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달에 조지 오웰(George Orwell)의 글과 그와 관련된 책들을 찾아 읽었다. 오웰을 다시 만난 6월은 정말 그가 대단한 작가이자 ‘행동하는 지식인’이라는 사실을 새삼 느끼게 해준 시간이었다. 정치적으로 민감한 사안을 다룬 글을 주로 썼고, 골수 좌파로 살아간 삶의 이력 때문인지 모르겠는데 영미 문학사에서 오웰이 언급되지 않은 것은 실로 안타까운 일이다. 나중에 기회가 되면 영미문학에서 오웰이 차지하는 위상을 재고해보는 글을 써보고 싶다.

 

 

 

 

 

 

 

 

 

 

 

 

 

 

 

 

 

 

 

 

* 조지 오웰 《모든 예술은 프로파간다다》 (이론과실천, 2013)

* [품절] 조지 오웰, 박경서 옮김 《코끼리를 쏘다》 (실천문학사, 2003)

 

※ 오웰의 글 ‘Good Bad Books’가 수록된 책은 《코끼리를 쏘다》와 《모든 예술은 프로파간다다》다. 그런데 두 책이 번역한 글의 제목이 다르다. 앞의 책은 ‘좋으면서 나쁜 책’, 뒤의 책은 ‘좋은 대중소설’이라고 되어 있다.

 

 

 

대부분 사람은 오웰의 문학을 ‘좋으면서 나쁜 문학(good bad literature)으로 보고 있는지 모른다. ‘브라운 신부’라는 탐정이 등장하는 작품들을 쓴 영국의 작가 길버트 키스 체스터턴(Gilbert Keith Chesterton)‘좋으면서 나쁜 책(good bad book)이라는 표현을 처음으로 썼다. 이 표현을 주목한 오웰은 1945년에 ‘좋으면서 나쁜 책’이라는 제목의 글을 썼고, 이 글에서 그는 ‘좋으면서 나쁜 책’에 속하는 문학 작품들을 언급했다. 그렇다면 체스터턴이 말한 ‘좋으면서 나쁜 책’은 무슨 의미일까. 문학적인 메시지가 부족하거나 문학적인 가치는 떨어지지만, 그래도 읽어볼 만한 재미있는 책을 뜻한다.

 

 

 

 

 

 

 

 

 

 

 

 

 

 

 

 

 

 

 

* 조지 오웰, 권진아 옮김 《동물농장: 어떤 동화》 (시공사, 2012)

* [일시 품절] 조지 오웰, 최희섭 옮김 《동물농장》 (펭귄클래식코리아, 2008)

 

 

 

 

오웰은 자신의 작품들이 ‘좋으면서 나쁜 문학’에 속할 거라고 생각해보지 않았을 것이다. 그런데 내가 보기에 그의 대표작 《동물농장》은 ‘좋으면서 나쁜 책’으로 과소 평가받는 듯하다. ‘문학 작품’으로 보기 어려우나, 그래도 읽을 만한 책으로 말이다. 대부분 사람은 《동물농장》을 ‘우화(fable)라고 생각한다. 틀린 말은 아니다. 실제로 오웰은 이 소설을 완성했을 때 ‘A fairy story’라는 부제를 정했다. 그런데 《동물농장》이 미국에 출판되자 부제가 삭제되었다. 《동물농장》을 펴낸 영국의 출판사들도 부제를 삭제했다. 어느 영국의 출판사는 아동 도서 시장이 존재하지 않는다는 이유를 대면서 《동물농장》 출간을 거절했다. 아마도 출판사들은 《동물농장》의 부제를 보는 순간 《동물농장》이 ‘어린이를 위한 우화(동화)’라고 생각했던 것 같다. 오웰이 살아있을 때 나온 모든 《동물농장》 번역본 가운데 부제가 있는 유일한 번역본은 텔루구어(Telugu language: 인도의 드라비다족이 쓰는 언어) 판이었다.

 

우리는 오웰이 부제를 단 이유를 생각해봐야 한다. 오웰은 어린이 독자들을 위해 《동물농장》을 쓴 것이 아니다. 우리나라에서 《동물농장》이 ‘청소년 필독 도서’로 많이 알려지는 바람에 이 작품의 장르를 ‘아동 문학’이라고 생각하는 인식이 형성되었다. 게다가 독자들은 오웰이 애초에 ‘동물들의 눈으로 인간 세태를 고발하는 우화’를 썼을 거라고 생각한다.

 

《동물농장》은 ‘우화’라고 정확하게 말할 수 없는 작품이다. ‘우화’의 형식을 빌려 쓴 문학 작품이다. 오웰은 자신이 추구했던 사회주의의 이상과 거리가 먼 소련 소비에트 체제에 눈 감은 영국 좌파들, 그리고 ‘연합국’이라는 이유만으로 소련 내의 인권 탄압(1936~1938년에 일어난 반 스탈린파 세력에 대한 대숙청, 1937년에 시작된 소수 민족 강제 이주 정책 등)에 소극적인 반응을 보이는 영국 언론인 및 지식인들의 태도에 실망했다. 그래서 그는 전체주의로 변질한 소련 소비에트 체제와 국익을 위해 소련과 손잡은 서방 국가들(영국, 미국)을 우회적으로 비판하기 위해《동물농장》을 썼다. 우화 형식으로 구성된 이야기 속에 숨어 있는 오웰의 진짜 메시지를 알아차린 영국의 출판사들은 《동물농장》 한 권 때문에 영국과 소련 간의 관계가 껄끄러워질까 봐 출판을 꺼렸다. 심지어 오웰이 작가 활동을 할 수 있도록 적극적으로 지원해준 출판인 빅터 골란츠(Victor Gollancz)출판사를 운영하고 있던 토머스 스턴스 엘리엇(Thomas Stearns Eliot)마저 오웰의 《동물농장》 출간 제안을 거절했다.

 

《동물농장》이 ‘청소년 필독 도서’ 또는 ‘청소년을 위한 우화’로 많이 알려진 이유는 자명하다. 대부분 독자는 우화 또는 동화의 형태로 소설을 쓰게 된 오웰의 진짜 의도와 이 소설이 나오게 된 역사적 배경을 살피지 않은 채 《동물농장》 텍스트에 성급하게 접근하는 독서에 익숙해졌기 때문이다. 텍스트를 먼저 읽고 난 후 텍스트에 대한 해설을 읽어야 한다고 생각하는 사람들이 있는데, 작품의 특징에 따라서 정반대로 읽어야 할 때가 있다. 나는 《동물농장》을 제대로 읽으려면 해설을 먼저 읽고 나서 텍스트에 접근해야 한다고 생각한다. 그러면 《동물농장》이 ‘문학적 장치(우화, 디스토피아)를 통해 사회적 메시지를 전달하는 소설’이라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동물농장》은 ‘좋으면서 나쁜 책’이 아니다. 그것은 문학적인 면에서 매우 뛰어난 ‘좋은 책’이다.

 

 


댓글(2) 먼댓글(0) 좋아요(2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2019-07-03 12:08   URL
비밀 댓글입니다.

cyrus 2019-07-03 16:33   좋아요 0 | URL
군 복무하기 전에 처음으로 <동물농장>을 읽었어요. 그때는 오웰이 생각했던 대로 소련의 전체주의를 비판한 소설로 보였어요. 그런데 최근 다시 읽으니까 <동물농장>이 자본주의가 최고이며 선이라고 우기는 전체주의적 분위기를 풍자하는 소설로 느껴졌어요. 그런데 좌파를 공격하고 싶은 우파는 <동물농장>을 그저 좌파를 깎아내리는 소설로 치부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