페미니즘을 퀴어링! - 지금 우리에게 필요한 페미니즘 이론, 실천, 행동
미미 마리누치 지음, 권유경.김은주 옮김 / 봄알람 / 2018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성애 중심 가부장적 사회에서 남성의 삶은 정치학과 철학의 주제가 되지만, 여성의 삶은 의학과 생물학의 주제로 간주한다. 특히, 근대 이후 공 · 사 영역 분리의 성별화가 가속화되면서, 남성의 삶은 더욱 공적인 것이 되었고 여성의 삶은 더욱 사적인 것이 되었다. 이로 인해 ‘당신은 여성인가, 남성인가’라는 질문은 우리가 태어나면서부터 줄곧 부딪히게 되는 문제가 되었다. 다른 사람이, 즉 의사가 당신의 성별이 무엇이라고 정해준다면 어떻게 될까? 단 두 가지의 선택 중 하나로 ‘당신은 남성입니다’ 또는 ‘당신은 여성입니다’라고 말이다. 당신이 스스로 남성으로 받아들이고 있는데 ‘남성’이라고 정해준다면 일상생활이 가능하다. 그러나 당신은 스스로 여성이라고 생각하는데 ‘남성’이라고 정해준다면 난감하기 이를 데가 없을 것이다. 자신이 여성인데도 남성으로 호명하는 순간, 주체는 ‘성 정체성(gender identity)의 혼란’에 빠지게 된다. 의사가 판정한 성별 결과에 따라 분홍색 혹은 파란색 옷으로 구분되어 입혀지며, 손에는 인형 또는 장난감 로봇이 쥐어진다. 성별에 따라 다른 대접을 받는 것은 차별적이지만, 근원적으로 단 두 가지의 성별을 지정할 수 있다는 것 자체가 매우 폭력적인 일이다.

 

페미니즘의 출발은 생물학적으로 결정된 성인 섹스(sex)와 문화적으로 구성된 젠더(gender)를 구분하는 데서 비롯됐다. 이를 토대로 페미니스트들은 여성을 정치적 주체로 집단화하고, 권리 향상을 위한 연대를 강조해 왔다. 그러나 의료적 트랜지션(medical transition)으로 여성이 남성이 되고, 남성이 여성이 되는 세상에서 페미니즘이 ‘여성’이라는 성적 범주만 강조해야 하는가에 대한 의문이 생긴다. 후천적으로 형성된 젠더 영역으로 들어가면 페미니즘은 혼란에 빠진다. 그래서 포스트모던 페미니즘은 성적 본질주의, 즉 본질적으로 결정된 성 정체성은 없다고 말한다. 즉 선천적으로 타고난 섹스도 젠더의 넓은 의미에 포함된다.

 

주디스 버틀러(Judith Butler)는 젠더를 ‘원본 없는 모방’[주1]이라고 말했다. 젠더는 고정되는 것이 아니고, 수행되는 오직 그 순간만큼만 가변적인 정체성을 만들어낸다. 여성을 여성이라고 이야기할 수 있다면, 그것은 여성으로 지칭된 존재가 여성 정체성을 수행하기 때문이다. 버틀러는 젠더든 섹스든 완성된 채로 존재하는 원본은 없다고 말한다. 버틀러는 이러한 인식을 바탕으로 페미니즘을 여성의 권리향상 차원을 넘어 레즈비언, 게이, 트랜스젠더, 드래그 퀸(drag queen, 남성이 공연이나 오락을 목적으로 여장을 하는 것)까지 포함한 성소수자의 섹슈얼리티 문제로 확장한다. 이러한 급진적인 인식론은 퀴어 이론(queer theory)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퀴어는 본래 동성애자들을 멸시하는 호칭이지만, 버틀러에 이르러서는 섹스, 젠더, 섹슈얼리티의 의미를 고정하는 모든 담론 권력에 저항하는 전복적 단어로 자리 잡는다.

 

《페미니즘을 퀴어링!》(봄알람, 2018)은 페미니즘 운동과 퀴어 운동에 관한 문제의식을 잘 보여주는 중요한 책이다. 이 책을 쓴 미미 마리누치(Mimi Marinucci)는 페미니즘 시각에서 퀴어 이론을, 또 퀴어 이론 시각에서 페미니즘을 새롭게 해석할 뿐 아니라 페미니즘 자체를 다시 쓰고 있다. 섹스, 젠더, 섹슈얼리티는 규제와 규범이 만든 사회적 산물이다. 저자는 페미니즘이 섹스, 젠더, 섹슈얼리티의 문제를 포괄하는 급진적 이론이 되려면 섹스 안에 전제된 문화적, 제도적 통제를 꿰뚫어봐야 하며 어떤 특정한 섹스, 젠더, 섹슈얼리티만 강조하는 다양한 형태의 억압 체계에도 비판적 시각을 가져야 한다고 말한다. 이 책에서 마리누치가 시도하는 것은 페미니즘 운동과 성소수자 운동의 연대, 즉 ‘퀴어 페미니즘’의 가능성을 모색하는 것이다. 저자는 퀴어 이론가들로부터 이론적 수혈을 받는데, 이 책에서도 미셸 푸코(Michel Foucault)와 버틀러, 그리고 게일 루빈(Gayle Rubin)의 사상에 대한 인용을 만날 수 있다. 마리누치는 푸코, 버틀러, 루빈의 사상을 분석과 비판의 방법론으로 삼아 페미니즘 담론을 해체적으로 읽어냄으로써 ‘퀴어 페미니즘’을 제시한다. 그러므로 책의 제목 ‘페미니즘을 퀴어링!’은 페미니즘 운동과 퀴어 운동은 연대할 수 있다는 선언적 진단이며, 좀 더 급진적인 젠더-섹슈얼리티 이론이 필요하다는 것을 역설하는 표현이다.

 

페미니즘 운동과 퀴어 운동을 연대하는 일은 쉽지 않아 보인다. 왜냐하면, 퀴어 이론은 젠더 이분법과 섹슈얼리티 이분법(이성애/동성애)뿐만 아니라 여성학과 게이 및 레즈비언 연구도 해체하고 있기 때문이다[주2]. 그렇다고 해서 페미니즘 운동과 퀴어 운동의 연대가 불가능한 것은 아니다. 페미니즘 운동과 퀴어 운동은 공통으로 ‘주변인들의 목소리’로 시작됐다. 이 두 가지 운동에 뛰어든 모든 사람들, 즉 프롤레타리아 여성(마르크스주의 페미니즘), 흑인 여성(흑인 페미니즘), 그리고 성소수자 등은 기존의 공고한 이성애 중심 가부장적 사회에서 배제된 ‘주변인’의 존재인 동시에 권력을 교란할 수 있는 목소리와 언어를 가졌다. 그들의 목소리는 ‘이상한(queer)’ 것으로 치부되었지만, 개인적 목소리가 점점 모여서 더 커질수록 페미니즘 운동과 퀴어 운동은 ‘정치적인 것’으로 발전한다. 따라서 페미니즘 운동은 자매애를 넘어서 더욱 강력한 ‘주변인들의 목소리’가 되어야 한다. 퀴어 페미니즘 운동에 뛰어든 모든 사람은 ‘퀴어’하다. 퀴어한 주변인들이 자기 삶을 정당화할 수 있는 언어를 가지고 정체화하는 것이 퀴어 페미니즘의 실천 방식이다.

 

 

 

 

[주1] 미미 마리누치 지음, 권유경 · 김은주 옮김, 《페미니즘을 퀴어링!》, 봄알람, 2018, pp. 136.

 

[주2] 같은 책, pp. 71.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