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등학교[주] 시절 노트 위에

나의 책상과 나무 위에

모래 위에 눈 위에

나는 너의 이름을 쓴다.

 

내가 읽은 모든 페이지 위에

모든 백지 위에

돌과 피와 종이와 재 위에

나는 너의 이름을 쓴다.

 

[중략]

 

되찾은 건강 위에

사라진 위험 위에

회상없는 희망 위에

나는 너의 이름을 쓴다.

 

그 한마디 말의 힘으로

나는 내 삶을 다시 시작한다.

나는 태어났다 너를 알기 위해서

너의 이름을 부르기 위해서

자유여.

 

 

(엘뤼아르, 오생근 옮김, 『자유』 중에서)

 

 

 

프랑스 시인 폴 엘뤼아르(Paul Eluard)가 쓴 유명한 시 『자유』의 원래 제목은 ‘단 하나의 생각’이었다고 한다. 엘뤼아르는 이 시의 맨 마지막 문장에 자신이 사랑하는 두 번째 부인의 이름(Nusch, 뉘쉬)을 쓸려고 했다. 엘뤼아르에게 사랑이란 ‘자유’의 동의어다. 『자유』라는 이 시 한 편이 너무나 유명해서 대부분 사람은 엘뤼아르를 ‘저항 시인’으로 생각하겠지만, 그를 유명하게 만든 건 초현실주의자 그룹에서 활동한 이력이다.

 

 

 

 

 

 

 

 

 

 

 

 

 

 

 

 

 

 

* [품절] 엘뤼아르 《이곳에 살기 위하여》 (민음사, 1994)

* 앙드레 브르통 《초현실주의 선언》 (미메시스, 2012)

 

 

 

 

초현실주의는 이성과 합리주의로 대변되는 서구 문명 전반에 대한 반역을 꿈꾸는 예술 운동의 하나였다. 꿈과 무의식의 세계, 공상 등의 비현실적인 세계와 이성에 속박되지 않고 상상력의 세계를 회복시키며 인간 정신을 해방하는 것을 큰 목표로 하였다. 초현실주의자들은 삶도 예술의 연장선으로 여겼다. 자유연애는 기본이었고, 주목받기 위해 기행도 일삼았다. 1924년에 『초현실주의 선언』을 발표한 앙드레 브르통(Andre Breton)은 처음으로 초현실주의의 개념을 명확히 정의하려고 하였다. 그는 프로이트(Freud)의 정신분석학에 영향을 받아 꿈, 광기의 가치를 높이 평가했다. 하지만 프로이트는 초현실주의자들이 무의식의 세계를 표현하기 위해 정신분석학을 이용하는 것을 좋아하지 않았다. 프로이트는 정신분석학으로 인간의 원초적 무의식, 즉 꿈을 ‘해석’하고 싶었을 뿐이었다.

 

 

 

 

 

 

 

 

 

 

 

 

 

 

 

 

 

 

 

 

 

 

 

 

 

 

 

 

 

 

 

 

 

* 캐서린 잉그램, 앤드류 레이 그림 《This is Dali》 (어젠다, 2014)

* 돈 애즈 《살바도르 달리》 (시공아트, 2014)

* 크리스티아네 바이데만 《살바도르 달리》 (예경, 2009)

* 피오렐라 니코시아 《달리: 무의식의 혁명》 (마로니에북스, 2007)

* 장 루이 가유맹 《달리: 위대한 초현실주의자》 (시공사, 2006)

 

 

 

 

초현실주의자들은 현실에서 도피하는 몽상가는 아니었다. 의외로 그들은 정치와 현실에 적극적으로 관심을 보였다. 브르통은 공산주의자였다. 그는 1930년대 말에 멕시코를 방문해 그곳에서 망명 생활을 하고 있던 레온 트로츠키(Leon Trotsky)를 만나기도 했다. 브르통 이외에도 시인 루이 아라공(Louis Aragon), 르네 마그리트(René Magritte) 등도 공산주의자였다. 이념에 심취하다 보니 초현실주의자들 사이에 이견이 있었고 이로 인해 불거진 갈등으로 인해 초현실주의 그룹을 떠나는 화가들이 속출했다. 브르통은 살바도르 달리(Salvador Dali)‘돈에 환장한 사람(Avida Dollars)이라는 별명을 붙여가면서 비난했고, 그를 초현실주의 그룹에서 제명했다. 브르통이 달리를 조롱하면서 만든 별명은 달리 이름의 철자를 바꾼 것이다. 달리는 노골적으로 자본주의와 파시즘을 찬양했다. 파시즘을 지지하는 달리의 망언은 파시즘에 반발하며 자유를 갈구하던 초현실주의자들의 심기를 불편하게 했다.

