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책이 우리나라에 나올 줄이야‥…. 놀라운 일인데.” 막스 에른스트(Max Ernst)《백 개의 머리를 가진 여인》이 출간된 것을 확인했을 때 적잖이 놀랐다. 조금 과장된 표현을 하자면, 《백 개의 머리를 가진 여인》은 이 세상에 나올 만한 책이 아니다. 세상을 초월한 ‘괴작(怪作)’이다.

 

 

 

 

 

 

 

 

 

 

 

 

 

 

 

 

 

 

 

* 막스 에른스트 《백 개의 머리를 가진 여인》 (이모션북스, 2019)

* 앙드레 브르통 《초현실주의 선언》 (미메시스, 2012)

 

 

 

이 괴이한 작품을 만든 사람은 초현실주의 운동에 참여한 독일의 화가이다. 초현실주의는 1924년 앙드레 브르통(Andre Breton)‘초현실주의 선언’으로 세상에 그 정체를 드러냈다. 브르통은 프로이트(Freud)의 정신분석학에 단단히 감화를 받은 상태였다. 그는 이성과 윤리를 초월하는 완전한 자유를 선언했다. 브르통이 일상의 상식 세계에 매몰돼가는 인간의 정신을 해방하고 꿈과 무의식이 엮어내는 초현실적인 세계를 제공하려 했다면, 에른스트는 그런 세계를 구체화하는 방식을 마련했다. 에른스트는 사물 위에 종이를 대고 문지르는 프로타주(frottage)를 처음으로 고안했으며 콜라주(collage)도 그가 주로 사용한 기법이다. 콜라주는 ‘풀로 붙이는 것’이라는 뜻을 가진 단어로, 기성품을 캔버스에 붙여 화면을 구성하는 기법을 말한다. 콜라주를 처음 선보인 화가로 파블로 피카소(Pablo Picasso)조르주 브라크(Georges Braque)가 많이 거론되지만, 본격적으로 ‘초현실주의적 콜라주’를 확립한 화가는 에른스트다.

 

 

 

 

 

 

 

 

 

 

 

 

 

 

 

 

 

 

 

* 요아힘 나겔 《초현실주의, 어떻게 이해할까?》 (미술문화, 2008)

* 피오나 브래들리 《초현실주의》 (열화당, 2003)

* 매슈 게일 《다다와 초현실주의》 (한길아트, 2001)

 

 

 

에른스트가 초현실주의적 콜라주 기법을 이용해서 만든 작품이 바로 1929년에 발표된 《백 개의 머리를 가진 여인》이다. 브르통은 《백 개의 머리를 가진 여인》을 위한 서문을 직접 썼다. 제목이 범상치 않다. 제목을 줄여서 ‘백두녀(百頭女)라고 부르기도 한다. 프랑스어 원제는 ‘La femme 100 têtes’이다. 이 제목에 중의적인 의미가 있다. 프랑스에서 100은 ‘cent’라고 한다. ‘La femme cent têtes’를 발음하면 ‘famme sans tête’라는 문장의 발음이 들릴 수 있는데, 이 문장의 뜻은 ‘머리가 없는 여인’이다. 그래서 《백 개의 머리를 가진 여인》은 ‘머리 없는 여자’라는 제2의 제목과 함께 언급되기도 한다.

 

이 책은 ‘콜라주 소설’이다. 콜라주를 이용해서 만든 소설이라 볼 수 있는데, 책을 펼치는 순간 알쏭달쏭한 도판과 암호 같은 문장 들을 만나게 된다. 이제부터 책 속에 있는 도판과 문장 몇 개를 공개할 텐데, 내가 앞서 책을 소개할 때 언급한 말이 과언이 아니라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자, 어떤가? 《백 개의 머리를 가진 여인》은 총 147개의 도판과 그 도판의 의미를 설명하는 것 같은(사실은 도판과 전혀 관련이 없다) 간단한 문장 한 줄로 구성되어 있다. 이 책은 ‘소설’로 분류되지만, 기승전결로 이어지는 소설의 일반적인 서사 전개 방식은 찾아볼 수 없다. 에른스트는 무엇이라고 설명하기 어려운 도판과 문장 들을 나열했을 뿐이다. 독자는 이 난해하기 짝이 없는 도판과 문장이 무슨 의미인지 이해(해석)하려고 해서는 안 된다. 어떻게든 도판과 문장의 의미를 찾는 일에 애쓰면 정신은 경직된다. 이런 독서는 에른스트가 원하지 않는 방식이다.

