섹슈얼리티(sexuality)의 해방은 멀고도 험하다. 여성에 대한 억압과 규제를 통해 남성이 도달한 자기 만족적 섹슈얼리티 해방은 진보적인 의의를 지니지 못한다. 개인의 섹슈얼리티를 억누르는 사회적 제약을 해체하는 것이 섹슈얼리티 해방을 실천하는 ‘성 정치학(sexual politics)의 목표이다. 지금까지 성 해방론자들은 섹슈얼리티를 억압하는 기존의 질서를 해체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 미셸 푸코 《성의 역사 1 : 지식의 의지》 (나남출판, 2010)

 

 

 

그렇지만 섹슈얼리티를 억압하는 기존의 질서에 반기를 들고, 여성의 성적 욕망을 긍정적으로 추구한 페미니스트들의 성 해방 담론조차 ‘섹스(섹슈얼리티)에 대해서 말하기’라는 성에 대한 근대적 담론의 개념 틀 안에 있었다. 미셸 푸코(Michel Foucault)에 따르면 근대사회는 섹슈얼리티의 각축장이었다. 부르주아는 (sex)에 대해 고백할 수 있는 공적 영역을 만들어내면서 ‘어느 성이 합법적인가’라는 문제를 제기할 수 있었다. 그러면서 은밀하게 숨겨진 섹슈얼리티는 담론 안으로 들어오게 됐다. 섹슈얼리티는 권리 박탈과 금지를 통해서 규제만 되는 게 아니라 고백을 통해 재생산된다. 그가 규명한 문제는 성의 억압이 아니라 성에 대해 끊임없이 말하게 만드는 권력이다. 다시 말해 근대사회의 섹슈얼리티 담론은 인구를 관리 및 통제하기 위해 만들어진 ‘지식 권력(savoir-pouvoir)’의 산물인 것이다. 푸코는 근대사회에 시작된 이 지식 권력을 ‘교활한 속임수’라고 비판한다. 섹슈얼리티는 자유와 ‘자기 결정’의 보루인 것 같아 보여도 그것은 시대의 맥락에 따라 또는 권력의 의도에 따라 달라진다.

 

 

 

 

 

 

 

 

 

 

 

 

 

 

 

 

 

 

* 주디스 버틀러 《젠더 트러블》 (문학동네, 2008)

* 조형준 《주디스 버틀러, 젠더 트러블》 (커뮤니케이션북스, 2016)

* 임옥희 《주디스 버틀러 읽기》 (여이연, 2006)

 

 

 

이러한 푸코의 논의는 성 해방 자체를 문제 삼은 주디스 버틀러(Judith Butler)의 입장과 궤를 같이 한다. 그녀는 섹스(생물학적 성), 젠더(사회적 성, gender), 섹슈얼리티 모두를 이성애적 지배 담론 중심의 문화와 사회가 반복적으로 주입해서 만들어진 구성물이라고 주장한다. 앞서 말했듯이, 섹슈얼리티와 마찬가지로 젠더도 역사적 맥락에 의해서 달라지는 가변적인 것이다. 이성애적 지배 담론은 전통적인 성(생물학적 성) 역할에 기반을 둔 이성애적 관계를 사회의 기본적이고 자연스러운 섹슈얼리티로 정당화하게 만든다. 이성애적 지배 담론을 지지하는 사회 속에서 말하게 되는 성은 이성애 관계에서 고려되는 ‘연애법’ 또는 ‘성애술’과 관련이 있다. 우리가 자연스럽게 이성애와 동성애를 선택하는 것이 아니라, 사회적으로 요청되는 성 역할을 반복적으로 '수행'하면서 만들어 간다. 이 반복적인 수행으로 인해 ‘이성애적 성 정체성’이 만들어진다. 이성애적 지배 담론을 말할 수 있는 사람들은 성별 이분법에 벗어난 성(sex)과 섹슈얼리티를 비정상 혹은 변태로 규정한다.

 

버틀러는 ‘남성 이성애자’, ‘여성 이성애자’만이 주체라고 보는 지식 권력인 가부장적 이성애주의의 문제점을 폭로하면서 페미니스트들이 바라던 성 해방은 ‘이상’에 불과하다고 주장한다. 왜냐하면, 60년대에 불어 닥친 성 해방의 열기는 성별 이분법과 그것의 근원인 이성애적 지배 담론 둘 다 전복하지 못했기 때문이다. 남성(성)과 여성(성), 그리고 이성애와 동성애를 구분하는 것은 지식 권력이 만들어낸 섹슈얼리티 담론이며 성 소수자에 대한 차별과 폭력을 발생시킨다. 그러나 이런 내부에 작용되는 지식 권력을 전복시키는 것 역시도 사회 내부의 실천 의지가 있어야만 가능하다. 페미니즘과 퀴어 이론이 섹스, 젠더, 섹슈얼리티의 문제를 포괄하는 급진적 학문이 되기 위해서는 일상에 맞닿아 있는 다양한 양상의 지식 권력을 분석하면서 균열을 일으켜야 한다. 페미니즘과 퀴어 이론 속에 다양한 목소리들이 있지만, 꼭 그것을 하나의 목소리로 수렴할 필요가 없다. 서로 다른 입장의 차이를 반목과 혐오로 치환될 수 없다. 그리고 그 차이를 무시하거나 덮어버려선 안 된다. 차이가 갈등과 분열이 되지 않으려면, 그 차이를 인정하고 이해해야 한다. 이것마저 어렵다면, 페미니즘과 퀴어 이론이 누군가에게 또 다른 배제와 폭력으로 작용하지 않도록 비판적인 시각을 유지해야 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