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합뉴스 2006-09-21 07:01]

政府와 열린우리黨은 21日 午前 國會에서 法務 關聯 黨政協議會를 열어 養育費 對策이 없이는 協議離婚을 할 수 없도록 하는 內容의 民法 및 家事訴訟法 改正案을 論議한다.

民法 改正案은 夫婦가 協議離婚을 申請할 때 未成年 子女 養育費 調達 方案 等을 담은 協議書를 반드시 家庭法院에 내도록 하고, 協議書가 充實하지 못하거나 子女의 福利에 反하면 法院이 職權으로 協議書 內容을 바꿀 수 있도록 하고 있다.

民法 改正案은 또 相續財産의 50%를 配偶者의 몫으로 規定하고, 離婚 때에만 認定되던 財産分割 請求를 婚姻中에도 制限的으로 認定하며, 住居用 建物은 夫婦 中 어느 한쪽이 任意로 處分하지 못하도록 하는 內容을 담고 있다.

家事訴訟法 改正案은 `養育費 直接 支給 命令制度' 規定을 新設해 養育者가 養育費 支給者로부터 自動移替 等의 方式으로 直接 定期的으로 養育費를 받을 수 있게 했다.

이 밖에 現行 男子 18歲, 女子 16歲 以上으로 돼있는 結婚 및 約婚 可能 年齡을 男女 平等 原則에 따라 男女 모두 17歲로 調整하는 內容도 包含했다.

黨政은 이와 함께 外國人 勞動者들의 賃金 滯拂이나 虐待 等을 防止하고 結婚을 通해 國內에 定着한 `結婚 移民者'의 國語敎育과 子女 保育 等을 支援하는 內容의 在韓外國人處遇基本法 制定案도 論議한다.

lilygardener@yna.co.kr

 


 

당정 협의를 통해 민법 및 가정소송법을 개정한다고 합니다. 이젠 이혼도 맘대로 못 하게 생겼네요..ㅎㅎ 웃을 일은 아닌데요. 무엇보다도 이혼의 가장 큰 피해자는 자녀들이 아닐까 해요. 부모가 이혼한 아이들은 어딜가나 결손가정의 자녀로 치부되어 곁눈질 받기는 예사이고, 경제적, 교육적, 정신적 어려움은 이루 말할 수 없을 것입니다.

이번 개정안 논의는 그나마 이런 아이들에 대한 기초적 수준의 대안이 마련될 수 있을 거라는 생각을 갖게 하는데, 문제는 아무리 양육비 잘 챙겨놔도 아이들이 받게될 상처는 치유되지 못할 거라는 겁니다. 이번 법안의 내용은 이런 근본적 해결방안이 담겨 있지는 않지만(사실 그걸 법으로 만들기는 쉽지 않죠.), 아이들이 받게될 고통과 아픔을 최소화할 수 있는 필수적인 대책이지 않나 합니다.

근데, 남자가 18세, 여자가 16세로 결혼 나이가 정해졌어다는 건 몰랐네요. 그렇게 나이가 낮았었나?ㅎㅎ 이번에 17세가 되었다는데, 남녀평등의 문제를 고려했다고는 하나, 좀 그러네요. 남자가 더 늦게 결혼할 수 있으니까 남자가 차별받은 건가? 원론적인 이야기가 될지 모르겠지만, 남녀의 평등이라는 것이 이런 수치상의 똑같음을 의미하는 건 아닐거 같습니다. 남녀의 육체적, 정신적, 기타 여러 제반의 성격 등이 차이를 인정하는 것이 보다 넓은 의미의 평등이 아닐까 합니다. 남자 17세와 여자 17세가 만나서 결혼한다면, 그 부부가 평등해서 잘 살 거 같지는 않은데...ㅎㅎ


댓글(2)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2006-11-14 14:07   URL
비밀 댓글입니다.

멜기세덱 2006-11-14 14:48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감사합니다. 원문을 찾아보니 '과'는 한글이 맞네요..ㅎㅎ 제가 이 글을 퍼오다 보니 이런 실수가 있었네요. 아참! 근데, 이 글은 이벤트 응모글이 아니어서...
 

