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르밀라》를 펴낸 초록달 출판사1인 출판사다. 한 사람이 혼자서 책 한 권을 만들어 판매한다는 것은 쉽지 않다. 책 한 권 만드는 과정 중에서 가장 힘든 업무는 외국 문학작품을 번역하는 일이다. 번역해보지 않았지만, 조금만 역자들의 삶을 생각해본다면 번역하는 일이 고된 작업이라는 걸 알 수 있다. 역자는 원문의 단어 하나하나 끊임없이 눈으로 만져본 다음 그 의미와 비슷한 제2의 단어를 찾아내서 종이에 옮겨 써야 한다. 홀로 단어들과 씨름하고 있는 역자들 덕분에 독자는 다른 나라의 글을 편안하게 읽을 수 있다.

 

 

 

 

 

 

 

 

 

 

 

 

 

 

 

 

 

 

* 르 파뉴 《카르밀라》 (초록달, 2015)

 

 

 

초록달 출판사가 레 파누(Le Panu)의 대표작 두 편(『카르밀라』와 『그린 티』)을 번역하기로 한 점, 그리고 이 책의 출간을 위해 후원해준 분들 모두 진심으로 감사하다. 하지만 이 책의 번역문에 아쉬운 점이 눈에 띈다. 먼저 『카르밀라』의 번역문부터 살펴보겠다.

 

 

 

 

 

  아무 말이 없던 아버지가 셰익스피어의 소설 한 구절을 인용하며 말했다. 아버지는 영어 실력을 유지하기 위해 큰소리로 글을 읽고는 했는데, 이번에도 그렇게 소리 내어 말했다. (27~28쪽)

 

 

 

 

 

 

 

 

 

 

 

 

 

 

 

 

 

 

 

* 메리 램, 찰스 램 《명화와 함께 읽는 셰익스피어 20》 (현대지성, 2016)

* 메리 램, 찰스 램 《셰익스피어 이야기》 (비룡소, 2012)

 

 

 

 

셰익스피어(Shakespeare)는 소설을 쓴 적이 없다. 그는 희곡 작품과 소네트(sonnet)를 썼다. 셰익스피어의 희곡 작품은 소설 형식으로 편집되어 만들어지기도 했다. 영국의 수필가 찰스 램(Charles Lamb)과 그의 누이 메리 앤 램(Mary Ann Lamb)은 1807년에 어린이들의 눈높이를 맞춘 《셰익스피어 이야기》를 썼다. 메리 램은 낭만주의 문인들과 교류하는 작가였으나 정신병 발작으로 어머니를 살해했다. 찰스 램은 평생 독신으로 누이를 간호하면서 살았다. 남매가 함께 쓴 《셰익스피어 이야기》는 어린이를 위한 고전이 되었다.

 

『카르밀라』의 시대적 배경이 정확히 언제인지는 확실하게 알 수 없다. 레 파누가 작중 시간을 언급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독자는 로라(Laura)가 어느 시기에 살았는지 어림짐작해야 한다. 결론부터 말하면 『카르밀라』의 작중 시간은 19세기 중반이다. 《셰익스피어 이야기》가 19세기 초반에 나왔으니 로라가 이 책을 모를 리가 없을 것이다. 그렇지만 셰익스피어가 언급된 원문과 번역문만 봐서는 로라의 아버지가 《셰익스피어 이야기》의 한 구절을 인용했는지 아니면 셰익스피어의 희곡 작품에 있는 구절을 인용했는지 알 수 없다. 원문에는 ‘셰익스피어의 소설’이라고 번역할 수 있는 구절이 없다. 어린 로라는 어른이 읽는 희곡 버전보다 소설 버전의 《셰익스피어 이야기》가 더 익숙하게 느껴졌을 것이다. 그래서 ‘셰익스피어의 소설’이라는 표현을 쓸 수 있다. 하지만 너무 복잡하게 생각할 필요는 없을 듯하다. ‘셰익스피어의 소설’은 오역이다.

 

 

 

 

  라폰테인이 머리에 검은색 터번을 쓰고 인상이 험악했던 여인에 대해 설명했다. (38쪽)

 She described a hideous black woman, with a sort of colored turban on her head.

 

 

 

 

 

 

 

 

 

 

 

 

 

 

 

 

 

 

 

 

* [품절] 정진영 엮음 《뱀파이어 걸작선》 (책세상, 2006)

 

 

 

다음 인용문은 흑인 여성에 대한 부정적 인식이 반영되어 있다. 그걸 지적하기 위해서 인용한 것은 아니다. ‘colored turban’을 번역한 표현에 문제를 제기하려는 것이다. ‘coloured’는 흑인을 포함한 유색인을 비하하는 뜻을 가진 단어이지만, ‘검은색 터번을 쓴 여인’이라고 번역하면 독자는 (원문에 분명히 언급된) 그 여인이 흑인이라 사실을 파악하지 못한다. 원문의 뜻을 그대로 살리면서 번역한다면 ‘색깔 있는 터번을 쓰고 인상이 험악했던 흑인 여성’으로 쓰는 것이 적절하다. 이미 『카르밀라』를 번역했던 정진영‘유색 터번을 두른 오싹한 흑인 여자’라고 썼다(《뱀파이어 걸작선》, 36쪽).

 

 

 

 

 

 

 

 

 

 

 

 

 

 

 

 

 

 

 

 

* [품절] 윤호송 엮음 《세계 괴기소설 걸작선 1》 (자유문학사, 2004)

 

 

 

 

다음 인용문은 『그린 티』의 결말에 해당하는 문장의 일부다. 마틴 헤셀리우스 박사(Dr. Martin Hesselius)는 동료 교수에게 보내는 편지에서 녹차를 마신 뒤부터 악마를 목격하게 된 제닝스(Jennings) 신부의 증상에 대한 소견을 밝힌다.