 

엘뤼아르는 스페인 내전과 두 번의 세계대전을 지켜보며 ‘저항 시’의 필요성을 깨닫는다. 그때부터 쓰인 시에는 전쟁으로부터 해방된 자유에 대한 갈망이 드러나 있다. 제2차 세계대전 발발 이후에 엘뤼아르는 독일군에 맞서는 레지스탕스(Resistance) 활동에 적극 참여했으며, 작가 단체의 책임자가 돼 독일을 비방하는 비밀 출판물을 만들었다. 엘뤼아르는 『시는 구체적인 진실을 목표로 삼아야 한다』라는 시에서 저항 시를 쓰지 않는 동료 시인을 비판한다.

 

 

 

왜냐하면 자네들은 목적도 없이 걷고

세계를 이해하기 위해서 세계를 변혁하기 위해서 인간은

뭉쳐야 하고 희망하고 투쟁해야 할 필요가 있다는 것을 모르기 때문이네

 

 

(엘뤼아르, 오생근 옮김, 『시는 구체적인 진실을 목표로 삼아야 한다』 중에서)

 

 

엘뤼아르는 이 시에서 ‘사랑’을 주제로 한 순수시를 쓰는 일에 몰두한 동료 시인을 ‘까다로운 친구들’이라고 부르면서 세계를 바꾸려는 희망과 투쟁심이 없다고 말한다. 하지만 시인은 그들의 한계를 지적하면서도 그들을 진짜 현실 속으로 걸어나가도록(참여시 또는 저항 시를 쓰는 일) 인도한다. 재미있는 건 반전이 있는 이 시의 구조다. 엘뤼아르는 1연부터 4연까지 순수시를 쓰는 척한다. 5연부터 시의 분위기를 반전시킨다. 5연은 저항 시를 쓰고 있는 시인의 행보와 순수시를 쓰는 시인들을 비교한 내용이다. 엘뤼아르는 ‘조국을 거침없이 노래하고 있다면’, 동료 시인들은 ‘사막 같은 곳’으로 가려고 한다. ‘사막 같은 곳’은 현실에서 도피하는 시인들이 원하는 유토피아 또는 공상의 세계이다. 엘뤼아르도 한때 초현실주의자들과 친하게 지내면서 ‘사막 같은 곳’을 지향했던 적이 있었다. 그는 7연에서 자신을 ‘힘이 없는 존재’로 살아왔다고 말한다. ‘힘이 없는 존재’는 초현실주의에 심취했던 시인의 과거 모습을 의미한다. 전쟁의 참화를 목격한 이후로 엘뤼아르는 인간으로 살아가면서 있어야 할 가장 중요한 정신적 가치는 꿈과 무의식의 세계에 있는 것이 아니라 바로 눈앞에 있는 현실을 해방해야 찾을 수 있다는 점을 깨닫는다. 『시는 구체적인 진실을 목표로 삼아야 한다』는 자신과 다른 길을 걷고 있는 동료 시인들에게 바치는 시로 알려졌지만, 이 시는 초현실주의에서 시작해 현실주의(realism)로 변모하는 엘뤼아르의 참 모습이 그려진 ‘자화상’으로도 볼 수 있다.

 

엘뤼아르는 ‘초현실주의 시인’과 ‘저항 시인’, 이 두 가지 모습으로 오랫동안 기억되어야 한다. 그는 ‘초현실’ 속에 있는 인간과 ‘현실’ 속에 있는 인간이 공통으로 추구해야 할 가치를 담아낸 시를 썼다. 그 공통된 가치란 바로 ‘자유’였다. ‘자유’는 엘뤼아르의 삶에서 떼려야 뗄 수 없는 소중한 가치였다.

 

 

 

[주] 민음사 번역본에는 ‘국민학교’라고 적혀 있다.

 


댓글(2) 먼댓글(0) 좋아요(2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2019-08-02 12:32   URL
비밀 댓글입니다.

cyrus 2019-08-03 06:46   좋아요 0 | URL
지금까지 댓글을 통해 하신 말씀 중에 정말 좋았어요. 사유와 행동을 일치하면서 살아가는 일이 쉽지 않겠지만, 그렇다고 해서 사유와 행동이 서로 반대가 된 상태에서 살아갈 수는 없다고 생각해요. 이렇게 사는 것은 자기 자신뿐만 아니라 자신을 둘러싼 주변 인물을 속이는 행위입니다.

책을 읽으면 내가 믿고 싶은 생각들이 하나둘씩 많아져요. 그러면 이전에 내가 생각했던 것들이 한계가 있었다는 점을 인정하게 됩니다. 성찰하면서 책을 읽는 것이죠. 이런 과정을 글로 기록하고 싶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