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학과 인문학의 탱고 - 창조적 파괴와 시련, 그리고 집념으로 꽃피운 과학의 역사
황진명.김유항 지음 / 사과나무 / 2014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평점


2점   ★★   C






과학과 인문학의 탱고를 쓴 공동 저자 두 명의 이력이 화려하다황진명 인하대학교 공과대 명예교수1976년에 한국 여성 최초의 공대 교수(인하대학교)가 되었다. 한국재료학회 부회장, 한국공학 교육학회 부회장을 역임했으며 녹조근정훈장, 한국재료학회 학술상, 15회 과학기술 우수논문상 등을 수상했다. 김유항 인하대학교 화학과 명예교수는 한국과학기술한림원 정책연구소센터소장을 역임했고, 현재 한국과학기술한림원 이사,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감사로 활동하고 있다. 2009년 자랑스러운 서울인상, 2010년 황조근정훈장, 2015년 한국과학기술한림원 공로상을 받았다두 사람은 부부다. 미국 네바다 주립대학에서 함께 공부했고, 인하대학교에서 교수로 재직했다. 정년 퇴임 이후에 부부는 과학지식 전도사가 되어 2014년에 첫 번째 책 과학과 인문학의 탱고를 선보였다.


책을 읽으면 저절로 고개가 숙어진다. 하지만 책을 쓴 저자(의 명성이나 권위) 앞에서 고개를 숙이고 싶지 않다. 이것이 내가 서평을 쓸 때 반드시 지키는 철칙이다과학지식 전도사가 된 부부는 과학과 인문학의 간극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두 학문의 뜨거운 만남(?)’을 주선한다. 이 책은 학문적 융합에 대한 관심이 높았던 시기에 나왔다. 그래서 책 제목이 과학과 인문학의 탱고. 두 저자는 탱고가 남녀 댄서의 열기를 느낄 수 있는 춤이라고 생각했던 것 같다


과학과 인문학의 탱고과학자들의 삶과 업적, 과학사의 뒷이야기를 소개한 책이다두 저자는 과학기술과 관련된 이론을 상세하게 설명하려고 노력했지만, 과학 비전공 독자 입장에서는 의욕이 넘치는 저자들의 설명이 어렵게 느껴질 수 있다. 과학과 인문학의 탱고를 한 줄로 평가하면 과유불급(過猶不及)’이다나중에 이유를 자세히 후술하겠지만, 두 저자의 글쓰기는 실망스러울 정도로 형편없다. 참고문헌 전부가 웹사이트이며, 그중에 위키피디아(Wikipedia)에 있는 것도 포함되어 있. 종이책으로 된 참고문헌은 단 한 권도 없다. 이러면 잘못 알려진 정보나 오류를 전달하기 쉬운데, 과학과 인문학의 탱고》에 인터넷 자료에 의존한 글쓰기의 문제점이 고스란히 드러났다. 책 속에 사실과 맞지 않은 내용이 한두 개가 아니다과학과 인문학의 탱고》의 두 저자는 과학지식 전도사의 자질이 부족하다. 


책의 편집 상태도 나쁘다. 오탈자가 너무 많다. 그리고 두 저자는 과거에 사용되었던 화학 명칭을 썼다. 65쪽에 화학 원소명 요오드가 나오는데, 십여 년 전에 개정된 아이오딘(Iodine)’으로 써야 한다. 두 저자는 머리말에서 자신들이 쓴 책이 과학자를 꿈꾸는 청소년들을 위해 기획되었다고 밝혔는데, 책의 수준과 편집 상태로 봐서는 청소년들에게 추천하고 싶지 않다이 서평의 절반은 내가 확인한 잘못된 내용들이다. 오탈자가 너무 많아서 생략하겠다.



* 42


 어릴 적부터 자연에 많은 관심을 가졌던 다윈은 나중에 케임브리지 대학에서 식물학을 공부했다



다윈의 대학 생활은 순탄하지 않았다. 다윈의 아버지는 아들이 의사가 되기를 바랐고, 다윈은 1825년 에든버러대학에 입학하여 의학을 배웠다. 하지만 적성에 맞지 않아 중퇴하였다. 1828년에 다윈은 케임브리지대학으로 전학하여 신학을 공부했다. 그러나 다윈의 관심사는 동물과 식물이었다. 다윈은 케임브리지대학의 식물학 교수 존 스티븐스 헨슬로(John Stevens Henslow)의 강의를 청강했고, 헨슬로는 다윈에게 박물학자의 길로 인도해준 은사가 되었다.




