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월 14일일본군 ‘위안부’ 기림의 날입니다. 세계 각지의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를 기리기 위한 국가기념일입니다. 1991년 8월 14일 일본군 ‘위안부’ 피해 사실을 최초로 공개 증언한 故 김학순 님을 기억하고, 피해자와 생존자들의 명예회복과 인권을 위해 지정됐습니다. 이 기념일을 맞아 전국에 일본군 ‘위안부’ 여성의 삶과 운동의 역사를 알리는 다양한 행사들이 진행되고 있습니다.

 

 

 

 

 

 

 

오는 8월 14일 제6차 세계 일본군 ‘위안부’ 기림의 날을 맞아 대구에서도 행사가 열립니다. 세계일본군‘위안부’기림일공동행동대구·경북조직위원회“그녀들의 용기, 우리들의 위드 유”라는 슬로건으로 강연, 전시회, 문화제 등 다양한 행사를 준비하고 있습니다.

 

 

 

 

 

 

 

8월 3일 오후 7시 국가인권위대구사무소 대구인권교육센터에서 일본군 ‘위안부’ 기림의 날 첫 번째 기획 강연이 열렸습니다. 이날 강연은 이인순 희움 일본군 ‘위안부’ 역사관장님이 맡았습니다. 내일이죠. 10일 두 번째 강연은 이나영 중앙대 사회학과 교수님의 「페미니즘 관점으로 본 일본군 ‘위안부’ 운동」입니다.

 

강연을 시작하기에 앞서, 저는 ‘위안부’에 왜 작은따옴표가 붙여져 있는지 궁금했습니다. 이 궁금증은 강연이 시작된 지 20분 만에 해결되었습니다. 그리고 아주 중요한 사실도 새로 알게 됐습니다. ‘위안부(Comfort Women)’는 ‘자발적으로 한 성매매’ 행위를 반영하는 용어입니다. 일본군 ‘위안부’ 문제를 부정하는 일본 극우는 지금도 ‘위안부’ 피해 여성을 자발적인 매춘부였다고 주장합니다. 따라서 ‘위안부’ 명칭의 문제점을 부각하고, ‘위안부’ 피해 여성을 정의하는 명칭이 대체할 수 있음을 강조하기 위해 작은따옴표를 써야 합니다. 저는 이 사실을 모르고 있었어요. 막연히 ‘위안부’를 부정적인 의미를 가진 용어로만 알고 있었어요.

 

 

 

 

 

 

 

 

 

 

 

 

 

 

 

 

 

* 이토 다카시 《기억하겠습니다》 (알마, 2017)

* 안세홍 《겹겹》 (서해문집, 2013)

 

 

 

우리는 ‘위안부’ 또는 ‘종군위안부(Military Comfort Women)라는 용어에 익숙합니다. ‘위안부’가 나오기 전에는 일본군 위안부 피해 여성을 ‘정신대(挺身隊)라고 부른 시절이 있었어요. ‘정신대’와 ‘위안부’, ‘종군위안부’ 명칭의 문제점을 지적하는 연구가 나오면서 명칭 변경에 대한 논의가 본격적으로 이뤄졌습니다. 최근에는 일본군의 반인권적 범죄 행위를 잘 드러나는 용어인 ‘일본군 성노예제(Japanese Army Sex Slaves)[주1], 또는 ‘일본군 성폭력 피해자(Japanese Military Sexual Violence Victims)라고 쓰자는 의견도 있습니다. 그렇지만, 몇몇 일본군 ‘위안부’ 피해 할머니는 ‘성노예’와 ‘피해자’라는 표현에 거부감을 느끼기도 합니다. 공인된 정식 명칭은 아니지만, 일본군 ‘위안부’ 생존자라는 용어도 쓸 수 있습니다. 이인순 관장님은 지금 생존한 ‘위안부’ 할머니들 모두 세상을 떠난 뒤에도 ‘위안부’ 문제 해결을 위한 운동이 진행되어야 한다고 말하면서, 그 시기가 오면 ‘일본군 성노예제’라고 부를 수 있다고 했습니다.

 

 

 

 

 

 

 

 

 

 

일본군 ‘위안부’ 문제는 일본이라는 ‘국가’가 책임져야 할 문제입니다. 왜냐하면, 제2차 세계대전 당시 일본 제국은 전쟁 중 일본군의 성욕 해결과 성병 예방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조선을 비롯한 아시아 지역의 여성을 강제로 연행(동원)한 ‘국가적 방침’을 내렸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일본군 ‘위안부’는 국가 권력 및 공권력에 의한 성폭력이며 반인권적 범죄 행위입니다. 강제연행의 유형은 다양합니다. 집에 무단 침입해서 억지로 끌고 간 사례도 있지만, ‘취업 알선’을 미끼로 가난한 여성을 납치하거나 인신매매한 경우도 있습니다. 그런데도 일본 극우주의자들은 일본 ‘위안부’의 강제연행마저 부정하고 있습니다. 일본 군부가 국가적 차원으로 강제연행을 기획하고 실행한 증거들이 있는데도 말이죠.

