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임스 글릭의 타임트래블 - 과학과 철학, 문학과 영화를 뒤흔든 시간여행의 비밀
제임스 글릭 지음, 노승영 옮김 / 동아시아 / 2019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공상과학영화에 익숙한 사람이라면 ‘타임머신(Time Machine)이 낯설지 않을 것이다. 타임머신은 시간의 벽을 넘어 과거나 미래로 여행할 수 있도록 만들어진 기계이다. 가장 유명한 타임머신은 1895년에 발표된 허버트 조지 웰스(Herbert George Wells)의 동명 소설에 묘사된 기계이다. 이 소설이 나오고 난 이후 20세기 사람들은 ‘시간여행(time travel)이라는 소재로 상상의 날개를 마음껏 펼쳤다. 백 년이 지난 지금까지도 타임머신은 여전히 상상 속 기계로 남아있지만, 매력적인 소재임은 분명하다.

 

우리는 시간여행을 하길 원한다. 미래에 대한 궁금증이, 과거에 대한 그리움이 그 욕망을 부채질한다. 물론 대개는 부질없는 상상이나 몽상에 그칠 뿐이다. 전생이나 윤회를 믿지 않는 사람도 미래에 대한 궁금증을 가지고 있다. 점집이나 역술가가 줄어들지 않는 것은 그만큼 누구나 미래에 대한 불안을 가지고 있다는 방증이기도 하다. 물론 미래에 대한 불안이 커질수록 과거에 대한 향수(鄕愁)의 농도도 짙어진다. 사회학자 지그문트 바우만(Zygmunt Bauman)은 미래에 더 좋아질 거라는 희망을 흐릿하게 만드는 과거에 대한 향수, 즉 익숙한 과거로 돌아가고 싶어 하는 ‘레트로토피아(retrotopia)가 현대 사회에 나타나고 있다고 진단한다. 레트로토피아는 복고풍을 뜻하는 ‘retro’와 유토피아(utopia)를 합친 말이다. 향수병은 흔히 나이가 들수록 찾아오는 것으로 생각된다. 그러나 소설가 밀란 쿤데라(Milan Kundera)는 젊은이들이 과거의 기억에 집착한다고 주장한다. 여생이 줄어들수록 추억에 빠져 놀 시간이 없어지기 때문이다.

 

과거로 가든, 미래로 가든 시간여행은 현실적으로 불가능하며 타임머신이 실용화된다고 해도 복잡한 문제점(시간여행을 할 때 발생하는 여러 가지 모순들. 대표적인 것이 ‘아버지 역설’이다. 시간 여행자가 자신이 태어나지 않았던 과거로 가서 자신의 아버지를 실수로 죽인다면 시간 여행자는 어떻게 될까?)이 생길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사람들은 왜 타임머신과 시간여행에 대한 관심을 멈추지 못하는 것일까? 그들이 타임머신과 시간여행을 다룬 공상과학물 마니아라서? 그러나 타임머신과 시간여행에 대한 대중의 관심을 그렇게 쉽게 단정 지을 수 없다. 《제임스 글릭의 타임 트래블》은 시간여행이라는 공상적인 소재가 어떻게 해서 우리 에게 지대한 영향을 미쳤는지 살펴본 책이다.

 

아마도 대부분 사람은 이 책의 제목을 보면서 이런 생각을 했을 것이다. “시간여행은 애초에 현실적으로 불가능한 일인데, 저자는 무슨 생각으로 고리타분한 주제를 가지고 책을 썼을까? 보나 마나 이 책에서 저자는 시간여행이 불가능한 과학적인 이유를 설명하고 있겠지.” 그러나 ‘시간여행은 가능한가, 불가능한가?’라는 진부한 문제는 이 책에서 중요하지 않다. 《타임 트래블》은 시간여행의 실현 가능성(불가능성)에 대해 과학적으로 설명한 책이 아니다. 저자는 이 책에서 ‘시간여행’이라는 개념을 어떻게 이해하고 받아들이는가에 따라 과학자와 철학자, 그리고 문학 작가들의 다양한 견해를 밝혔다는 것을 보여준다. 철학자들은 시간여행이 불가능한 이유를 철학적인 관점으로 설명하려고 했다. 마르셀 프루스트(Marcel Proust)는 자신의 소설 《잃어버린 시간을 찾아서》에서 마음으로 과거를 여행하는 방식을 선보였다. 

