말하기 힘든 것에 대해 말하기
우치다 타츠루 지음, 이지수 옮김 / 서커스(서커스출판상회) / 2019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우리는 직업과 나이에 상관없이 어느 정도 경력만 쌓이면 ‘꼰대’가 된다. ‘꼰대’ 소리를 듣는 사람들의 특징은 이렇다. 첫 번째, 자신이 모든 걸 알고 있어야 한다(“내가 해봐서 아는데‥…”). 두 번째, 자신보다 어리거나 직위가 낮은 사람에게 반말한다. 세 번째, ‘내가 틀렸다’는 말보다 ‘네가 틀렸다’는 말을 자주 한다.

 

꼰대는 반민주적인 태도다. 권위주의에 기대서 세상을 보는 꼰대의 태도, 그것이야말로 서열에서 우위를 차지한 사람이 당연히 권력을 가지는 걸 합리화하는 태도다. 우리는 ‘나는 꼰대가 아니다’라고 말하지만(생각하지만) 실제로 꼰대 노릇을 즐겨 하고 있다. 나이가 들었어도 열정과 패기를 잃지 않는, 노익장의 정신을 유지하여 꼰대가 되는 것을 피해갈 수만 있다면야 더할 나위 없이 좋겠지만 그게 어디 뜻대로 될까 싶다.

 

세상엔 참으로 수많은 형태의 꼰대가 있다. 그중에 나는 ‘생각 있는 꼰대’가 가장 큰 문제라고 생각한다. ‘생각 있는 꼰대’는 우리가 흔히 아는 꼰대(융통성 없이 꽉 막힌 늙은이)와 다르다. ‘생각 있는 꼰대’는 누구나 공감하는 ‘맞는 말’을 잘한다. ‘생각 있는 꼰대’도 ‘꼰대’가 되지 말라고 말한다. 우리는 그들의 말에 수긍하고, 일말의 의심을 하지 않는다. ‘생각 있는 꼰대’는 몸소 모범을 보이고, 늘 명쾌한 해답을 제시해주는 ‘참 어른’의 모습과 비슷하다. 그런데 ‘생각 있는 꼰대’가 너무 많아도 문제다. 그들이 하는 말은 100% 옳다. 하지만 ‘100% 옳은 말’이 많아지면 그 말을 한 귀로 듣고 한 귀로 흘리는 사람들도 많아진다. 정작 그 말을 들어야 할 사람은 아예 듣지 않는다. 그렇게 되면 ‘100% 옳은 말’은 ‘수신자(청자)가 없는 메시지’가 되어 떠돈다. 옳은 말만 하는 꼰대의 문제점은 ‘구체적인 말’을 하지 않거나 ‘현실적인 대안’을 내놓지 않는 것이다. ‘생각 있는 꼰대’는 앵무새와 같다. 앵무새는 올바른 말만 골라 듣고 그것을 똑같이 따라 한다.

 

《말하기 힘든 것에 대해 말하기》는 내가 앞서 말한 ‘생각 있는 꼰대’의 특징과 문제점을 짚어낸 책이다. 이 책의 저자 우치다 타츠루(內田樹)는 ‘옳은 말만 하는 어른’의 말하기 방식이 잘못되었다고 말한다. ‘생각 있는 꼰대’는 말 그대로 머릿속에 생각만 가득 차 있는 어른이다. 그들은 자신의 머리 밖에 있는 생각이나 말을 하지 않는다. ‘옳은 말’에 반대하거나 이의를 제기하는 사람은 없다. ‘생각 있는 꼰대’는 옳은 말만 하면서 얻은 덕망이 조금이라도 손상되는 것을 두려워한다. 그래서 반대 의견이 나올 법한 사회 문제에 소극적인 반응을 보이거나 첨예한 논쟁이 벌어지는 주제에 침묵한다.

 

이 책의 제목이 말하는 ‘말하기 힘든 것’은 무엇을 뜻하는가. 크게 두 가지로 볼 수 있다. ‘정론이 틀릴 수 있다는 말’과 ‘무지를 인정하는 말’이다. 저자는 예측 불가능한 세상에서 무엇이 옳은지 확실하게 말할 수 없다는 것을 깨달았다고 한다. 이 깨달음은 훌륭한 어른이 되는 과정의 일부이다. 훌륭한 어른은 자신의 의견이 틀릴 수 있다는 것을 인정하며 명쾌하게 결론을 내리기 힘든 문제에 대해선 모른다고 말한다. 반면에 꼰대는 자신의 과거 고생담 얘기하는 걸 큰 자랑으로 여기고, 스스로 대접받아야 할 사람이라고 착각한다. 꼰대의 ‘무식함’을 참 어른의 ‘무지함’과 똑같은 의미로 봐서는 안 된다. ‘무지를 인정하는 것’은 ‘내 주장이 틀릴 수 있다’고 생각하는 겸손한 태도이다. 그런 태도를 가진 사람은 자신의 의견을 언제든지 수정한다.

 

《말하기 힘든 것에 대해 말하기》는 우리가 그토록 만나고 싶어 하는 ‘참 어른’, ‘훌륭한 어른’의 의미가 무엇인지 다시 생각해보게 만든다. 내가 생각하는, 또는 되고 싶은 ‘참 어른’은 프랑스의 사상가 자크 랑시에르(Jacques Ranciere)가 언급한 ‘무지한 스승’에 가깝다. 무지한 스승은 아는 것만을 가르치지 않고 모르는 것도 가르친다. 그들도 그렇고, 우리 또한 스스로가 생각하는 것보다 무지하다. 따라서 가르치는 스승도, 가르침을 받는 제자 모두 지적으로 평등하다. 항상 ‘옳은 말’만 하는 사람을 경계해야 한다. 그들의 말에 무조건 옳다고 생각하는 순간 바보가 되기 때문이다. 지적 능력의 차이는 위계의 차이로 변질되고, 우리가 ‘참 어른’이라고 생각했던 사람은 듣는 사람을 편하게 느끼도록 만드는 말만 하는 ‘생각 있는 꼰대’가 된다. ‘참 어른’이 많아진다고 해서 세상이 좋은 방향으로 나아질까? 그들은 우리를 위해서 늘 명쾌한 해답만 주는 구세주가 될 수 없다. 아니, 그렇게 되선 안 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