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드 후작(Marquis de Sade)은 역사상 가장 논쟁적 인물 중 하나이다. 그는 사후 100년이 넘도록 금기와 저주의 대상이었다. 100년 뒤엔 초현실주의자들로부터 ‘역사상 최고의 반항아’란 찬사를 받으며 부활했다.

 

 

 

 

 

 

 

 

 

 

 

 

 

 

 

 

 

* 사드 《사드 전집 1 : 사제와 죽어가는 자의 대화》(워크룸프레스, 2014)

* 사드 《악덕의 번영》(동서문화사, 2011)

 

 

 

 

 

 

 

 

 

 

 

 

 

 

 

 

* [품절] 존 필립스 《HOW TO READ 사드》(웅진지식하우스, 2015)

* [절판] 에스텔라 V. 웰든 《사도마조히즘》(이제이북스, 2006)

* [절판] 스튜어드 후드 《사드》(김영사, 2005)

 

 

 

 

기욤 아폴리네르(Guillaume Apollinaire)는 1909년에 사드의 주요 작품을 선집으로 묶어 출간했다. 이 선집에 아폴리네르의 해설이 있는데, 사드 사후 200주기에 맞춰 나온 《사드 전집 1 : 사제와 죽어가는 자의 대화》(워크룸프레스, 2014)에 수록되어 있다. 1955년, 프랑스 파리 법원이 사드의 작품 네 권을 압수하여 파기하라고 판결하기 직전에 시몬 드 보부아르(Simone de Beauvoir)『사드를 화형시켜야 하는가(Faut-il brûler Sade?)[주1]라는 에세이를 발표했다. 그녀는 사드를 ‘정신분석학의 선구자’로 칭송했고, 사드의 잔혹한 에로티시즘이 완성될 수 있었던 것은 살인에 의해서가 아니라 문학적 상상력이라고 옹호했다. 보부아르의 글은 《악덕의 번영》(동서문화사, 2011)에 수록되어 있는데 번역이 썩 만족스럽지 않다. 영국의 페미니스트 작가 안젤라 카터(Angela Carter)는 자신의 책 <사드적인 여자(The Sadian Woman)>에서 사드 작품에 등장하는 여성 ― 《악덕의 번영》의 주인공 쥘리에트(Juliette)[주2] ―을 새로운 시선으로 접근했다.

 

 

 사드 자신은 여성의 성교할 수 있는 권리를 명백히 선언한다. 그는 여성들에게 할 수 있는 한 적극적으로 성교하라고 권장한다. 그리하여 여성들은 지금까지 사용되지 않았던 거대한 성적 에너지로 무장하여 자신들의 방식을 역사와 성교할 수 있을 것이고, 그렇게 함으로써 역사를 변화시킬 수 있을 것이다. [주3]

 

 

카터의 주장에 따르면 사드는 여성의 개인적인 성적 경험을 여성의 삶뿐만 아니라 세상을 완전히 뒤바꿀 수 있는 힘을 가진 가장 중요한 ‘정치적 영역’으로 본 것이다. <사드적인 여자>는 국내에 번역되지 않았고, 생각보다 많이 알려지지 않은 카터의 책이다. 비록 일부분이지만, 사드를 옹호하는 카터의 입장을 확인할 수 있는 2차 문헌은 《사드》(김영사, 2005),《사도마조히즘》(이제이북스, 2006), 《HOW TO READ 사드》(웅진지식하우스, 2008)다.

 

 

 

 

 

 

 

 

 

 

 

 

 

 

 

 

 

 

* 게일 루빈 《일탈 : 게일 루빈 선집》(현실문화, 2015)

* [절판] 안드레아 드워킨 《포르노그래피 : 여자를 소유하는 남자들》(동문선, 1996)

 

 

 

그러나 사드에 대한 긍정적인 평가는 소수에 불과하다. 일반인에겐 사드는 그저 가까이 해선 안 될 ‘위험인물’일 뿐이다. 보부아르와 안젤라 카터 같은 페미니스트들이 사드를 호의적으로 본다고 해서 여성의 신체를 성적 대상화한 온갖 직설적인 사드의 표현들이 가려지는 건 아니다. ‘반포르노 운동’에 앞장 선 안드레아 드워킨(Andrea Dworkin)은 사드가 남성(지식인)들이 만들어 낸 ‘강간 신화’에 의해서 과장된 평가를 받았다고 비판했다. 반포르노 운동을 이끈 페미니스트들은 포르노 영화 속에 묘사된 사도마조히즘을 근거로 사도마조히스트들을 공격했다. 레즈비언 사도마조히즘 그룹을 만든 게일 루빈(Gayle Rubin)은 포르노그래피와 사도마조히즘이 정치적 검열의 표적으로 삼는 것에 반대하는 입장을 드러냈다. 《일탈 : 게일 루빈 선집》(현실문화, 2015)에 포르노그래피를 옹호하는 루빈의 글(『오도된, 위험한, 그리고 잘못된 : 반포르노그래피 정치에 대한 분석』)이 수록되어 있다. 과거 1970년대 여성운동을 회상한 글인 『과거가 된 혈전』에서 루빈은 포르노그래피와 사도마조히즘을 옹호한다는 이유로 반포르노 페미니스트들에게 공격당했던 살벌한 경험을 털어놓는다.