 

 

 

 

 

 

 

 

 

 

 

 

 

 

 

 

* 서울대 인권센터 정진성 연구팀 《끌려가다, 버려지다, 우리 앞에 서다》 (푸른역사, 2018)

 

 

 

 

 

 

 

 

 

 

 

 

 

 

 

 

* 윤명숙 《조선인 군위안부와 일본군 위안소 제도》 (이학사, 2017)

* 안병직 옮김 · 해제 《일본군 위안소 관리인의 일기》 (이숲, 2013)

* [절판] 모리카와 미치코 《버마전선 일본군 위안부 문옥주》 (아름다운사람들, 2005)

 

 

 

이인순 관장님은 《일본군 위안소 관리인의 일기》 이숲, 2013) 93, 168쪽과 《버마전선 일본군 위안부 문옥주》(아름다운사람들, 2015) 66, 67쪽의 문장을 인용하면서 비교했습니다. 두 책에 나온 문장을 비교해서 검토하면 버마(지금의 미얀마) 전선 일본군 ‘위안부’로 끌려간 故 문옥주 님의 증언이 사실임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문옥주 님은 1943년 12월과 1944년 7월에 버마로 향하는 위안단이 부산항을 출발했다고 증언했습니다. 일본군 위안소 관리인이 쓴 1943년 7월 10일 일기에 보면 1942년 7월에 위안단이 부산항을 출발했다는 사실을 알 수 있는 구절이 있습니다[주2].

 

《일본군 위안소 관리인의 일기》는 1942년부터 1945년까지 버마와 싱가포르에 근무한 일본군 위안소 관리자(쵸우바, 帳場)로 일한 조선인이 쓴 일기입니다. 이 기록은 일본 군부가 일본군 ‘위안부’를 계획적으로 동원하고 위안소 운영을 주도했다는 사실을 보여주는 자료입니다. 일기를 우리말로 옮기고, 일본군 ‘위안부’ 문제에 대해서 해제를 쓴 안병직 교수는 ‘뉴라이트’ 계열 학자입니다. 일본군 ‘위안부’ 문제를 소극적으로 바라보고, 심지어 이 문제 자체를 부정하는 뉴라이트 역사관의 행보를 생각하면, 일기 번역과 해제를 뉴라이트 진영에서 활동하는 학자에 맡긴 건 분명 ‘옥에 티’입니다. 그렇다고 해서 이 자료의 가치마저 깎아내리면 안 됩니다. 어떤 독자는 “이 책을 통해서 무언가 의미를 도출하기 어렵다”라고 썼던데, 저는 그렇게 생각하지 않습니다. 위안소 관리자의 일기는 일본군 ‘위안부’의 실체를 알릴 수 있는 증거 자료입니다. 이 일기가 발견되지 않았더라면 우리는 일본군 위안소를 운영하거나 관리한 조선인이 존재했다는 사실을 몰랐을 것입니다. 일본 극우주의자들은 이 사실을 근거로 일본의 국가 책임을 부정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그 사실만 가지고 일본군 ‘위안부’ 문제의 본질을 호도할 수 없습니다. 일본군 위안소 제도를 연구한 윤명숙 교수는 조선인의 일본군 ‘위안부’ 징모(徵募, 국가가 국민을 징집하는 일) 문제는 일제 강점기가 낳은 조선 민족 내부의 모순이며 이 비극의 역사를 우리나라 스스로 청산해야 한다고 말했습니다[주3]. 조선인이 일본군 ‘위안부’ 제도에 관여한 일을 인정하는 것도 일제 잔재 청산의 길입니다.

 

 

 

* Trivia

 

故 문옥주 님은 1936년 16살에 일본 헌병대에 끌려가 만주와 버마 등지에서 고초를 겪었습니다. 故 김학순 님에 이어 우리나라에서 두 번째로 본인의 피해 사실을 밝혔습니다. 《버마전선 일본군 위안부 문옥주》는 문옥주 님의 생애를 정리한 책입니다. 지금은 절판되어 구하기 힘든 책이 되었지만, 일본군 ‘위안부’ 피해 · 생존자들의 증언을 모은 《끌려가다, 버려지다, 우리 앞에 서다》 1권에 문옥주 님의 증언이 수록되어 있습니다.

 

 

 

 

[주1]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들을 직접 만나 그들의 이야기를 채록한 일본의 사진작가 이토 다카시(伊藤孝司)‘일본군 전용 성노예 피해자(Japanese Military Sexual Slavery)’라는 명칭을 사용한다. (이토 다카시 지음, 안해룡 · 이은 옮김, 《기억하겠습니다》, 알마, 2017)

 

[주2] 안병직 옮김, 《일본군 위안소 관리인의 일기》, 이숲, 2013, pp. 93.

 

[주3] 윤명숙 지음, 최인순 옮김, 《조선인 군위안부와 일본군 위안소제도》, 이학사, 2015, pp. 30~31.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