* 71


 1865년에 멘델레예프(Mendeleev)는 <물과 알코올의 결합에 대하여>(A Discourse on the combination of alcohol and water)라는 논문으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그는 이 논문에서 가장 마시기에 적당한 알코올 도수를 40도로 규정하였다. 1894년 러시아 정부는 멘델레예프의 의견을 받아들여 곡물을 숯(최상의 것은 자작나무 숯)으로 만든 필터에 증류한 알코올 도수 40도의 보드카를 생산했다.



위스키 도수와 관련된 맨델례예프 이야기는 보드카 신화(Vodka myth)’라는 이름으로 알려진 낭설이다. 1843년에 러시아 정부는 보드카의 표준 알코올 도수를 제정했다. 멘델레예프의 논문 <물과 알코올의 결합에 대하여>에 보드카의 표준 알코올 도수와 관련된 내용이 없다. 이 논문은 70도 이상 도수의 알코올을 분석한 결과에 대한 것이다. (출처: Anton Evseev, Dmitry Mendeleev and 40 degrees of Russian vodka, Pravda.ru, 2011)



* 177


 서정적 시인의 대명사, 독일 시인 라이너 마리아 릴케(Rainer Maria Rilke)장미가시에 찔려 사망했다고 하던가? 바로 이 경찰관도 눈, 얼굴, 그리고 폐에 엄청난 농양이 생겨 목숨을 위협하는 패혈증에 걸렸다.



릴케의 사망 원인은 패혈증이 아니라 백혈병이다. 장미 가시에 찔려 죽었다는 독일 시인의 낭만적인 최후는 잘못 알려진 것이다




* 379


 조지프 리스터(Joseph Lister)최초로 외과에서의 소독법을 개발했다.



리스터보다 먼저 소독법을 개발한 의사들이 있었다. 프랑스의 외과의사 파레(Ambroise Pare)1537에 난황과 테레빈유를 혼합해 상처를 소독했다. 제멜바이스(Ignaz Philip Semmelweis)는 의사들이 손을 소독하기만 하면, 산욕열로 인한 산모의 사망률을 낮출 수 있다고 주장했다.



* 385


 1940년 파리를 점령한 독일군으로부터 파스퇴르의 지하묘실을 열라고 명령을 받은 마이스터는 요구에 응하는 대신 자살을 택함으로써 파스퇴르에 대한 은혜를 갚았다.



조지프 마이스터(Joseph Meister)는 파스퇴르가 개발한 광견병 백신을 접종받은 인물이다. 1885, 광견병에 걸린 개에 물린 마이스터는 백신을 맞은 덕분에 살아남을 수 있었다. 그는 자신을 살려준 파스퇴르에게 은혜를 갚기 위해 파스퇴르 연구소 관리인으로 일했다. 그런데 그의 죽음이 연구소 지하실에 있는 파스퇴르의 묘를 지키기 위해 자살했다는 식으로 잘못 알려졌다. 실제로 그는 나치 독일의 프랑스 침공으로 인해 가족을 잃은 슬픔을 견디지 못해 자살했다. 하지만 죽은 줄로만 알았던 마이스터의 가족들은 살아 있었다.



* 394


 에를리히는 실험임상의학의 창시자인 프레리히스(Theodor Frerichs) 밑에서 조직학, 혈액학, 염색화학을 집중적으로 연구했다. 그는 코흐가 발견한 결핵균 염색법에 대한 연구결과를 1882년에 발표했는데, 이 염색법은 오늘날도 사용되고 있는 질넬슨 염색법의 토대가 되었고, 현재 세균학자들에 의해 널리 사용되고 있는 그람 염색법그로부터 고안되었다.



그람 염색법(Gram’s stain)은 프레리히스가 아니라 덴마크의 미생물학자 한스 크리스티안 그람(Hans Christian Gram)이 고안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