* 利頒道 *  

국한혼용 글쓰기란 게시판을 만들어 놓고 보니까, 이런 이벤트 아이디어가 떠오르더군요. 많이들 참가해 주시길 바랍니다.

이번 이벤트의 목적은 우선 제 서재를 널리 홍보하는데 있습니다.

그와 더불어 한자공부 좀 해보자는 의미가 있겠습니다. 자세한 이벤트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1. '독서일기' 공모라고 했는데, 그냥 독서일기가 아니라 반드시 국한혼용, 즉 한글과 한자를 섞어 쓰셔야 합니다. 그러니까 우리말은 한글로, 한자어는 한자로 쓰셔야 한다는 것이죠.

  국한혼용을 사용하셔서 독서일기를 쓰셔야 하는 겁니다.(어떤게 독서일기인지 잘 모르겠는데요, 서평이나 독후감보다는 좀 부드럽고 진솔한 독서이야기를 담으시면 될 거 같습니다.)

2. 응모 방법 : 응모는 누구나 가능하시구요. 다음 사항을 꼭 지켜주시기 바랍니다.
             1) 반드시 제 서재의 <국한혼용 글쓰기> 게시판에 올려주셔야 합니다.
             2) 페이퍼 작성시 <알라딘 상품 넣기>를 이용하셔서 해당 도서를 링크시켜 주시기 바랍니다.(이유는 많은 분들로 하여금 그 글을 읽으실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입니다.)
             3) 분량은 글쓰크기 10으로 했을 경우 한글에서 A4 한 페이지를 넘지 않는 수준이면 좋겠습니다.

3. 평가기준 : 평가는 크게 2가지 기준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하나는 국한혼용이 제대로 되었느냐 하는 것이구요, 다른 하나는 ㅎㅎ 제 맘입니다. 그러니깐 내용상 문제로 일반적인 독서일기 평가에 적용되는 것이라고 볼 수 있겠습니다. 무엇보다 제 맘에 확 오는 게 모르긴 몰라도 높은 점수를 받으실 수 있을 거라 생각이 되긴 하는 데요. ㅎㅎ 그래도 추천수나 댓글수에 영향을 안 받는다고 할 수 없습니다. 아참 한가지 더, 한글맞춤에 맞게 쓰시길 바라고, 흔히 외계어라든가 이모티콘 등의 사용을 제한합니다.

         국한혼용 : 50%     내용 : 40%      한글맞춤법 외 : 10%

4. 시상 내역 : 장원 1명 - 2만원 상당의 알라딘 도서 
                         차하 1명 - 만 5천원 상당의 알라딘 도서
                         장려 1명 - 만원 상당의 알라딘 도서
                         특별상 1명 - 만원 상당의 알라딘 도서

5. 특별상이란? 응모된 독서일기를 읽고 잘못된 국한혼용을 가장 많이 지적해 주시는 분께 드리는 상입니다. 그러니까 한자어인데 한자를 쓰지 않았던가, 한자를 잘 못 썼다던가, 한자어가 아닌데 한자로 썼다던가 하는 지적을 댓글, 단 서재주인만 보기를 이용하여 댓글로 달아주신 분 중에서 가장 많이 지적해 주신 분께 드리는 상품입니다.

궁금하신 점은 아래 댓글로 문의바라며.......자 지금부터

利頒道 진행합니다....ㅎㅎ

마감은 아직 미정이에요.... 11월 말 쯤 하도록 하겠습니다....ㅎㅎ 


댓글(8)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마늘빵 2006-11-10 13:17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헙.

마노아 2006-11-10 18:39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고난이도의 이벤트군요^^

멜기세덱 2006-11-10 20:55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그런가요? 너무 어려워들 하시면 안되는뎅! 이벤트 응모하시는 분들 아무도 없으면 어떡하지? 엥!!

