테크놀로지의 덫 - 자동화 시대의 자본, 노동, 권력
칼 베네딕트 프레이 지음, 조미현 옮김 / 에코리브르 / 2019년 9월
평점 :
품절


 

 

인류 발전의 역사는 기술 발전의 역사라 할 수 있다. 인류는 기술을 습득할 줄 알며 기술과 관련된 정보를 사회 속에서 전달하여 축적한다. 그러나 인류의 역사가 항상 기술이 발전하는 방향으로 이뤄진 것만은 아니다. 기술이 발전하는 추세는 분명하지만, 기술 발전을 막으려는 시도도 있었다. 1811년에서 1817년 사이에 걸쳐 영국에서 일어난 러다이트(Luddite Movement)는 방적 기계의 도입을 막기 위해 일어난 운동이었다. 요즘은 인공지능(AI) 기술과 로봇이 사람의 일자리를 위협하고, 인간 존재 자체에 도전할지 모른다고 주장하는 새로운 러다이트 운동이 나타나고 있다.

 

우리에게 익숙한 모든 기술은 사회에 정착되는 데 상당히 오랜 시간이 걸렸다. 기술을 막으려는 세력들의 저항이 만만치 않았기 때문이다. 새로운 기술의 도입은 기존의 정치 세력과 노동자들에게 영향을 미친다. 이들의 저항은 이제 막 발전하려는 기술의 발목을 잡는 으로 작용한다. 테크놀로지의 덫은 수천 년간 기술이 무궁무진하게 발전했음에도 경제 성장이 더딘 이유를 주목한다. 그 이유는 새로운 기술의 힘이 두려운 세력들의 지속적인 활동이다. 정치적 힘을 가진 러다이트는 민중주의자(populist)가 되어 혁신을 거부하는 시민들의 지지를 얻는다. 민중주의자로 변신한 러다이트는 새로운 기술 확산으로 인해 사회에 혼란을 일어날 수 있다고 주장한다. 사실 시민들을 불안하게 만드는 건 정략적 의도로 새로운 기술에 대한 공포를 조장하는 민중주의자들이다.

 

우리는 러다이트를 지배계급에 저항하는 세력으로 생각한다. 테크놀로지의 덫은 우리의 편견을 깨뜨린 책이다. 지배계급이 노동을 대체하는 기술의 발전 속도를 늦춰왔다. 그들이 노동 대체 기술을 도입하면 이득보다는 손실이 더 크다. 무엇보다도 그들은 노동 대체 기술 도입으로 급부상한 신흥 산업 계급을 반기지 않는다. 이 사실을 증명해주는 사례가 18세기 산업화 시대이다.

 

산업혁명이 시작된 영국에서는 신흥 산업 계급이 강력한 정치 세력으로 등장했다. 그러면서 기계화가 경제 성장과 정치적인 헤게모니(hegemony)의 중대한 변수가 된다. 신흥 산업 계급은 자신들의 정치적 · 경제적 기반을 확실히 다지기 위해 기술을 보급하는 일에 노력했다. 시간이 흐르면서 구세대의 지배계층도 영국 사회의 대세가 된 신흥 산업 계급의 편이 된다. 기계가 있는 공장이 우후죽순 들어서면서 가내 공업 노동자들은 위기의식을 느끼게 되고, 기계화에 반대하는 입장을 드러낸다. 기계화의 경제적 효과가 서서히 나타나기 시작했고, 생산성이 향상하면서 공장 노동자들의 임금이 인상되었다. 정치적 힘이 없던 러다이트는 오래 가지 못했다. 공장에 일하기 위해 도시로 몰려온 노동자들이 많아지면서 대중의 기계 기피증은 사라졌다.

 

기계화가 이루어진다고 해서 대중의 기계 기피증이 자연스럽게 사라지는 건 아니다. 저자는 기계화 같은 기술 발전의 혜택을 받는 노동자가 많아져서 혁신에 대한 거부 반응이 사라졌다고 주장한다. 이 주장을 뒷받침해주는 근거가 된 시기가 2차 산업혁명이 일어난 20세기다. 미국에서 시작된 2차 산업혁명의 특징은 가정의 기계화다. 이 시기에 가정에 전기가 들어오기 시작했고 가전제품이 등장했다. 제조업이 발전하면서 미국인들은 급료가 나쁘지 않고, 덜 힘든 작업장이 있는 공장 일을 선호했다. 미국인들에게 기계화는 공포가 아니라 축복이었다. 그래서 20세기에 러다이트는 거의 일어나지 않았다.

 

우리는 지금 인공지능과 로봇 보급에 주목하는 자동화 시대에 살고 있다. 이 시대를 사는 당신은 새로운 기술의 등장을 환영하는가, 아니면 기술의 등장을 두려워하는가. 언젠가 우리 사회가 인공지능과 로봇 산업에 다시 주목한다면 분명 러다이트가 나타날 것이다. 21세기의 러다이트는 18세기의 러다이트처럼 금방 사라지지 않을 것이다. 앞서 언급했듯이 민중주의자로 변신한 러다이트의 존재를 가볍게 볼 수 없다. 정부가 러다이트의 편에 서는 경우도 있다. 저자는 자동화의 흐름에 역행하는 정치인으로 우리나라 대통령을 언급한다. 우리 정부는 고용 우려 때문에 로봇공학 및 자동화 투자에 대한 세금 우대 정책을 축소했다. 우리나라뿐만 아니라 미국, 영국에서도 자동화 기술 도입을 지연하거나 아예 막기 위해서 정치적 의제로 내세운 정치인들이 등장하고 있다.

 

저자는 자동화 기술에 열광하는 사회적 분위기를 너무 두려워할 필요가 없다고 말한다. 그는 자동화 기술에 대한 두려움을 과장되게 선전하는 민중주의자들의 등장을 경계한다. 그들의 행보로 인해 잘못된 경제 정책이 나올 수 있고, 너무 방관하면 경제 발전을 더디게 하는 치명적인 덫이 될 수도 있다. 인공지능 기술과 로봇이 노동자보다 많아지는 시대가 온다면 분명 고용에 불이익을 받는 사람들이 나타난다. 하지만 저자는 자동화 기술의 경제적 효과와 그에 따른 혜택을 간과해선 안 된다고 말한다. 자동화 기술의 경제성에 주목하는 저자의 입장은 기업가들의 편에 선 정치인들이 엄청 좋아하는 낙수 효과(Trickle Down)를 떠올리게 한다. 그러나 이 책을 정말 끝까지 읽지 않으면 저자의 주장을 오해할 수 있다. 테크놀로지의 덫은 두꺼운 책이다. 읽는 내내 지루하다고 해서 책을 덮으면 안 된다. 완독을 못 하더라도 이 책 474쪽의 마지막 문장에 반드시 주목해야 한다(사실 이 책의 서론과 결론만 잘 읽어도 책의 핵심을 충분히 파악할 수 있다). 이 책의 마지막 장에 저자는 일자리를 창출하지 않고, 부만 늘리는 기술이 등장하는 세상에서 사는 우리가 해결해야 할 과제로 분배 문제를 언급한다. 소득 분배가 나빠지면 불평등도 심해진다. 과연 현재 인류는 기술 혁신을 촉진하면서 동시에 분배 불평등 문제를 개선할 수 있을까. 두 마리 토끼를 잡아야 하는 과제가 너무 어려워 보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9)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