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로 유관순 열사가 태어난 지 116년이 지났다. 열사가 우리 현대사에 차지하는 비중이 크지만 유 열사의 생애와 업적에 비해 연구가 너무 미진하다. 철저한 고증과 균형감 있는 평전 한 권조차 나오지 않았다. 4년 전에는 유 열사에 대한 내용이 빠진 고등학교 교과서 4종이 확인되어 논란이 일어난 적 있었다. 유 열사가 항일운동을 한 것은 틀림없는 사실이나 친일파가 자신들의 과오를 무마하려고 의도적으로 부각한 인물이라는 주장이 제기됐다. 물론, 이를 반박하는 주장도 있다.

 

 

 

 

 

 

유 열사가 빠진 역사 교과서 논란이 일어났을 때 새누리당(현 자유한국당), 보수 언론 등은 가장 적극적으로 비판했다. 이들은 이 논란을 빌미 삼아 국정교과서 폐지를 지지하는 진보 세력까지 비판했다. 그런데 국정교과서에도 유 열사에 관한 내용이 담고 있을 거라고 확신할 수 있을까? 새누리당은 대변인의 입을 통해 유 열사가 없는 역사 교과서를 제작 · 배포하는 일은 열사에 대한 모욕이며 모든 독립 운동가들에 대한 배신이라고 공식 입장을 표명했다. 국회의원 배지를 단 친일 후손이 소속된 새누리당이 천연덕스럽게 그런 말을 하니까 어색하다. 그들의 생색내기는 결국 누워서 침 뱉기나 마찬가지인 상황이다.

 

 

 

 

 

 

 

 

 

 

 

 

 

 

 

 

 

 

* 전영택 《순국처녀 유관순전》 (늘봄, 2015)

 

 

 

생각보다 잘 알려지지 않았지만, 2015년에 최초의 유관순 전기로 알려진 전영택《순국처녀 유관순전》 (늘봄, 2015)이 복간되었다. 전영택은 교과서에도 실린 단편소설 『화수분』의 작가이다. 전기를 복간한 출판사명인 ‘늘봄’은 전영택의 호(號)다. 유관순 전기는 1948년에 출간되었다. ‘복간본 출간 열풍’이 있었던 시기에 나온 책이라서 초판 원문의 옛말을 그대로 살렸다. 이 책의 장르를 정확히 구분하자면 《순국처녀 유관순전》은 ‘완전한 전기’라기보다는 ‘간략하게 적은 소전(小傳)’에 가깝다. 전영택은 초판 서문에서 이 책을 ‘소전’이라고 밝혔다. 그래서 전기는 매우 얇은 소책자라서 분량은 100쪽이 되지 않는다. 전영택은 유관순을 ‘한국의 잔 다르크’로 표현했다. 그는 유관순 열사를 가르친 이화학당(이화여대의 전신) 교사 박인덕의 진술을 토대로 전기를 작성했지만, ‘소설가가 쓴 전기’이다 보니 과장되고 허구적인 묘사가 곳곳에 보인다. 그런데 문제는 박인덕과 전영택은 친일 논란이 있는 인물이라는 사실이다. 그래서 ‘유관순은 친일파들이 의도적으로 알린 과장된 인물’이라고 주장하는 학자들의 의견이 나오게 된 것이다.

 

이 책의 해설은 홍찬식 동아일보 수석 논설위원이 썼다. 홍 위원은 친일 인사가 유관순을 발굴했다는 주장 자체가 ‘전체적인 진실’이 아닐 뿐더러 그런 측면이 일부 있었다고 해도 전영택 작가의 친일 경력을 문제 삼아 유관순 열사의 업적이 교과서에 누락 되선 안 된다고 주장한다. 전영택 작가의 친일 경력을 교묘히 은폐하는 그의 논변이 거슬리지만, 이보다 더 불편한 사실은 그가 몸담고 있는 신문사이다. 동아일보 창업자 인촌 김성수는 친일인명사전에 등재된 인물이다. 아이러니한 건 그의 두 번째 아내 이아주는 3 · 1 운동에 참여한 독립운동가다.

