법, 셰익스피어를 입다 셰익스피어 에세이 3부작
안경환 지음 /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 2012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셰익스피어(Shakespeare)의 작품들을 보면 과 관련된 장면이나 대사가 많이 나온다. 특히 희극 베니스의 상인에 나오는 재판 장면은 가장 유명하다. 젊은 귀족 바사니오(Bassanio)포셔(Portia)와 결혼하고 싶어서 친구 안토니오(Antonio)에게 결혼 자금을 마련해 달라고 부탁한다. 무역 상인 안토니오는 무역용 배들에 실은 자산을 담보로 유대인 고리대금업자인 샤일록(Shylock)에게 돈을 빌린다. 그런데 불행하게도 배들이 모두 침몰하는 바람에 안토니오는 빈털터리가 된다. 안토니오를 증오하는 샤일록은 신체 담보 계약서에 쓰인 대로 안토니오의 심장 가까이에서 살 1파운드를 베어 내려고 한다. 하지만 재판관으로 분장한 포셔는 피 한 방울 흘리지 않고 정확히 1파운드의 가슴살을 떼어내라고 판결을 내린다. 포셔의 판결로 인해 안토니오와 샤일록의 운명이 달라진다. 안토니오는 목숨을 구하지만, 샤일록은 전 재산을 날리고 기독교로 개종까지 하게 되는 수난을 겪는다. 독자들은 안토니오를 살린 포셔의 지혜와 명판결에 찬사를 보낸다. 그러나 몇몇 법률가는 포셔의 판결을 비판하면서 샤일록이 정의에 어긋난 재판의 희생양이 되었다고 주장한다.

 

미연방대법원 대법관들은 판결을 내릴 때 셰익스피어 작품 속 대사를 인용한다. 셰익스피어의 작품에는 왜 유독 법과 관련된 장면과 대사가 많이 나올까? , 셰익스피어를 입다는 이 궁금증을 해갈해주는 책이다. 이 책을 쓴 안경환 서울대학교 법과대학 명예교수는 문학에 조예가 깊은 법조인이다. 그는 문학 작품 속에 투영된 법의 모습을 다룬 글을 써왔다. , 셰익스피어를 입다는 셰익스피어의 대표작에 나오는 법과 법조인들의 모습을 분석한 학자들의 다양한 견해를 소개한 책이다.

 

셰익스피어가 활동하던 16세기 영국은 소송 폭주의 시대이다. 한 해 평균 1백만 건의 소송 사건이 일어났다고 한다. 법에 의지하는 국민의 수가 폭발적으로 증가하면서 자연스럽게 법원의 종류도 많아졌다. 왕립법원에 나온 수많은 판결은 시간에 지나면서 누적되어 관습법(Common law)이 된다. 셰익스피어는 자신의 명성과 재산을 지키기 위해 여러 번 소송을 제기했다. 그는 크고 작은 소송들을 겪으면서 법에 대한 지식을 습득하는 동시에 법 제도의 한계 등을 피부로 느꼈을 것이다. 이러한 경험은 작품들을 더욱 풍성하게 만드는 거름이 된다.

 

저자는 문학 작품을 사회적 텍스트로 본다. 사회적 텍스트로서의 문학 작품에 시대가 반영되어 있다. 따라서 문학 작품은 시대의 거울이다. 셰익스피어의 작품에 법 제도의 변천사가 반영되어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베니스의 상인의 재판 장면에 대한 법조인들의 분석 다음으로 이 책에 주목해야 할 내용은 햄릿(Hamlet)의 유명한 독백에 대한 법적인 해석이다. 그동안 학자와 독자들은 “To be, or not to be, that is the question”을 햄릿의 우유부단한 성격을 단적으로 보여주는 대사로 해석했다. 그렇지만 저자는 기존의 통설을 반박하면서 법률가적 해석을 주장한다. ‘법률가적 해석에 따르면 햄릿은 아버지의 복수를 실패한 우유부단한 사람이 아니다. 그는 복수에 눈이 멀기 쉬운 자신의 감정을 조절하기 위해 노력했다. 만약 그가 당장 삼촌을 죽였으면 살인자가 된다. 햄릿은 살인죄의 책임을 면하는 대책을 강구했을 것이다. 그리고 삼촌이 아버지를 죽인 사실을 뒷받침할 수 있는 증거를 포착해서 언젠가 공격할 수 있는, 법적 복수를 생각했을 수도 있다. 따라서 햄릿은 신속한 사적 복수와 지루한 법적 복수 중에 무엇을 선택할지 고민한 것이다. 저자는 햄릿의 고민을 영리한 법률가의 계산된 이성적인 행동으로 본다.

