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에서 활동하는 여성운동 단체들이 있습니다. 가장 대표적인 단체는 ‘대구경북여성단체연합’입니다. ‘레드스타킹’처럼 독서와 여성운동을 병행하는 중소 규모 단체도 있습니다. 대구에 ‘레드스타킹’과 비슷한 단체가 또 있는데요, 작년 5월부터 활동하기 시작한 ‘나쁜 페미니스트’입니다. 집회, 독서모임, 페미니즘 강연 등을 기획 · 진행하고 있습니다.

 

 

 

 

 

 

7월 30일에 ‘나쁜 페미니스트’와 ‘대구경북여성단체연합’이 공동 주최한 페미니즘 강연이 열렸습니다. 강연 제목은 ‘다문화주의, 페미니즘, 그리고 교차성’입니다. 강연자는 김보명 서울대 여성연구소 객원연구원입니다. 김보명 선생님은 요즘 제가 주목하고 있는 여성학자입니다. 레드스타킹 멤버들을 만나게 되면서 이 분이 쓴 논문과 활동에 관심을 가지게 됐습니다.

 

제주도 예맨 난민 문제가 불거진 이후로 ‘일부’ 페미니스트는 난민 보호에 반대하는 목소리를 내고 있습니다. 그들이 난민 수용을 반대하는 이유는 다양합니다. ‘무슬림 남성 난민’이 성폭력을 저지를 수 있다고 주장합니다. 우스갯소리로 한국에 오고 싶어 하는 난민을 ‘남민(男民)이라고 말하기도 합니다. 또 여성 차별과 (성)폭력을 정당화하는 이슬람 문화가 우리나라 사회에 들어올까 봐 걱정합니다. 이방인에 대한 낯선 감정, 그리고 낯선 존재에 대한 두려움. 인간이라면 누구나 느끼는 본능적인 감정입니다.

 

 

 

 

 

 

 

 

 

 

 

 

 

 

 

 

 

 

 

* 마사 누스바움 《혐오와 수치심》 (민음사, 2015)

* 마사 누스바움 《혐오에서 인류애로》 (뿌리와이파리, 2016)

* 카롤린 엠케 《혐오사회》 (다산초당, 2017)

 

 

 

그런데 이 ‘공포’ 감정이 무슬림 남성 난민과 이슬람에 투사되면 어떻게 될까요? 무슬림 남성 난민은 여성을 잔인하게 억압하는 ‘악마’가 되고, 이슬람은 여성 억압을 일삼는 반인륜적 종교로 인식합니다. ‘무슬림 남성 난민=이슬람=악마’로 연상되는 공포 감정이 확산될수록 실제로 검증되지 않은 공포도 더해지고, ‘가짜 뉴스’가 만들어지게 됩니다. 난민 수용을 반대하는 사람들은 난민을 ‘여성을 위협하는 존재’ 또는 ‘사회에 해로운 존재’로 규정합니다. 미국의 법철학자 마사 누스바움(Martha Nussbaum)은 자신과 주변 사람들, 그리고 사회 전체를 보호한다는 핑계로 타자를 거부하고 혐오하는 반응을 ‘투사적 혐오(projective disgust)라고 말합니다. 투사적 혐오는 자신과 다른 사회 구성원 또는 타자를 ‘오염원’으로 규정하도록 가르칩니다. 난민 수용을 반대하는 사람들은 무슬림 남성 난민이 한국 여성을 위협할까봐 두려워합니다. 워마드 회원들은 무슬림 남성과 이슬람을 조롱하는 발언을 합니다. 그러나 무슬림 남성 난민과 이슬람에 향한 투사적 혐오는 상상적 차원에서 일어날 뿐입니다. 다시 말하자면 무슬림 남성 난민을 한 번도 본 적이 없는 사람이 난민을 두려워하는 반응은 ‘실재보다 강력한 상상적 차원’에서 일어난 감정입니다. 실제로 자신에게 위협을 가하지 않은 무슬림 난민 남성에게 분노와 혐오를 투사하는 상상은 타자를 배제하고 혐오하는 분위기를 만드는 데 기여합니다. 독일의 언론인 카롤린 엠케(Caroline Emcke)는 혐오는 “느닷없이 폭발하는 것이 아니라 훈련되고 양성”된다고 말합니다[주1]. 따라서 우리 사회에 제주도 예맨 난민 수용을 반대하고, 혐오하는 목소리가 늘어난 것은 갑자기 나타난 새로운 현상이 아닙니다.

