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간은 보면서 사유한다. 하지만 인간은 부분을 전체인 것으로 단정 지으면서 세상을 인식한다. 그러므로 (eye)은 ‘열린 창’이 아니라 ‘구멍’이다. 어떠한 대상에 대한 인식이 근시안적 눈에서 출발하기 때문이다. 여성을 대상화하는 남성의 눈, 식민지를 배척하는 제국주의의 시선, ‘다름’을 ‘비정상’으로 규정하는 정상성의 기준 등 ‘눈의 우월성(superiority)을 보여주는 사례는 많다.

 

 

 

 

 

 

 

 

 

 

 

 

 

 

 

 

 

 

* 임철규 《눈의 역사 눈의 미학》 (한길사, 2004)

 

 

 

임철규 교수가 쓴 《눈의 역사 눈의 미학》(한길사)는 세계를 우뚝 세우고, 장악하고, 짓밟은 ‘서구인의 눈’을 검토한 책이다. 저자가 ‘서구인의 눈’에 주목한 것은 서양 문화에서 시각이 차지하는 비중 때문이다. 예컨대 고대 그리스인들에게 ‘보는 것’은 ‘아는 것’이다. 눈으로 사물을 ‘지각’하는 것은 그 사물을 ‘인식’하는 것과 같다. 이러한 앎의 과정을 통해 발전된 서구의 이성은 시각에 절대적인 권위를 부여한다. 그리하여 문명이 건설되면서 진보에 대한 믿음이 퍼지던 18세기 계몽주의 시대는 ‘이성의 시대’이자 ‘눈의 시대’였다.

 

 

 

 

 

 

 

 

 

 

 

 

 

 

 

 

 

 

 

* 제러미 벤담 《파놉티콘》 (책세상, 2007)

 

 

 

영국의 공리주의자 제러미 벤담(Jeremy Bentham)이 생각한 원형감옥 파놉티콘(panopticon)은 눈의 우월성으로 발전된 ‘이성의 시대’를 대표하는 상징물이다. 파놉티콘은 한 곳에서 공간 내부 전체를 확인할 수 있는 죄수 교화 시설이다. 원형감옥 중간에 감시자가 있는 공간이 있고, 그 바깥쪽 둘레에 죄수의 방을 둔다. 죄수의 방은 밝게, 중앙의 감시 공간은 어둡게 유지한다. 죄수는 보이지 않는 곳에서 자신을 감시하는 시선 때문에 규율을 벗어나는 행동을 하지 못한다는 게 벤담의 생각이었다.

 

 

 

 

 

 

 

 

 

 

 

 

 

 

 

 

 

 

* 미셸 푸코 《감시와 처벌》 (나남출판, 2016)

 

 

 

미셸 푸코(Michel Foucault)《감시와 처벌》(나남출판)에서 파놉티콘 개념을 이용해 근대체제를 ‘한 권력자가 자신을 드러내지 않고 만인을 감시하는 체계’라고 설명했다. 벤담의 파놉티콘은 당시 영국 정부의 반대에 부딪혀 실제로 세워지지 않았다. 그렇다고 해서 파놉티콘이 설계도에 남아 있는 것은 아니었다. 푸코에 따르면 파놉티콘은 감금과 교정은 물론 훈련 · 노동 · 교육 · 치료 등 소정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본 장치로 폭넓게 활용되었고, 이와 유사한 내부 구조를 갖춘 감옥 · 군대 · 공장 · 학교 등 전문기관들이 근대 이후에 들어섰기 때문이다. 푸코는 만인을 감시하는 눈의 우월성을 ‘규율 권력(disciplinary power)이라 명명했다. 푸코의 파놉티콘 안에 갇힌 개인은 언제나 감시당하고 불안과 공포를 겪게 되며, 결국 자신 스스로 감시하게 하는 권력의 효과가 자연스럽게 만들어진다. 이러한 과정을 거쳐 규율 권력이 궁극적으로 목표로 삼는 것은 권력에 복종하는 개인을 생산하는 것이다.

