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나의 절친 - 예술가의 친구, 개 문화사
수지 그린 지음, 박찬원 옮김 / 아트북스 / 2021년 8월
평점 :
평점
4점 ★★★★ A-
개는 우리에게 가장 친숙한 반려동물이다. 이제는 인간과 함께 사는 개를 ‘가족 구성원’으로 봐도 전혀 어색하지 않은 시대가 됐다. 인류의 조상은 사냥에 함께 나선 용맹스러운 가족 일원인 개를 기억하기 위해 그의 모습을 벽화에 남겼다. 개와 함께 살았던 예술가들은 개의 모습이 담긴 초상화를 그렸다. 어떤 화가는 개와 함께 있는 자신의 모습을 그리기도 했다. 이처럼 개가 등장한 예술작품은 아주 오래전부터 맺어지기 시작한 인간과 개의 친밀한 관계를 여실히 보여준다. 그러나 개를 가족이 아닌 애완동물로 여긴 인간은 특정 품종의 개를 개량했다. 우리가 귀엽다고 느껴지는 개의 생김새는 인위적인 개량을 거쳐서 나온 것이다. 따라서 과거에 그려진 개의 초상화는 인간에 의해 개량되기 전 개의 생김새를 확인할 수 있는 귀중한 사료(史料)다. 이런 시각적 자료를 그저 개를 너무 좋아하는 화가가 남긴 희귀한 작품으로만 볼 수 없다.
《나의 절친》(Dogs in Art)은 고대부터 현대까지, 그리고 동서양 예술가들이 묘사한 개들의 모습을 보여주는 책이다. 하지만 이 책은 애견인이라 자부하는 독자들의 눈을 즐겁게 해주는 화집이 아니다. 저자는 개가 예술작품의 엑스트라에서 당당히 초상화의 주인공이 되는 시대적 변화의 과정을 주목한다. 개를 소중하게 여긴 예술가들은 개를 말 못 하는 동물이 아닌 몸짓으로 애정을 표현하는 인류의 친구이자 가족으로 생각했다. 개의 초상화나 조각 작품 속에 소중한 존재에 대한 감사의 마음이 반영되어 있다.
걸작의 기준을 깐깐하게 보는 평론가의 눈에는 예술작품 속의 개가 미물로 보일 것이다. 미술사의 한쪽을 장식하는 거장이 만들었다고 해도 평론가들은 미물의 모습을 묘사한 거장의 작품을 외면한다. 하지만 개를 유달리 좋아하는 예술가들은 그런 평가에 신경 쓰지 않는다. 애초에 그들은 ‘개가 등장하는 특별한 걸작’을 만들려고 하지 않았다. 어쩌면 예술가들은 미물이 아닌 자신만의 소중한 ‘보물’을 예술작품으로 만들어서 그것을 보게 될 후대 사람들의 마음 속에 영원히 기억되길 바랐을 수 있다. 그들은 죽어서도 자신의 보물을 자랑하고 싶었을 것이다. “제 친구이자 가족을 봐주세요. 정말 귀엽고 사랑스럽죠?”
※ 미주(尾註)알 고주(考註)알
* 24쪽
골리아 → 갈리아(Gallia)
[주1] 갈리아 인은 현재 프랑스와 벨기에 일대, 이탈리아 북부 지역에 살았던 민족이다. 골(Gaul)족이라는 이명도 있다. ‘Gallia’의 한글 표기명은 ‘갈리아’다.
* 275쪽
개는 보나르가 칸에 고립되기 전부터 마르트와 함께 사는 집에서 빠져나갈 많은 이유와 핑계를 찾아주었다. 산책을 데리고 나갔고, 산책하러 나가 카페에서 가까운 친구들을 만났다. 알프레드 자리(보나르는 자리의 희곡 속 괴물 같은 주인공 페르 우부[주2]의 모습을 드로잉으로 100여 점을 그렸다)도 그중 한 친구였다.
[주2] 프랑스어 발음에 따른 한글 표기명은 ‘위뷔’ 또는 ‘위비’다. 알프레드 자리(Alfred Jarry)의 희곡 제목은 ‘Ubu roi’다. ‘위뷔 왕(동문선, 2003)’과 ‘위비 왕(연극과인간, 2003)’이라는 제목으로 번역되어 출간되었다. 페르(Père)는 아버지를 뜻하는 프랑스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