비로그인 2006-11-10 23:31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너무 어려워요..;;;

stella.K 2006-11-11 13:52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독서일기를 써 본 적이 없어서...어렵긴 해도 나름대로 뜻있는 이벤트 같군요.^^

멜기세덱 2006-11-13 13:07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정군님> 생각보다 그렇게 어렵지 않습니다. 차분히 편안하게 써내려가신 다음에, 하나씩 한자어를 찾아서 바꾸시면 될 거 같아요...ㅎㅎ 사전을 많이 찾아보면 도움이 될거에요..ㅎㅎ
스텔라09님> 감사합니다. '뜻있는 이벤트'이니만큼 꼭 참여해 주세요..ㅎㅎ

가시장미 2006-11-15 18:56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그러게요. 고난도네요. 해보고는 싶은데.. 으흐 한자를 잘 몰라서. -_-;

멜기세덱 2006-11-15 22:31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붉은가시장미 님 꼭 해보세요..ㅎㅎ 안그럼 이 이벤트 망하게 생겼어요...ㅜ.ㅜ;;
 

<卷頭言>

人文學의 危機

金倉圭(大邱敎大 名譽敎授)

  近年 國文科 某 敎授의 退職 紀念式場에 慶賀하러 간 일이 있었다. 그때 同科의 젊은 교수가 司會를 맡아보았다. 퇴직 교수의 著書 소개가 있었는데, 한 번도 아닌 두 번이나 冊名의 漢字를 엉터리로 읽는 것을 보고 '아뿔사! 큰일 났구나' 했다.

  얼마 전 '人文學의 危機'라면서 80餘 人文大學長들이 모여 宣言文 發表한 것을 紙上에서 접했다. 나는 이 '人文學의 危機'는 인문학을 專攻하는 교수들이 自招한 결과라고 봤다. 인문학 가운데 國語國文學을 例로 보더라도, 요즘 國語國文學 論文集들을 보면 한결같이 한글 一色으로 變貌됐다. 아무리 시대의 흐름을 따라간다지만, 이 한글 일색의 논문을 읽다가 무슨 뜻인지 몰라 앞뒤로 文脈을 맞추어 보고 한참 생각해 봐야만 意味가 통하고 파악될 때가 있다.

  우리 國語國文學科 出身이라 한다면, 冊 標題의 漢字 정도는 常識的으로 읽어야 된다. 이렇게 국어국문학을 名色 專攻하고 大學 講壇에 선 교수라면, 아주 깊이 있는 實力을 要하는 漢文은 아니더라도 상식적인 漢字 정도는 능히 읽을 수 있어야 하겠다.

  漢字는 中國서 나온 文字이지만, 우리나라로 와서 우리 祖上들이 二千年 동안 使用하여 왔다. 韓國文化의 根幹을 이해하고 우리 傳統文化를 찾자면 漢字를 모르고서는 안 된다. 國譯事業이 잘 進陟되어 難解한 文集들을 위시한 많은 飜譯이 되어져 쉽게 접근을 할 수 있지만, 아직도 대붜분의 漢籍들은 放置된 상태다. 漢字語를 逐出한다면 우리 專統文化는 과연 무엇이 남겠는가.

  韓 · 中 · 日 三國은 漢字를 쓰고 있는 나라들이다. 이 三國이 漢字를 각각 자기 나라 소리대로 말한다면 잘 알아듣지 못한다. 그러나 漢字로 表記되었을 때는 그 意味가 잘 疏通된다. 이 漢字는 각기 그 나라에 가서 그 나라스럽게 發達한 것이다. 과연 한글 國粹主義에 빠져 漢字를 내쳐야 하겠는가. 이런 결과가 學生들을 漢字를 모르는 文盲으로 만들었고, 極少數이긴 하지만 國語國文學을 專攻한 이 가운데 常識的으로 알아야 하는 漢字로 적힌 冊 標題도 못 읽는 경우가 나왔고, 마침내 '人文學의 危機'가 온다는 사실은 明若觀火한 現實이 되고 말았다.

