음악이 흐르는 동안, 당신은 음악이다 - 우리의 인생과 음악심리학 이야기
빅토리아 윌리엄슨 지음, 노승림 옮김 / 바다출판사 / 2019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우리는 늘 음악을 듣는다. 장거리 운전을 할 때나 바쁜 일상의 자투리 시간이 주어질 때, 혹은 슬프고 지칠 때나 기쁘고 신이 날 때 말이다. 우리의 일상을 꾸며주는, 음악이 가진 위대한 힘이다. 그래서일까. 수많은 수난의 시기를 지내온 우리 민족은 대대로 음악을 좋아했고 노래하기를 무척 즐겼다. 노래하며 위로받고, 어려움을 극복하는 지혜를 가지고 있었다. 밭에 김을 매면서, 논에 모내기하면서 노동요를 불렀다. 특별한 악기가 없어도 젓가락 장단에 맞춰 구성진 가락을 뽑아내 흥을 돋을 줄 알았다.

 

노랫가락의 흥을 즐기던 우리의 일상문화를 반영하듯 노래방에 자주 가는 사람들이 있다. 과거의 노래방은 친구들을 만날 때나 직장 회식 이후에 ‘제2차’로 가는 곳이었다. 사람들은 그곳에서 함께 노래를 부르고 즐기며 ‘우리’라는 공동체를 다시금 확인하기도 한다. 요즘같이 혼자 노는 게 익숙해진 시대에 혼자서 노래방을 즐길 수 있는 ‘코인 노래방’도 있다. 이렇듯 노래방은 단순히 노래만 부르는 곳이 아니라 노래를 잘 부르든 못 부르든 상관없이 노래를 부르면서 스트레스를 푸는 놀이 공간이다.

 

《호모 루덴스(Homo Ludens)를 쓴 네덜란드의 역사가 요한 하위징아(Johan Huizinga)는 “문명은 놀이 속에서 발전했다”고 주장했다. 문화의 본질을 놀이에서 찾아낸 그는 삶의 의미와 행복 역시 놀이로부터 나온다고 역설했다. 호모 루덴스는 달리 말하면 ‘예술을 즐기는 인간’이다. 좀 더 세부적으로 보면, 인간은 태어날 때부터 음악 속에서 자라왔다. 《음악이 흐르는 동안, 당신은 음악이다》음악이라는 ‘놀이’를 마음껏 누리면서 자라온 호모 루덴스에 관한 보고서라 할 만하다. 이 책은 음악과 우리 삶이 어떻게 관계 맺는지를 예리하게 고찰한 음악심리학 책이다.

 

저자는 태아기, 유아기, 청소년기, 성인기를 거쳐 노년기에 이르기까지 인간의 생애에 크고 작은 영향을 미치는 음악의 힘을 알려준다. 그래서 이 책에 음악의 영향력을 증명해주는 최신 연구 결과들이 나온다. 평소에 음악을 즐기는 저자는 이 책에서 음악의 힘에 대한 확고한 믿음을 표한다.

 

 

 어떻게, 그리고 왜 음악이 그처럼 우리 일상에 큰 비중을 차지하게 되었는지 이해하고자 나는 내 연구에 일생을 바쳤다. [중략] 내게 필요한 것은 음악이 일상에 미치는 영향을 무척이나 알고 싶어하는 친구에게 권할 수 있는 책이었다.

 

(프롤로그, 6~7쪽)

 

 

《음악이 흐르는 동안, 당신은 음악이다》는 음악에 대해 잘 알지 못했던 이들도, 음악을 어떻게 무엇부터 들어야 할지 막막하던 사람에게도 권할 수 있는 책이다. 독자는 우리가 살면서 음악을 꼭 들어야 하는 당연한 이유를 이 책에서 만나게 된다.

 

놀랍게도 인간은 세상에 나오기 전부터 음악을 만난다. 태아는 자궁 속으로 흘러들어오는 세상의 소리를 접하는데, 이때가 바로 인간이 처음으로 음악을 경험하는 순간이다. 자궁 속으로 전달되는 다양한 소리에 자주 노출된 아기는 박자와 음높이를 감지하고 구분한다. 그러므로 인간은 음악에 대한 기본적인 감각을 지니고 있다. 청소년기는 음악과 정체성이 서로 일치하기 시작하는 시기다. ‘질풍노도’를 겪는 청소년들은 기분 좋게 만드는 노래를 찾게 되고, 이 시기에 접했던 노래를 ‘최애 노래(가장 좋아하는 노래)라고 생각한다. 그래서 우리는 어른이 돼서도 청소년기에 즐겨 듣던 노래를 잊지 못한다. ‘최애 노래’는 지나간 시간을 ‘추억’이라는 이름으로 소환하기 때문이다.

 

처음 보는 가수의 음악을 한 번 듣고 나면 그 음을 기억하지 못하는 경우가 있다. 그럴 때 참 속상하다. 그러나 실망하기엔 이르다. 좌절할 필요 없다. 우리는 음악의 홍수 속에 살고 있다. 요즘은 가사 몇 마디만 검색창에 입력하면 그 가사가 나오는 노래 제목과 가수 이름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아무리 생소한 멜로디의 음악이라도 자주 들으면 멜로디 일부가 고막에 콕 박혀 귓가에 맴돈다(이게 오래 지속되면 귀벌레 현상이 생긴다). 저자는 음악에 노출되는 과정을 ‘집짓기’에 비유한다.

 

 

 음악을 제대로 기억하는 데에는 많은 시간과 노출이 필요하지만, 일단 기억하기만 하면 잘 지어진 집처럼 튼튼하고 오래 지속된다. 실제로 집을 짓는 것과 달리 청취자한테는 별다른 노력이 필요치 않다. 마음이 원해서 하는 일이고, 당신은 그저 듣기만 하면 된다.

 

(7장 기억 속의 음악, 241쪽)

 

 

음악을 듣거나 노래를 부르는 것은 ‘호모 루덴스’ 정신의 복원이다. 삶의 놀이인 음악은 가수, 작곡가, 연주자만 하는 것이 아니다. 놀이로서의 음악은 우리 삶에 스며들어 있기에 직업과 연관 지을 일이 아니다. ‘영원한 가객’ 김광석은 “가수란 자기가 부른 노래대로 인생이 풀린다”라고 말한 적이 있다. 이 말대로라면 가수가 아니어도 노래를 즐기는 우리도 노래대로 인생이 풀리게 되어 있다. 왜냐하면 우리는 여러 가지 음악이 관통하는 삶을 살아가고 있기 때문이다. 우리 몸에 흐르는 음악은 ‘나’라는 존재를 만든다. 서평을 다 쓰고 나니 ‘나의 노래는 나의 삶’이라고 노래하던 김광석의 목소리가 듣고 싶어진다.

 

 

 


댓글(2) 먼댓글(0) 좋아요(2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2019-06-03 16:50   URL
비밀 댓글입니다.

cyrus 2019-06-03 17:09   좋아요 0 | URL
세상 정말 좋아졌어요. 절판된 앨범에 들어있는 곡을 들으려면 그 앨범을 직접 구해야했었던 시절이 있었는데 지금은 그렇게 하지 않아도 되잖아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