 

필자는 《세계 괴기소설 걸작선 1》(자유문학사)에 수록된 『녹차』를 읽었는데, 『녹차』(자유문학사)의 결말과 『그린 티』(초록달)의 결말에 있는 내용이 약간 다르다는 걸 느꼈다. 확인해 보니, 『그린 티』의 결말 부분에 오역으로 보이는 문장이 있었고, 심지어 원문의 일부가 누락된 것을 알았다.

 

 

 

  You know my tract on “The Cardinal Functions of the Brain.” I there, by the evidence of innumerable facts, prove, as I think, the high probability of a circulation arterial and venous in its mechanism, through the nerves.

 

 ‘뇌의 기본적인 기능’이란 제목을 붙인 내 논문에 대해 알고 있을 것이다. 나는 거기에서 많은 사례를 들어, 뇌 조직의 기능에 신경이 연결되어 정 · 동맥 혈액의 순환 작용이 크게 이루어지고 있음을 증명했다. 

 

(『녹차』, 343쪽)

 

  제가 뇌 주요기능학회에서 어떤 연구를 발표했었는지 아실 겁니다. 셀 수도 없이 많은 증거를 제시하며, 신경세포가 뇌 메커니즘에서 동맥과 정맥 순환기와 같은 역할을 한다고 밝히지 않았습니까. 

 

(『그린 티』, 250쪽)

 

 

 

‘my tract’ ‘내 (소)논문’ 또는 ‘내 팸플릿’으로 번역해야 한다. 따라서 ‘The Cardinal Functions of the Brain’은 헤세리우스 박사가 쓴 논문 제목이거나 주제이다. 원문에 ‘학회’라고 번역할 만한 단어가 보이지 않는다.

 

 

 

 

다음 문장은 『그린 티』에 누락된 원문과 그 번역문이다.

 

 

 

  The seat, or rather the instrument of exterior vision, is the eye. The seat of interior vision is the nervous tissue and brain, immediately about and above the eyebrow. You remember how effectually I dissipated your pictures by the simple application of iced eau-de-cologne. Few cases, however, can be treated exactly alike with anything like rapid success. Cold acts powerfully as a repellant of the nervous fluid. Long enough continued it will even produce that permanent insensibility which we call numbness, and a little longer, muscular as well as sensational paralysis.

  I have not, I repeat, the slightest doubt that I should have first dimmed and ultimately sealed that inner eye which Mr. Jennings had inadvertently opened. The same senses are opened in delirium tremens, and entirely shut up again when the overaction of the cerebral heart, and the prodigious nervous congestions that attend it, are terminated by a decided change in the state of the body. It is by acting steadily upon the body, by a simple process, that this result is produced—and inevitably produced—I have never yet failed.

 

 

  외적 영상으로서의 역할, 혹은 도구는 바로 눈(eye)이다. 하지만 내적 영상의 역할은 눈 주변에 있는 조직과 뇌가 담당한다. 내가 얼음으로 차게 만든 오드콜로뉴(eau-de-cologne: 향수 이름)를 사용한 것만으로도 당신의 환각 증상을 완전히 없애 버린 것을 떠올려 주길 바란다. 그렇게 신속정확하게 큰 효과를 본 예는 좀처럼 없었다. 어쨌든 차게 한다는 것은 신경 유동체(nervous fluid)를 흩어지게 하는 데 강력한 효과가 있는 것이다. 그 방법을 장시간 연속해서 사용한다면, 마비(paralysis)라는 영속적인 불감성(不感性, 감각이 없는: insensibility)을 생기게 할 것이다. 그리고 더욱 오랫동안 연속해서 사용하면 감각과 함께 근육(muscular)까지도 마비될 것이다.

  사실 나는 제닌구즈(제닝스) 씨가 모르는 사이에, 어떻게 해서든 그의 내면의 시력(inner eye)을 잃게 해서, 마지막에는 결국 그것을 가려야 한다고 생각했다. 그와 같은 지각은 섬망증(delirium tremens: 의식장애와 내적인 흥분의 표현으로 볼 수 있는 운동성 흥분을 나타내는 병적 정신상태)의 경우에도 일어나는 신경의 이상 충혈(congestion)이 신체 정황의 결정적인 변화에 의해서 한정될 때에 완전하게 폐지된다. 이런 결과는, 신체상에 항상 작용하는 단순한 과정에서 생겨나는 것으로써, 필연적인 결과라고 할 수 있다. 그 사실을 알기 때문에 나는 실패한 적이 없었다.

 

 

(『녹차』, 343~344쪽)

 

 

 

이 긴 내용을 요약하자면, 헤세리우스 박사는 제닝스의 환각 증상을 녹차에 중독된 ‘내면의 눈(inner eye)’에서 일어난 이상 증세라고 진단한다. 그래서 이 증상의 원인을 제대로 발견한다면 완치가 가능하다고 주장한다. 『그린 티』의 역자는 ‘내면의 감각’이라는 표현을 썼는데, 나는 이 표현이 ‘inner eye’의 의미와 맞지 않는다고 생각한다.

 

 

번역을 해본 적이 없는 평범한 독자의 개인적인 의견이므로 이 글에 대한 반박 의견이 나올 것으로 예상한다. 잘못된 내용이 있으면 겸허히 받아들이고 수정하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9)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