  우리말과 글 속에는 우리 精神이 녹아 있다. 光復된지 60년이 지났는데, 우리말 속에 우리말化한 日本語가 넘쳐나고 있다. 이는 우리 國語國文學者들이 放置한 잘못도 있고, 政府 主導下에 올바른 語文政策이 一貫性 있게 안 된 原因도 있다. 우리 民族正氣를 올바르게 세우려면, 말과 글 속에 녹아 있는 精神을 올바르게 갖도록 國語國文學이 先導했어야 햇다. 이러고 난 뒤 親日 殘滓 淸算으로 가는 것이 순서가 아닐까 한다. 例로 지금 쓰는 '化粧室'을 嶺南地方에서는 '淨廊'이라 썼다. '化粧室' 보다 '淨廊'이 얼마나 좋은 우리말인가. 그러나 사투리고 촌스러운 말이라 하여 팽개쳐진 말이다. 日帝下에서는 '便所'로 使用하여 오다가 언젠가부터 '化粧室'로 둔갑한 말이다. 이미 우리말 속에 化石化된 日本語 로 '祝祭 · 開化 · 立場 · 役割 · 詩歌', 또 요즘 學界에서 쓰이는 '學際' 등 天地볏가리다.

  '人文學의 危機'는 남의 탓도 아니요, 豫算 打令만으로 돌려서도 안 된다. '얼' 빠진 소리는 집어치우고, 우리 魂과 精神을 바로 세우는 民族 主體性의 國語敎育이 時急하다. <語文생활 통권 제108호, 3쪽)

 


 

인문학의 위기는 한자를 몰라서일까? 민족이니 국수주의니, 혼이니 정신이니 하는 것은 이제 그만 들먹였으면 하지만, 나름 수긍가는 대목이 있기도 하다.

전부는 아닐테지만, 오늘날의 어문교육이 이 '인문학의 위기' 운운하게된 데에 크게 일조하는 바가 없다고는 못할 것이다. 어쨌거나 여기서 인문학이 위기니, 그 원인이 뭐니, 대책을 강구하자, 뭐 그런 소리하겠다는 것은 아니다.

단도직입, 나는 한자를 우리가 어느정도 알아야 한다고 생각한다. 한자어를 외래어로 치부해 버리고, 한자를 남의 나라 글자라고 배척하는 요즘의 작태를 보면 참 한심한 노릇이기도 하다. 한자어는 분명 우리말이고, 한자, 나아가 한문은 우리의 중요한 자산이다. 세계화니 글로벌이니 하는 데에도 한자(한문)은 분명 유용하다. 우리말의 대부분을 구성하고 있는 한자어, 그 말의 의미를 가장 잘 이해할 수 있게 해 주는 것이 한자라면, 우리는 그것을 당연히 안고 가야할 것이다.

여기서는 국한혼용으로된 글을 옮겨 놓거나, 직접 글쓰기를 해 봄으로써, 한자와 한문에 관심있는 알라디너의 어문생활에 나름의 도움이 되고자 한다.


댓글(2)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마늘빵 2006-11-08 18:42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헙. 읽기는 읽는데 속도가 느리게 읽어요. -_-

멜기세덱 2006-11-08 19:42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이거 치느라 저도 어지간히 애먹었습니다.ㅎㅎ 익숙하지 않아서 그런 거겠죠. 자주 접하고 읽다보면 속도는 금방 빨라질거에요...앞으로는 저도 워드를 사용해야 되겠어요...ㅎㅎ 많이 애독해 주시기 바랍니다.^*^;;
 

이상섭, 문학 연구의 방법-그 한국적 적용을 위한 개관, 탐구당, 2006.