 

유관순 열사 역사 교과서 논란은 교육부가 기록이 빠진 고등학교 교과서 4종에 2015학년부터 유 열사에 대한 내용을 다시 싣기로 해 일단락됐다. 그렇지만 유 열사에 대한 대접이 여전히 형편없다. 삼일절이 가까워지면 <삼일절 노래>와 함께 <유관순 노래>가 불린다.

 

 

 3월 하늘 가만히 우러러보면 유관순 누나가 생각납니다. 옥 속에 갇혀서도 만세 부르다 푸른 하늘 그리며 숨이 졌대요. (‘유관순 노래’ 1절)

 

 

노랫말을 만든 사람은 아동 문학가 강소천이다. 1915년에 태어난 강소천은 1902년에 태어난 유 열사를 ‘누나’라고 부를 수 있다. 그러나 백 년이나 지난 지금도 우리는 유 열사를 ‘누나’로만 기억하고 있다. <유관순 노래>는 동요다. <유관순 노래>를 접하는 어린이들은 ‘누나’라는 호칭으로 알려진 유 열사를 친근하게 느낄 수 있다. 열사를 ‘누나’로 호명하는 노랫말이 잘못됐다고 지적하고 싶지 않다. 문제는 다 큰 어른들이 여전히 유관순을 ‘애국심 많은 누나’로 기억하고 있는 점이다. 어린 시절 때 들은 <유관순 노래>의 노랫말 속 ‘누나’가 지워지지 않은 기억에 콕 박힌 탓일까. 유관순을 누나라고 자연스럽게 부르면서 젊은 나이에 순국한 이봉창 열사(유 열사보다 일 년 먼저 태어났다)를 ‘형’이라고 부르지 않은 걸까. 만약 이봉창 열사를 ‘형’이라고 부르면 어떤 반응을 보일까. 연세가 높은 어르신들은 나라를 되찾기 위해 노력한 선조를 모욕하는 무례한 호칭이라면서 역정을 낼 것이다. 그렇다면 백 년 전에 태어나 독립운동에 뛰어든 선조인 유 열사를 ‘누나’라고 부르는 것도 무례한 일 아닌가?

 

 

 

 

 

 

 

 

 

 

 

 

 

 

 

 

 

 

 

* 권김현영 엮음 《피해와 가해의 페미니즘》 (교양인, 2018)

* 최기숙 《처녀귀신 : 조선시대 여인의 한과 복수》 (문학동네, 2010)

* [절판] 김종대 《한국의 학교괴담 : 한국의 학교괴담에 대한 민속학적 탐구》 (다른세상, 2002)

 

 

 

 

정희진은 유 열사가 ‘누나’라고 불리게 된 배경을 ‘가부장제 중심의 민족주의’에서 찾는다. 우리나라의 민족주의는 ‘남성의 이해가 반영된 젠더 정치’[1]다. 즉 민족주의는 남성 독립 운동가를 ‘민족의 대표’ 또는 ‘독립투사’로, 여성 독립 운동가를 ‘독립운동에 뛰어든 여성’으로 정체화하는 정치이다. 유 열사를 ‘유관순 누나’라고 호명하면 그녀의 역사적 발자취는 희석된다. 유관순 열사를 ‘여성’이라는 정체성에 가두면 ‘(남성) 일제의 고문으로 이른 나이에 죽음을 맞은 피해자’로 남게 된다. 지배세력에 향한 분노와 적개심, 그리고 그들에게 굴복한 경험에 대한 민족의 수치심이 불붙으면 ‘한(恨)의 민족주의’가 형성된다. ‘한의 민족주의’가 반영된 유관순 열사는 투지가 넘치는 ‘민족의 대표’가 아닌 ‘피해자 여성의 대표’로 남게 된다.