 

나는 이 작품을 ‘이 세상 소설이 아니다’라고 언급했다. 우리는 ‘이 세상 소설’을 읽는 일에 익숙하다. ‘이 세상 소설’은 ‘발단-전개-위기-절정-결말’로 이어지는 기승전결의 이야기 흐름을 담고 있다. 우리는 소설을 읽다 보면 어느 정도 결론을 예상할 수 있다. 그런데 ‘이 세상 소설’이 아닌 《백 개의 머리를 가진 여인》은 처음부터 끝까지 위기감을 드러낸다. 독자는 뚜렷한 서사 전개가 없는 이야기를 접하는 순간 난감해하고, 도판과 문장을 설명할 길이 없다는 생각에 불안감을 느낀다. 책은 독자를 혼란스럽게 한다. 어떤 독자는 알 수 없는 불안과 긴장을 견뎌내지 못해 불쾌감을 드러낼 것이다. 이러한 독자의 반응은 에른스트의 초현실주의적 콜라주가 일으킨 효과이고, 이게 바로 초현실주의자들이 원하는 것이다. 사람들에게 정신적 충격을 주는 것. 에른스트의 초현실주의적 콜라주는 일상의 이미지를 한곳에 모아 뒤섞은 다음, 그 이미지가 가지고 있는 익숙한 의미를 해체한다.

 

 

 

 

 

 

 

 

 

 

 

 

 

 

 

 

 

 

 

* [절판] 베르너 슈피스 《막스 에른스트》 (열화당, 1994)

 

 

 

 

에른스트의 작품에 자주 나오는 인물이 있는데, ‘사람’이라고 보기 어려운 기이한 존재이다. 이 존재의 이름은 ‘로프로프(Loplop)라고 하는데, 어떤 책은‘로플로프’ 또는 ‘롭롭’이라고 나온다. 로프로프는 인간과 새와 결합한 이형(異形)의 존재이다. 에른스트는 로프로프를 자신의 분신이라고 설명했다. 그래서 로프로프는 ‘날개달린 남성’으로 묘사된다. 에른스트는 어린 시절 애지중지 키우던 새가 죽은 동시에 바로 누이동생의 탄생 소식을 듣는 신기한 경험을 했다. 그때부터 그는 사람과 새를 구분하는 데 혼란을 겪었으며 그의 그림에 새와 ‘새 인간’ 로프로프가 자주 등장하는 것도 그런 이유에서이다.

 

에른스트는 살바도르 달리(Salvador Dali), 르네 마그리트(René Magritte)와 함께 초현실주의 운동을 이끈 대표주자이다. 그러나 우리나라에서는 달리와 마그리트보다 인지도가 낮은 편이다. 에른스트의 삶과 작품 세계를 중점적으로 설명한 책은 《막스 에른스트》 (열화당)이 유일하다. 이 책은 90년대에 나왔기 때문에 지금은 도서관 창고에 가야 만날 수 있다.

