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시대 도자기 - 개정판 한국의 탐구 26
김영원 지음 /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 2012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청자는 빛깔과 태토 유약에 대해 조금은 이해와 느낌이 생겼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조선 백자는 아직 형식적인 조형과 안료에 대한 시대구분은 알 수 있어도 정확히 이런 태토, 유약의 빛깔이 투명한지 반투명한지....그리고 굽의 처리...갑번인지 가는 모래받침인지 굵은 모래받침인지 등에 대한 이해와 그 시대의 태토, 유약, 굽처리 및 전체적인 이해가 부족했다. 그래서 조선 도자사에 대해 더 알고 싶었다. 그래야 기물의 진위와 그 시대적 이해가 가능하니까. 물론 많은 실물과 기물을 통해 배운다면 더할 나위 없지만 한국에서 도자기 공부를 한다는 것은 쉬운 일이 아니다. 더구나 지방에서 실물감각을 익히기는 더욱 힘들다.

 

  한국의 박물관, 일본의 박물관, 유럽을 박물관을 다니며 한국과 중국도자기를 많이 들여다보려고 노력을 했다. 그 결과 한국의 도자기에서는 아직 밝혀지지 않았지만 한국과 중국도자기 간의 영향과 양식 간 교류에 대한 것도 짐작을 조금은 할 수 있었다. 개인적으로 한국비봉컬렉션의 박찬 선생님을 알게 된 덕분에 이러한 나의 짐작은 조금 더 구체적인 믿음으로 변해 갔다. 그 의문 속에 한국 도자사를 다시 보고 싶은 생각이 들었고 특히 아직은 실물감각이 와닿지 않는 조선의 도자기에 대해 궁금했다. 기본적인 진위 여부의 구분을 할 수 있어야 그 다음의 공부가 가능하다는 생각이 먼저 들었다.

 

  요지터의 발견과 요업의 성장과 분원의 형성 그리고 시대별 도자기의 형태와 기법, 사용된 태토와 안료의 차이점, 회화적 기법의 차이까지 조선 도자사를 한 번 훑어내리며 나는 대체적인 백자사를 알게 되었다. 특히 빙렬의 유무와 태토 색깔의 설백색, 유백색, 회백색에 대한 이해를 어느 정도 하게 되었고 용그림의 시대적 이해와 변화, 송죽매 등 사군자류의 시대별 회화적 특성의 구별과 청화색깔의 변화, 철화, 진사의 사용과 다양한 장식기법의 변화에 대해 조금 이해하게 되었다. 조선은 그동안 내게 도자기의 면에서는 고려보다 더욱 이해하기가 어려웠다. 이제 조금 알게 된 느낌이다.

 

  조선 도자기를 몇 점 소장하게 되었다. 그래서 가끔 꺼내놓고 이모저모를 살펴보면서 가진 기물이라도 제대로 이해하려면 공부가 필요함을 알게 되었다. 내게 온 인연이어서 더욱 소중하고 소중하니까 더욱 궁금하고 더욱 궁금해지니까 알고 싶어지고 그러니 더욱 공부하고 더욱 실물과 사귀어 그를 속까지 알게 될 때에야 비로소 조금 안다고 말할 수 있으리라. 내 눈으로 내 안목으로 제대로 된 조선백자 한 점 구하고 싶다. 그게 이 책을 읽으면서 든 나의 생각이다.  


댓글(1)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0=9 2017-11-03 09:46   좋아요 0 | 댓글달기 | 수정 | 삭제 | URL
./m[
l{P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