 

햄릿에 대한 법률가적 해석은 참신하지만, 다수의 사람이 동의하기 힘든 비주류 해석으로 남을 가능성이 높다. “To be, or not to be, that is the question”을 어떻게 번역하느냐에 따라 햄릿의 성격에 대한 분석이 달라진다. ‘법률가적 해석을 주장한 저자는 햄릿의 대사를 사느냐, 죽느냐, 그것이 문제다라고 의역했다. 가장 많이 알려진 번역문이다. 원문을 직역하면 있음이냐 없음이냐, 그것이 문제다가 된다. 직역을 선호하는 역자나 독자가 많지 않지만, 그래도 의역한 문장이 무조건 바람직하다고 볼 수 없다. 햄릿의 대사는 의미를 제대로 살리면서 번역하기 힘든 문장이다. 그러므로 의역한 문장만 가지고 햄릿을 고민하는 영리한 법률가로 해석하기에는 무리가 있다.

 

아마도 저자는 문학에 문외한인 법학도와 문학을 좋아하는 법학 비전공자 모두를 충족시키기 위해 이 책을 썼을 것이다. 그래서 , 셰익스피어를 입다멀찌감치 떨어진 문학과 법이라는 두 문화를 왕래하고 싶은 독자들을 위한 다리 같은 역할을 해줄 수 있다. 그러나 이 책은 문학 애호가와 법학도 모두를 만족시켜주는 책이 되기 어려워 보인다. 이 책을 흥미롭게 읽기 위해서는 셰익스피어의 작품을 먼저 읽어보는 것이 좋다. , 셰익스피어를 입다에 소개된 열두 편의 작품 중에 국내 독자들이 잘 읽지 않는 역사극(헨리 62, 리처드 2, 리처드 3)’이 포함되어 있다. 지루하고 오랜 시간이 걸리더라도 셰익스피어의 작품을 알고 나서 , 셰익스피어를 입다를 읽으면 작품 속 장면에 대한 저자의 해석을 이해할 수 있다. 법률 용어의 의미를 상세하게 설명한 각주가 없는 저자의 글은 책을 읽으려는 법학 비전공자에게 부담감을 준다. 이렇다 보니 에세이집’이 아닌 논문 모음집을 본다는 느낌을 지울 수 없다.

 

어이없는 오자와 오류가 눈에 걸린다. 15쪽에 있는 웨스터민스터웨스트민스터(Westminster) 사원의 오자다. 112쪽에 햄릿의 삼촌을 클라우디우스라고 잘못 썼다. 클라디우스라고 써야 한다. 148~149쪽에 영국의 수필가 겸 언론인 조셉 애디슨(Joseph Addison)조셉 에디슨(Joseph Edison)으로 잘못 썼다(조셉 애디슨보다 조지프 애디슨라는 이름이 더 많이 알려져 있)157쪽에 보조관이라는 단어가 있는데, 보좌관의 오자로 보인다. 293쪽에 한 여름 밤의 꿈의 등장인물 이름이 잘못 적혀 있다. 타니아너'티타니아(Titania)'로 고쳐야 한다. 348쪽에 보면 동성애자옆에 소괄호로 ‘LGBT’로 표기한 문장이 있다. ‘LGBT’는 레즈비언, 게이, 바이섹슈얼, 트랜스젠더의 첫 글자를 합친 것으로 성소수자를 뜻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