 발길이 잦아졌다. 관광업도 발전하면서 파리의 여행 안내자들은 관광객들에게 파리의 명소들을 소개했다. 그 명소 중 하나가 모나리자가 사는 집, 루브르다. 과장이 살짝 더해진 여행 안내자들의 입소문, 여기에 모나리자의 미소에 피어나는 수수께끼의 빛을 직접 느낀 관광객들의 입소문이 더해져서 모나리자는 가까이서 보기 힘든 특A급 명화가 되었다


저자는 모나리자의 예를 들면서 명화의 조건이 단순하지 않음을 강조한다. 앞서 말한대로 명화의 조건은 생각보다 복잡하다무조건 잘 만들고, 아름답다는 이유만으로 명화가 되지 않는다여기서 명화의 여러 가지 조건을 나열하지 않겠다. 다만 분명한 사실은 예술가의 인생은 짧고, 예술가의 작품이 진정한 예술로 인정받는 시간은 길다그 시간 속에 예술 작품은 까다로운 대중의 시선과 날이 서린 폭력적인 언어를 묵묵히 귀 기울여 들었다. 성장통은 너무 아팠지만 참고 견뎠다. 쓰디쓴 인내의 시간이 지나고 나서야 예술 작품의 빛은 무관심과 혹평으로 만들어진 두꺼운 어둠을 뚫어냈다. 한 송이 명화로 피우기 위해 작품은 먹구름 같은 어둠 속에서 그렇게 울었나 보다[3]. 우리는 명화라는 이름으로 남은 멋진 어른을 바라보고 있다. 한때 어두운 아기였던 그림의 서러운 이야기를 들어야 한다[4].






<cyrus의 주석>



[1] 하느님께서 빛이 생겨라!” 하시자 빛이 생겨났다.

그 빛이 하느님 보시기에 좋았다. 하느님께서는 빛과 어둠을 나누시고


(공동 번역 성서창세기, 1:3~4)




[2] 백석의 시 나와 나타샤와 흰 당나귀마지막 행.

 

눈은 푹푹 나리고

아름다운 나타샤는 나를 사랑하고

어데서 흰 당나귀도 오늘 밤이 좋아서 응앙응앙 울을 것이다.




[3] 서정주의 시 국화 옆에서2

 

한 송이의 국화꽃을 피우기 위해

천둥은 먹구름 속에서

또 그렇게 울었나 보다.




[4] 박인환의 시 목마와 숙녀중에서

 

모든 것이 떠나든 죽든

그저 가슴에 남은 희미한 의식을 붙잡고

우리는 버지니아 울프의 서러운 이야기를 들어야 한다.




* 21


 1855~1856년 이탈리아 여행에서 에드몽 드 공쿠르(Edmond de Goncourt)와 그의 형제 (Jules de Goncourt)[5]은 마치 조각상 같은 금발의 비너스가 발푸르기스의 밤을 주관하는 파우스트 전설 속 환영 같다며 칭송했다.



[5] 에드몽이 형, 쥘이 동생이다. 따라서 그의 동생이라고 써야 한다.





* 31


 수년간 초상화의 모델과 그녀의 묘한 미소를 둘러싼 자극적인 이야기들이 생산되었다. 소문인즉 모델은 레오나르도의 정부였고, 비밀을 가진 여인이자 좋은 새어머니였다는 것이다.[주6]



[6] 모나리자모델이 다 빈치의 새어머니’라는 소문의 진원지는 정신분석학자 프로이트(Sigmund Freud). 프로이트는 <레오나르도 다빈치의 유년의 기억>이라는 글에서 다빈치의 유년 시절을 정신분석학적 방식으로 분석했다











프로이트가 분석한 다빈치의 작품은 <성 안나, 성모 마리아와 아기 예수>(1519년경). 성 안나(그림 가운데)는 마리아의 어머니다. 그림에서 아기 예수를 안으려는 여성이 마리아. 프로이트는 성 안나의 얼굴이 마리아보다 젊게 그려진 것에 주목한다. 프로이트의 견해를 바탕으로 다빈치의 그림을 해석하면, 아기 예수는 젊은 두 어머니와 같이 있. 프로이트는 두 어머니로 해석할 수 있는 성 안나와 마리아가 각각 어린 다빈치를 키운 친모와 새어머니를 상징한다고 주장한다


<레오나르도 다빈치의 유년의 기억>프로이트 전집의 열네 번째 책 예술, 문학, 정신분석(열린책들, 2020년)에 수록되어 있다. 성 안나의 미소는 모나리자 미소와 유사하다. 그런 이유 때문인지 다빈치의 새어머니가 모나리자의 모델이라는 견해가 나온 듯하다.






* 34


(월터 페이터의) 르네상스 역사 연구』 [7]



[7] 본서 25에 언급된 월터 페이터(Walter Pater)의 저서 제목은 르네상스 역사에 관한 연구. <르네상스 역사에 관한 연구>34쪽의 <르네상스 역사 연구>는 내용이 같은 책이다. 페이터의 저서는 르네상스라는 제목으로 번역되었는데, 번역본은 총 3종이다. 문예출판사(이덕형 옮김, 1982), 종로서적(김병익 옮김, 1988), 학고재(이시영 옮김, 2001)에서 출간되었지만, 모두 절판되었다.






* 152

 

 피카소는 고야가 1810년에서 1812[8] 사이에 만든 82점의 에칭에 감탄했다.

 


[8] 스페인의 화가 프란시스코 고야(Francisco de Goya)의 판화집 <전쟁의 참화> 관련 도판 설명문 중 일부다. <전쟁의 참화>1810년에서 1820년 사이에 만들어졌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