 

다시 임철규 교수의 책으로 돌아가 보자. 이 책에서 말하는 ‘눈의 역사’와 ‘눈의 미학’은 서구 문화에 속하기 때문에 책은 당연히 ‘서구인의 눈’이 가진 우월성 분석에 초점에 맞춰져 있다. 임철규 교수는 ‘이미지의 문화’로 설명되는 서구 문화와 달리 동양 문화, 특히 동아시아 지역의 문화는 눈의 문화가 아니라고 말한다. 이를테면 불교는 눈이 일으키는 ‘작란(作亂, 장난)’을 경계했다. 작란은 앞서 언급한 ‘좁은 구멍으로 보는 것’, 즉 대상의 부분만을 보고 그것을 전체라고 규정하는 반응을 뜻한다. 

 

 

 

 

 

 

 

 

 

 

 

 

 

 

 

 

 

 

 

 

 

 

 

 

 

 

 

 

 

 

 

 

 

 

* 스기우라 고헤이 《형태의 탄생》 (안그라픽스, 2019)

* 정재서 《이야기 동양신화 중국 편》 (김영사, 2010)

* 위앤커 《중국신화전설 1》 (민음사, 1998)

* 진 쿠퍼 《그림으로 보는 세계문화상징사전》 (까치, 1994)

 

 

 

그러나 이 사례만 가지고 동양 문화는 눈의 문화가 아니라고 보기 어렵다. 동양 도상에서 묘사되는 좌우 두 개의 안구, 빛나는 눈은 ‘생명’이 있는 ‘형태’의 힘을 나타내는 신체 기관이다(스기우라 고헤이, 37쪽). 그리고 서양과 마찬가지로 동양 창조 신화에도 태양과 달 이미지를 두 개의 눈과 연결하는 상징을 확인할 수 있다.

 

중국 신화에 등장하는 반고(盤古)는 천지를 창조한 거인 신이다. 반고의 모습을 묘사한 중국 고대 그림에 보면 그의 왼쪽 눈에 태양, 오른쪽 눈에 달이 그려져 있다. 이렇듯 태양과 달이 새겨진 창조신의 두 눈을 ‘일월안(日月眼)이라고 한다. 일월안은 일본 신화와 인도 신화에도 나오는데, 외부세계(우주)의 빛을 받아들일 뿐만 아니라 스스로 빛을 발하는 영적인 힘이 넘치는 기관으로 묘사된다. 서양에도 일월안을 묘사한 도상이 전해지는데, 재미있게도 동양과는 반대다. 왼쪽 눈이 달이고, 오른쪽 눈이 태양이다. 그리고 왼쪽 눈은 ‘밤의 눈’, 즉 과거를 상징하며 오른쪽 눈은 ‘낮의 눈’, 미래를 상징한다(진 쿠퍼, 124쪽).

 

임철규 교수는 눈물을 흘리는 예수의 눈의 긍정적 속성(‘선한 눈’)이 눈의 우월성과 폭력성이 일으키는 파국의 위기를 유보할 수 있는 유일한 희망이라고 말한다. 비관적인 전망이지만, 나는 ‘나쁜 눈’의 힘이 작동하는 세계를 피할 길이 없다고 생각한다. 나쁜 눈 못지않게 경계해야 할 것이 가짜 눈물인 ‘나쁜 눈물’이다. 위선적인 사람이 흘리는 ‘악어의 눈물’은 진짜 슬퍼서 우는 게 아니다. 가짜 뉴스가 무수히 나오는 ‘탈진실(post-truth)’의 시대는 누구나 악어의 눈물을 흘릴 수 있는 ‘탈눈물(post-tears)’의 시대이기도 하다. 가짜 눈물은 진실을 씻겨 내린다. ‘눈물을 흘리는 눈’이 ‘선한 눈’인지 아닌지 의심해야 하는 암울한 시대이다.

 

 

 


댓글(2) 먼댓글(0) 좋아요(2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2019-05-08 12:44   URL
비밀 댓글입니다.

cyrus 2019-05-08 17:01   좋아요 0 | URL
지금 나오는 CCTV에 인공지능을 더하면 정말 인간의 시력보다 더 뛰어난 기계 눈이 만들어질 거예요. 그러면 찍히면 빼도 박도 못할 것입니다. 기계의 감시를 피할 수 있는 사각지대가 없어질 수 있겠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