 

김보명 선생님은 난민 수용에 반대하는 페미니스트들의 언어를 분석하여 여성들이 왜 ‘난민 혐오’에 몰두하는지 배경에 주목했습니다. 무슬림 난민 남성을 비난하는 여성들은 무슬림 남성의 폭력성을 강조하기 위해 무슬림 남성에게 학대받은 무슬림 여성의 피해 경험 사례를 ‘전시’합니다. 김보명 선생님은 한국 여성의 안전을 확보하는 명목으로 무슬림 여성의 피해 사례를 동원하고 전시하는 언어를 ‘페미니즘의 언어’라고 할 수 없다고 말했습니다. 이러한 서사는 무슬림 여성을 ‘피해자’라는 고정된 틀 안에 가둡니다. 즉 남성 중심 무슬림 문화에 저항하는 무슬림 여성의 힘과 목소리를 보지 못하게 됩니다.

 

 

 

 

 

 

 

 

 

 

 

 

 

 

 

 

 

 

* 권김현영 엮음 《피해와 가해의 페미니즘》 (교양인, 2018)

 

 

 

아마도 혹자는 이렇게 말할 것입니다. 한국 여성이 무슬림 여성의 피해 경험을 공론화하는 일은 피해자 여성을 지지하는 동시에 무슬림 남성의 폭력성을 고발하는 반(反) 성폭력 활동이 될 수 있다고요. 충분히 그럴 수 있습니다. 하지만, 무슬림 여성의 피해 경험 사례만 지나치게 부각하는 것은 ‘피해자 중심주의’ 담론에 벗어나지 못한 문제라고 생각합니다. 권김현영 선생님은 피해자 경험을 공론화하면서 무조건 피해자 편에 들어주는 언어는 페미니즘이 아니라고 말했습니다[주2]. 한국 여성(페미니스트)이 무슬림 남성 난민이 일으키는 성폭력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무슬림 여성에게 ‘피해자로서의 역할’만 부여한다면, 그것은 ‘피해자 존중’이 아닙니다. 권김현영 선생님은 피해자를 무조건 지지하거나 오직 피해 사실만 호소하는 일을 ‘권리의 형식을 띤 타자화’라고 했습니다[주3].

 

 

 

 

 

 

 

김보명 선생님은 “페미니즘은 난민 혐오의 주체 세력이 아니다”라고 말했습니다. 그런데 ‘일부’ 페미니스트는 ‘페미니즘’을 내세워 난민 수용을 반대하고 있습니다. 심지어 워마드 회원들은 남성 난민과 이슬람을 혐오하는 발언을 합니다. 선생님은 우리나라 페미니즘이 지금보다 더 용감해져야 한다고 말했습니다. 선생님은 용감했습니다. 그분은 ‘혐오와 공포’를 넘어선 페미니즘의 길을 모색하기 위해 ‘경계 없는 페미니즘’이라는 페이스북 페이지를 열었습니다. 선생님은 “페미니즘은 나의 세계를 넓히는 사상”이라고 말했습니다. 공감합니다. ‘나의 세계’에 갇힌 페미니즘은 다양한 여성의 경험, 언어, 정체성을 이해하지 못합니다. ‘나의 세계’를 넓히려면 사유의 범위를 좁히게 하는 ‘경계들’을 없애야 합니다. 그 ‘경계들’이란 인종주의, 종교, 문화, 섹슈얼리티 등입니다. 복잡한 ‘경계들’에 연루된 특정 여성 집단의 경험과 목소리를 재현하고 분석하는 페미니즘이 바로 ‘상호교차성 페미니즘’입니다.

 

 

 

 

[주1] 카롤린 엠케, 정지인 옮김, 《혐오사회》, 다산초당, 2017, pp. 22~23.

 

[주2] 권김현영, 『성폭력 2차 가해와 피해자 중심주의의 문제』, 《피해와 가해의 페미니즘》, 교양인, 2018, pp. 50~51.

 

[주3] 같은 책, pp. 63.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