"원래는 <문예 비평의 방법>이라는 제호를 달까도 생각했다. 그러나 문학적 잡기 또는 수필 또는 인상록을 문학 비평으로 보는 습성이 우리 사회에 아직 강한 듯하여, 보다 학술적인, 따라서 보다 덜 논쟁적인 제호를 택한 것이 <문학 연구의 방법>이다.
  제목을 그렇게 단 이유는 그 밖에도 많다. 문예 비평이라는 지적 작업을 하나의 정신과학으로, 적어도 하나의 인문학으로 옹립하고자 하는 내 의도의 일단이 그 제호에 살아 있다. 문학연구는 모름지기 문예 비평이 되어야겠고, 문예 비평은 모름지기 문학연구가 되어야겠다는 신념의 일단이다."
('머리말'에서)

차례

제 1장 역사주의 비평의 방법 / 7

    1. 원본의 확정 / 12
    2. 언어의 역사성 / 19
    3. 작가 연구 / 24
    4. 작가의 영향 / 29
    5. 문학사의 문제 / 34
    6. 문학사의 관습 / 41

제 2장 형식주의 비평의 방법 / 47

    1. 문학 작품의 음성적 조직 / 50
    2. 시의 말씨와 문체 / 67
    3. 비유 / 73
    4. 의미의 형식적 조직 / 76
    5. 극적 상황 / 81
    6. 복합성과 통일성 / 84

제 3장 사회 · 윤리주의 비평의 방법 / 91

    1. 사회학적 방법 / 94
    2. 사회 · 윤리적 방법 / 108

제 4장 심리주의 비평의 방법 / 123

    1. 창작의 심리 / 125
    2. 작품의 심리적 분석 / 134
    3. 독자에 대한 심리적 영향-독자 심리학 / 147

제 5장 신화 비평의 방법 / 153

    1. 신화의 의미와 문학적 재현 / 156
    2. 신화 비평의 기본 전제 / 158
    3. 사계(四季)의 신화 - 근본적 원형 / 163
    4. 한국 문학의 신화적 체계 - 그 성립 가능성 / 167
    5. 신화 비평가의 일반적 작업 양식 / 171

제 6장 맺는 말 / 175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이승하, 한국 시문학의 위기를 극복하기 위하여, 중앙대학교 출판부, 2001.

 

 

 

 

차례

책머리에 / 5

Ⅰ. 위기를 넘어서기 위하여 / 11
    한국 시문학은 지금 위기인가 / 13
    길 위에서의 명상 - 여행시에 부치는 글 / 26
    감동적인 연애시를 찾아서 / 39
    뭇 생명에 대한 예찬과 내 내면세계 들여다보기 - 2000년도 시단 총평 / 51
    서정시의 내일을 위한 제언 / 72
    성 담론의 시적 변용 / 93
    한국 현대시에 나타난 '바다', 그 연대기 / 111
    제3공화국 시대 문예지의 역할 - 『창작과 비평』에서『문예중앙』까지 / 132

Ⅱ. 첫 시집을 찾아서 / 151
    시를 위해 바친 순교자의 넋 - 박완호,『내 안의 흔들림』/ 153
    밤늦도록 귀가하지 못하는 영혼의 노래 - 정유화,『떠도는 영혼의 집』/ 169
    진실의 힘 - 서정주,『뱀장어』/ 180
    늘푸른 소나무의 마음으로 시를 - 박봉순,『서울, 황색경보』/ 190
    우화적 상상력과 풍자의 정신 - 서상규,『배면의 아름다운』/ 204
    모국어의 아름다움을 아는 이의 시 - 고두현,『늦게 온 소포』/ 213
    사랑을 잃어버린 자의 사랑 노래 - 백인덕,『끝을 찾아서』/ 222
    나와 이웃의 삶이 만든 시들 - 박종헌,『반복률』/ 234
    마지막 휴머니스트의 길을 알리는 종소리 - 이위발,『어느 모노드라마의 꿈』/ 249
    현실세계의 힘과 영원의 세계의 깊이 - 강해림,『구름 寺院』/ 262

Ⅲ. 시인과의 만남 / 273
    진리의 증득을 위한 몸부림의 문학을 - 구상 시인과의 대화 / 275 
    신 없는 세계에서의 인간 구원 문제 - 김춘수 시인과의 대화 / 290
    서정성과 철학성을 아우른 시를 - 오세영 시인과의 대화 / 304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