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클라우스 슈밥의 제4차 산업혁명
클라우스 슈밥 지음, 송경진 옮김 / 메가스터디북스 / 2016년 4월
평점 :
제 4차 산업혁명은 이미 시작되었고 우리들의 삶을 급속히 변화시키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제 4차 산업혁명이 이전의 2차 3차 산업혁명이 그러했듯이 자본과 지배구조와 상품의 생산과 분배 그리고 소비형태를 어떻게 바꾸어나갈 것인지에 대해 아직 정확한 상이 제시되지 않았다. 심지어는 제4차 산업혁명이란 개념에 대해서도 정리된 바가 없는 것 같다. 보통 제4차 산업혁명이라 하면 유비쿼터스 모바일 인터넷, 더 저렵하면서도 강력해진 센서, 인공지능과 기계학습, 사물인터넷, 3D 프린터 등등의 현상적인 모습들로 설명하는 데서 그친다.
그러나 이전의 변화들이 그러했듯이 이 새로운 물결의 혁명도 인간의 삶을 획기적으로 변화시켜 나갈 것이고 이에 대해 미리 준비해나가는 자가 그 주도권을 가지게 될 것이다. 우리나라에서는 이에 대한 논의가 미국이나 중국, 유럽의 선진국에 비해 늦은 편이다. 그러나 기업만은 공공부문보다 더 빨리 움직여서 삼성의 기업설명회에서는 구글이나 애플에서 관심을 기울이며 엿보고 있고 그런 삼성은 올해 삼성의 모든 가전제품과 차와 모바일폰을 연결하는 작업을 시작할 것이라고 선포했다. 즉 차를 운전하며 집에 보일러와 불을 켜고 음식을 데우고 온도를 조절하여 집에 들어갈 때 모든 준비가 끝나는 시스템을 만들어낼 것이라는 얘기다. 모바일폰으로 이렇게 조정하는 것은 부분적으로 이미 선보인바가 있다.
그러나 이러한 변화가 과연 어느 범위까지 영향을 미칠 것인가이다. 나는 우리나라의 저출산 고령화문제와 노동력 부족문제, 저성장의 문제 등은 이러한 4차 산업 혁명의 물결에 휩쓸려 그 주도권을 어떻게 쥐느냐에 따라 달라지게 될 것이라고 본다. 그러나 이러한 변화가 상품화폐관계를 그 바탕으로 하는 자본주의 체제를 변화시키지는 않을 것이라고 본다. 즉 정보를 취급하는 빅데이터에 대한 접근의 주요 길목마다 그 대가를 지불해야 할 것이고 그것이 세금이기보다 앞서 먼저 기업에 대해 상품의 대가로 지급하는 형태가 될 것이라고 생각한다.
이렇게 될 때에는 그에 따른 문제점도 많이 생길 것이다. 사생활침해, 정보불평등, 상대적 박탈감에 따른 사회문제들과 인공지능과 인간과의 관계, 인류의 멸종 문제까지 다양한 문제들을 만들어낼 것이다. 사고가 생겼을 때 법률과 범죄의 문제 등이 재정의되어야 할 것이고 우리들의 삶을 규정하는 여러가지 방식들이 바뀌게 될 것이다. 특히 유전공학의 발달로 인류의 새로운 계급사회의 출현을 예고할런지도 모른다.
결국 기술발달은 양면성을 갖고 있다. 그것을 악마의 얼굴로 만들것인지 천사의 미소로 만들 것인지는 우리들의 선택에 달려 있지만 그 사회적 가치에 대한 합의와 선택의 과정을 이성적인 인간이 결정할 수 있는 구조를 만들어낼 수 있느냐에 미래사회의 승패가 달려 있다. 국가나 정부의 역할이 무엇이 되어야 하는가의 문제도 이러한 맥락에서 파악되어야 할 것이다.
어쨌거나 우리 사회에서 이미 시작된 이 급속한 사회의 변화 방향을 잘 이해하고 읽어내는 것이 우선의 과제다. 그래야만 미래 사회의 인류적 보편적 가치에 대한 답을 찾는 것이 가능할 것이기 때문이다. 늘 새로운 변화를 주도한 사람들은 많은 특권과 이권을 가졌다. 이 급격히 변화할 사회는 그러한 불평등을 더욱 심화시킬 가능성이 다분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