 

저자의 말에 따르면 시간여행은 불과 백 년 전에 만들어진 근대적 판타지다. 과학기술은 근대화의 상징으로 인식되었다. 근대화에 접어드는 시대에 살아온 지식인들은 과학적 진보가 곧바로 사회 전체의 진보에 직결된다고 믿었다. 웰스도 과학기술 발전을 통해 사회가 더 고도로 발달하는 문명화 과정에 관심이 많았다. 웰스는 과학기술이 유럽의 미래를 유토피아로 이끌어 줄 것이라는 낙관적 전망을 하면서도 문명이 빠르게 변화하는 속도에 의해 사라지고 잊히는 ‘과거의 유산’을 잊지 않았다. 이 ‘과거의 유산’은 지나가버린 시간을 증명해주는 소중한 것이다. 고고학자들은 계속해서 ‘과거의 유산’을 발굴하였고, 그것은 눈으로 확인 가능한 ‘지나간 시간의 흔적’이었다. 시대가 변하고 있어도 과거의 흔적은 여전히 남아 있었다. 즉 근대 초기는 기차와 마차와 공존하는 시대였다. 과거와 (미래에 근접한) 현재가 겹겹으로 포개진 시대에 살던 유럽인들은 ‘시간’을 ‘눈으로 확인 가능한 것’으로 인식하기 시작했다. 웰스가 소설에서 고안한 타임머신은 눈으로 시간을 확인하고 싶은 근대 유럽인들의 기대심리가 어느 정도 반영된 상상 속 기계라 할 수 있다.

 

당연하게도 웰스의 타임머신에 콧방귀를 뀌면서 비웃는 사람들도 있다. 웰스의 《타임머신》을 평한 어느 평론가는 “이런 미래 여행이 대체 무슨 쓸모가 있는지 잘 모르겠다”라고 말했다. 시간여행 자체에 흥미를 느끼지 못한 사람들이 있는 건 예나 지금이나 똑같다. 20세기 사람들은 ‘과거’로 남게 될 자신들의 시간(‘현재’)을 영원히 보존하여 미래의 사람들에게 보여주기 위해 ‘타임캡슐’을 생각해냈다. 저자는 타임캡슐을 ‘희비극적인 타임머신’이라고 말한다. 땅에 묻힌 타임캡슐은 ‘가장 느린 타임머신’이다. 타임캡슐은 그것을 땅에 묻어둔 사람과 나란히 시간여행을 한다. 타임캡슐을 만든 사람은 시간 여행자가 될 수 없다. 사람은 반드시 죽는다. 주인(시간 여행자)이 없는 타임캡슐은 미래가 된 세상의 빛을 보게 되는 날을 기다리면서 잠든다. 타임캡슐의 용도를 생각해 보면 저자가 타임캡슐을 ‘희비극적 타임머신’이라고 말했는지 알 수 있다. 너무 서글프지 않은가. 우리는 타임캡슐을 미래로 보낼 수 있다. 그러나 우리는 시간 여행자가 될 수 없고, 타임캡슐을 바라보는 미래 사람들이 어떤 반응을 보일지 확인할 수도 없다.

 

웰스의 소설을 보면서 비웃은 평론가의 말처럼 시간여행은 정말 ‘쓸모없는 여행’일까? 시간여행이 가능한지 과학적으로 검증하는 시대는 지났다. 이제 사람들은 시간여행이 불가능하다는 것을 알면서도(물론, 유사과학에 너무 빠져버려서 시간여행이 가능하다고 믿는 사람들이 있다) 시간여행을 소재로 한 영화를 즐겨 본다. 과연 시간여행에 관심을 가지는 것은 한정된 시간을 헛되이 보내는 일인 것일까? 사람마다 다르겠지만, 시간여행에 열광하는 이유가 있을 것이다. 저자는 시간여행이 궁극적으로 필요한 이유를 ‘죽음을 피하고 싶은 심리’에서 찾는다. 앞서 언급했듯이 인간은 죽는다. ‘나’라는 존재가 없는 미래를 상상해보라. 죽음을 피할 수 있다면 내 자손들이 어떻게 살아가고 있는지, 그리고 세상이 어떻게 변하고 있는지 직접 눈으로 확인하고 싶을 것이다. 그러나 오늘 영원히 눈을 감는 순간 내일(미래)을 맞이하지 못한다. 그래서 우리는 이 서글픔을 잊기 위해 행복했던 과거를 끄집어내기도 하고, 오지 않을 미래가 어떨지 긍정적으로 상상한다.

 

“인생은 매일 매일 사는 동안 모두가 함께 하는 여행이다. 우리가 할 수 있는 건 최선을 다해 이 멋진 여행을 만끽하는 것이다(We are all travelling through time together, everyday of our lives. All we can do is do our best to relish this remarkable ride).” 영화 <어바웃 타임(About Tine)>에 나온 대사가 말해주듯, 우리는 지금도 시간여행을 하고 있다. 지나간 과거를 반추하고, 미래를 꿈꾸면서 살아가고 있다. 시간여행을 상상하는 일만큼 삶에 활력을 주고, 혼자서 할 수 있는 흥미진진한 ‘사고 실험’ 게임은 없을 것이다. 단, 시간을 자유롭게 넘나드는 게임도 많이 하면 정신에 해롭다. 현실을 도피하는 심정으로 과거에 너무 몰입해서도 안 되며 미래를 맞춘답시고 설레발을 치고 다녀서는 안 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