 

 

 

 

 

 

 

 

 

 

 

 

 

 

 

 

 

 

* [절판] 페기 구겐하임 《페기 구겐하임 자서전》 (민음인, 2009)

* 앤톤 길 《페기 구겐하임》 (한길아트, 2008)

* 메리 V. 디어본 《페기 구겐하임》 (을유문화사, 2006)

 

 

 

에른스트의 삶 전반을 알아보려면 생전에 그가 만났던 여성들을 주목해야 한다. 에른스트는 네 번이나 결혼했다. 결혼 생활을 하는 중인데도 다른 여성을 만날 정도로 달리와 피카소 못지않게 여성 편력이 심하다. 그가 사귄 페기 구겐하임(Peggy Guggenheim)은 20세기 미술사에서 가장 영향력 있는 컬렉터다. 그녀 역시 이름만 들어도 유명한 예술가들(극작가 사무엘 베케트, 다다이스트 마르셀 뒤샹 등)과 사귀었을 정도로 자유분방한 인생을 산 인물이었다.

 

 

 

 

 

 

 

 

 

 

 

 

 

 

 

 

 

 

* 소피 들라생 《달라의 연인 갈라》 (마로니에북스, 2008)

* 도미니크 보나 《세 예술가의 연인: 엘뤼아르. 에른스트. 달리, 그리고 갈라》 (한길아트, 2000)

 

 

 

 

달리의 삶과 예술에서 지대한 영향을 준 갈라(Gala)도 에른스트와 사귄 적이 있다. 갈라는 달리를 만나기 전에 초현실주의 운동에 동참한 시인 폴 엘뤼아르(Paul Eluard)의 연인이었다. 그런데 엘뤼아르와 에른스트의 우정이 돈독해지자(두 사람의 우정을 동성애 관계라고 주장하는 학자들이 있다), 갈라도 에른스트에게 애정을 드러냈다.

 

 

 

 

 

 

 

 

 

 

 

 

 

 

 

 

 

 

 

 

* 레오노라 캐링턴 외 《내 플란넬 속옷》 (아작, 2017)

* [절판] 휘트니 채드윅 외 《위대한 예술가 커플의 10가지 이야기》 (푸른숲, 1997)

 

 

 

 

페기는 에른스트의 세 번째 아내였고, 그 다음으로 에른스트의 아내가 된 여성이 화가 도로시아 태닝(Dorothea Tanning)이다. 에른스트는 두 번째 아내와 이혼을 하고 난 후에 자신보다 스물 살이나 적고, 초현실주의 운동에 합류한 화가인 레오노라 캐링턴(Leonora Carrington)을 만나 연인 관계로 발전했다. 그녀는 화가로 많이 알려졌지만, 단편소설 『내 플란넬 속옷』과 초현실주의적 소설인 『The Oval Lady』(1975) 등을 쓴 작가이기도 했다. 제2차 세계 대전이 일어나면서 에른스트는 파리를 떠나 망명하게 됐는데, 그의 망명을 적극적으로 도운 사람이 캐링턴이다. 그러나 이 여자 저 여자를 만나고 다닌 ‘날개달린 조류 남자’ 에른스트는 캐링턴의 영원한 동반자가 될 수 없었다. 그녀는 불안 증세를 겪어 정신병원에 입원하는 신세가 되었다. 캐링턴은 자신이 사랑했던 ‘새 인간’에 관한 글을 쓰면서 고독하게 지내다가 2011년에 세상을 떠났다. 《위대한 예술가 커플의 10가지 이야기》 (푸른숲)에 에른스트와 캐링턴의 관계에 대해 더 자세히 알려주는 글이 수록되어 있다.

 

 

 

 


댓글(4) 먼댓글(0) 좋아요(29)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2019-07-04 16:20   URL
비밀 댓글입니다.

cyrus 2019-07-04 18:14   좋아요 0 | URL
초현실주의자들은 성별 불문하고 성애에 자유로운 사람들이었어요. 그래서 관계가 복잡해요... ^^;;

2019-07-04 18:42   URL
비밀 댓글입니다.

cyrus 2019-07-05 11:47   좋아요 0 | URL
괜찮습니다. 사과할 일은 아닙니다. 글을 쓰면서 캐링턴이 작가라는 사실을 적는 것을 깜빡 잊어버렸어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