 

 

 

 

 

 

 

 

 

 

 

 

 

 

 

 

 

 

 

 

 

 

 

 

 

 

 

 

 

 

 

 

 

 

 

* 에드거 앨런 포 《검은 고양이》 (민음사, 2017)

* 에드거 앨런 포 《에드거 앨런 포 소설 전집 2 : 공포 편》 (코너스톤, 2015)

* 에드거 앨런 포 《에드거 앨런 포 단편선》 (민음사, 2013)

* 에드거 앨런 포, 마이클 코넬리 엮음 《더 레이븐 : 에드거 앨런 포의 그림자》 (RHK, 2012)

 

 

 

《악덕의 번영》 번역본의 문제점에 대해서 몇 마디 지적하겠다. 첫 번째 각주에 후술하겠지만, ‘사드를 화형시켜야 하는가’는 번역 투 문장이다. 《악덕의 번영》 47쪽에 에드거 앨런 포(Edgar Allan Poe)의 단편소설의 제목 ‘The Pit and the Pendulum’이 나온다. 이 작품은 ‘구덩이와 추(《에드거 앨런 포 단편선》)’, ‘함정과 진자(《에드거 앨런 포 소설 전집 2 : 공포 편》, 《더 레이븐 : 에드거 앨런 포의 그림자》)라는 제목으로 알려졌다. 그런데 《악덕의 번영》에서는 ‘우물과 진자시계’로 엉뚱하게 번역했다. 소설을 보면 알겠지만, ‘진자’는 시계추가 아니다.

 

72쪽 다섯 번째 주석에 연도 오류가 있다.

 

 

 1972년 6월 25일, 사드는 라투르라는 하인을 데리고 마르세유로 돈을 받으러 갔다가 (…)

 

 

주석의 글자 크기가 깨알과 같이 작아서 오자를 그냥 지나치기 쉽다. 1972년을 ‘1772년’으로 고쳐야 한다.

 

85~86쪽 33번째 주석에 잘못된 인명 표기가 있다.

 

 

 《소돔 120일》은 바스티유에서 분실되어 20세기가 되어 베를린의 정신과 의사 이반 프로흐 박사가 오이겐 뒤랭(Eugène Dühren)이라는 필명으로 과학적 주석을 달아 원문과 함께 편집한 것이 1904년에 베를린에서 처음으로 180부 한정으로 출판되었다.

 

 

‘이반 프로흐’가 아니라 ‘이반 블로흐(Iwan Bloch)라고 써야 한다. ‘Bloch’를 ‘프로흐’로 발음하는 것이 맞으면, 영화 《싸이코》의 원작자(Robert Bloch)는 ‘로버트 플록’으로, 《희망의 원리》를 쓴 독일의 철학자(Ernst Bloch)는 ‘에른스트 프로흐’로 읽어야 한다.

 

 

 

 

 

[주1] ‘화형시키다’는 번역 투 문장이다. ‘사드를 화형에 처해야 하는가?’라고 쓰는 게 맞다. 《악덕의 번영》에는 ‘사드를 화형시켜야 하는가’라고 되어 있다. 유일하게 보부아르의 글이 수록된 《악덕의 번영》의 출판사는 번역 문제로 악명 높은 ‘동서문화사’다.

 

[주2] ‘악덕의 번영’은 국역본 제목이며, 원제는 ‘Histoire de Juliette ou les prosperites du vice(쥘리에트 이야기 또는 악덕의 번영)’이다. 다른 책에서는 이 작품을 주인공의 이름이기도 한 ‘쥘리에트’로 언급된다.

 

[주3] 안젤라 카터, <The Sadian Woman>, 1979. (에스텔라 V. 웰든 저, 최정우 옮김, 《사도마조히즘》, 이제이북스, 2006, pp. 27)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