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은 머리에 하나로 이어지는 짙은 눈썹, 당당한 눈빛, 그리고 화려한 멕시코 전통 의상. 프리다 칼로(Frida Kahlo)는 길지 않은 생애 동안 수백 점의 작품을 남겼고 그중 다수가 자화상이었다. 남편 디에고 리베라(Diego Rivera)는 멕시코 민중이 있는 풍경을 벽화로 그렸지만, 프리다는 자신의 체험과 감정을 소재로 내면의 풍경을 그렸다.
* 르 클레지오 《프리다 칼로 & 디에고 리베라》 (다빈치, 2011)
* 휘트니 채드윅 《뮤즈에서 예술가로》 (아트북스, 2019)
프리다와 디에고와 결혼했을 때 사람들은 ‘비둘기와 코끼리의 결합’이라고 놀렸다. 그를 너무나 사랑했던 프리다는 디에고를 ‘나의 뚱뚱보(Me El Gordo)’라는 애칭을 부르곤 했다. 그러나 두 사람의 결혼 생활은 순탄치 않았다. 바람기를 주체하지 못한 디에고는 프리다의 동생과 불륜에 빠지기도 했다. 프리다의 삶은 줄곧 망가져 가는 육체와의 싸움이었다. 그녀는 서른 번 넘게 수술을 받았다. 그녀의 병실은 화실이 됐고, 그림의 모델과 소재는 자기 자신이 됐다. 어린 시절 소아마비에 끔찍한 교통사고까지, 고통으로 몸부림쳤던 그녀는 그림으로 자신의 슬픈 경험과 삶에 대한 희망을 말한다. 프랑스 작가 르 클레지오(Le Clezio)가 쓴 《프리다 칼로 & 디에고 리베라》(다빈치)는 결혼 이후 두 사람의 그림이 서로 어떻게 영향을 주고받으면서 변화하는지 보여준다. 프리다와 디에고는 서로의 그림으로 영감을 얻으면서 자신만의 예술관을 발전시키는 한편, 배우자의 예술적 영향력을 넘어서려고 노력했다.
초현실주의 그룹을 이끈 앙드레 브르통(Andre Breton)과 그의 아내 자클린 랑바(Jacqueline Lamba)는 멕시코에 가서 프리다 부부를 만난다. 이때부터 프리다와 자클린은 절친한 관계로 발전한다. 그러나 프리다는 브르통을 좋아하지 않았다. 프리다의 작품을 평가한 브르통의 발언이 문제였다. 브르통은 그녀의 작품을 칭송하면서 그녀를 초현실주의자라고 선언했다. 프리다는 자신을 초현실주의자로 규정하는 평가를 받아들이기를 거부했다. 프리다는 초현실주의 그룹의 여성 일원이라 볼 수 없지만, 자클린은 그녀의 그림을 좋아했다. 두 여인의 이야기는 여성 초현실주의들의 삶과 우정을 그린 책 《뮤즈에서 예술가로》(아트북스)에 있다. 이 책의 표지에 있는 두 여인이 프리다와 자클린이다. 이 둘이 친밀한 관계로 이어질 수 있었던 것은 너무도 매력적인 서로의 재능이었다.
* 정일영 《내가 화가다》 (아마존의나비, 2019)
페미니즘 관점으로 미술 작품을 바라보는 방식을 알려주고, 여성 예술가들의 삶과 작품을 소개한 《내가 화가이다》(아마존의나비)에도 프리다가 언급된다. 페미니즘 미술과 여성 예술가 중심의 미술사를 논할 때 프리다가 빠져선 안 된다. 그런데 이 책의 저자는 프리다를 언급하면서 그녀에 대한 사실과 다른 내용을 주장한다.
칼로는 자신을 초현실주의 화가로 분류한 비평가들에게 반발하지는 않았던 것으로 보인다. 그 시절 미술의 가장 중요한 흐름 중 하나였던 초현실주의자 호칭이 딱히 불편하거나 불리할 것은 없었다. (23쪽)
프리다는 초현실주의자들의 대장으로 알려진 브르통의 평가를 거부했던 사람이다. 또 남성 초현실주의자들이 공유한 예술에 동조하지 않았다. 저자는 무슨 근거로 프리다가 비평가들의 평가에 반발하지 않았다고 말하는 것일까. 이러한 주장은 사실이 왜곡되게 전달돼 독자들에게 오해를 줄 수 있다. ‘프리다는 초현실주의자’라고 말이다. 프리다는 ‘프리다’다. 그녀의 예술은 어떤 사조로 규정할 수 없다.
※ Trivia
《내가 화가이다》 111쪽에 ‘제르미 벤담’이라는 이름이 나온다. 영국의 철학자 제러미 벤담(Jeremy Bentham)의 오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