 

‘피해자 여성의 대표’로 정체화된 유관순 열사는 엉뚱하게도 ‘유관순 귀신’으로 소환된다. ‘공포 괴담’이 유행하던 90년대에 유관순 귀신이 등장하는 괴담이 만들어졌고, ‘유관순 괴담’은 다양한 형태로 알려져 아이들이 즐겨 보던 괴담집에 종종 수록되곤 했다. 지금 들어보면 참으로 황당한 내용이다.

 

 

 1) 새벽 12시에 불이 꺼진 화장실 속 거울 앞에 서서 <유관순 노래>를 열 번 부르면 거울에 비친 유관순 귀신을 볼 수 있다.

 

2) 불이 꺼진 화장실 속 거울 앞에 서서 유관순 이름을 세 번 부르면 유관순 귀신이 나타나 자신을 부른 사람의 목을 졸라 죽인다.

 

3) 모 초등학교의 수영장 탈의실 위에는 이순신 장군 동상이 있다고 한다. 그 전에는 유관순 열사가 있었는데 자기 대신에 세워진 이순신 장군에게 적의를 품어 밤 12시가 되면 나타나서 이순신 장군과 싸운다고 한다. (김종대 《한국의 학교괴담》 34쪽)

 

4) 매년 삼일절이 되면 학교 운동장에 세워진 유관순 동상이 살아 움직이면서 피눈물을 흘린다. (김종대 《한국의 학교괴담》 35쪽)

 

 

유관순 귀신은 현대판 ‘처녀 귀신’이다. 예나 지금이나 처녀귀신은 ‘원한에 맺힌 억울한 존재’ 또는 ‘공포의 대상’이다. 민간 전설, 고소설 또는 도시전설 속 처녀 귀신은 스스로 원한을 해소하지 못하는 ‘피해자’로 그려진다.

 

‘유관순 열사’ 또는 ‘인간 유관순’을 제대로 볼 수 있는 날은 멀고도 요원하다. ‘친일 청산’이라는 적폐청산은커녕 사회에 고착화된 일제의 잔재조차 청산하지 못하는 이 나라에 유관순 평전이 나오는 건 불가능한 일인가?

 

 

 

 

 

[1] 정희진 『피해자 정체성의 정치와 페미니즘』 , 《피해와 가해의 페미니즘》 213쪽

 

 


댓글(4) 먼댓글(0) 좋아요(2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2018-05-09 21:01   URL
비밀 댓글입니다.

cyrus 2018-05-10 08:13   좋아요 1 | URL
유관순 열사가 ‘친일파가 과대 포장한 인물‘로 오해받기 쉬운 이유 중 하나는 그녀가 다녔던 학교인 이화학당과 관련이 있습니다. 이화학당은 이화여대의 전신인데 이화여대 초대 총장이 김활란입니다. 이 사람도 친일 경력이 있고, 그녀가 총장으로 활동하고 있었을 때 이화여대는 대대적으로 유 열사 업적을 알리기 시작했어요.

김활란이나 박인덕처럼 처음에는 독립운동을 했다가 나중에 변절한 친일파들이 많습니다. 그들은 자신들의 죄를 가리기 위해 동료의 이름을 내세워 열사로 만들려고 했을 것입니다. 충분히 그럴 가능성이 있습니다.

2018-05-10 09:07   URL
비밀 댓글입니다.

cyrus 2018-05-10 12:29   좋아요 1 | URL
젊은 나이에 순국한 위인을 정답게 부르려고 ‘형’, ‘누나’ 호칭을 자주 사용되는 것 같아요. 전태일 열사에게 ‘전태일 형’이라고 부르는 사람들이 있는데 저도 예전에 그렇게 불렀습니다. 하지만 지금은 ‘형’ 호칭을 쓰기가 거북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