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형도 시인 20주기를 찾은 특별한 문상객들
"정확히 말하면 대중들은 그의 '유령'을 사랑한 것이겠지만, 20살이나 먹은 나이 든 유령이 지금도 사랑을 잔뜩 받고 있다는 생각이 들자 재미있었다."
--> 아무리 유령이라고 해도 그렇지, 어떻게 갓 스무살 된 유령에게 나이들었다고 할 수 있는가. 스무살이면 한참 날아다닐(!) 때다. 승주나무님은 유령차별주의자인가? 이 글은 승주나무님의 마지막 문장에 불만을 품고 쓰기 시작했다고 과격하게 쓰고 싶지만, 사실은 인기가 많은 승주나무님의 글을 트랙백하면 뭔가 득을 볼 수 있지 않을까 하는 음흉한 생각에서 비롯된 것임을 밝힌다. 아니, 그게 다가 아니다.
솔직히 말하면, 그날 이런 일이 있었다. 선배언니(달님)와 함께 ‘기형도의 시 읽는 밤’ 행사에 갔다가 예상했던 대로 감동에 만취해 거의 뛰다시피 홍대 앞 언덕길을 내려오는데 그만... 그래 한번은 그런 일이 있을 줄 알았다, 홍대 삼거리포차 앞의 수입CD가게 Record Forum이, 언젠가 한번은 내 주머니를 털 줄 알았다, 그렇게 어마어마한 음량 우아한 음폭 낯선 선곡 무심한 디스플레이로, 눈 하나 깜짝 안 하고 내 주머니에서 거금을 꺼내가는 날이, 한번은 올 줄 알았다. 그날이 그날이었다. 게다가 내가 예술적 흥취에 푹 젖어있다는 걸 이용해 마침 탱고(그렇다, 탱고!)를 틀어놓는 놀라운 감각. 못 들은척하고 앞만 똑바로 보며 지나가려는데 (실제로 모퉁이를 도는 데까지는 성공했다!) 아악, 왜, 신호가 안 바뀌는 거야! 길을 건너야 되는데! 왜! 왜! 이를 꼭 물고 달님에게 “언니 추워?” 하고 돌아보는데, 달님, 안 보인다. 달님, 레코드 가게 앞에서 입 벌리고 서 있다. 나는 포기하고 가게의 문을 열었다. 주인아저씨는 우리를 본 체 만 체다.
“저, 지금 나오는 음악이....(제발 이건 파는 거 아니라고 말해줘요)” “ (진열된 씨디 하나를 가리키며 무심하게) 이겁니다.” “에스테반.. 음, 모.. 음, 모르..음, 이건 뭐 이렇게 무식해서 원(난 무식하니까 음반은 살 수 없겠어요)...” “아, 못 읽는 분들이 대부분이에요. 읽는 게 중요한가요?” “ (당했다!) 그런데 이 음반은 끝까지 이렇게 좋은가요?” “어유 좋죠. 그러니까 그렇게 비싸죠. (크햑 33900원!) 안 사셔도 되니까 끝까지 들어보세요.” ... 고단수다. 봄, 밤인데. 밖에 비 오는데. 나 방금 시 읽다 왔는데. 난 몰라, 나는 울면서 지갑에서 돈을 꺼내면서 “현금영수증 끊어 주세요” 하는 나를 발견했다. 그러다 문득, 기형도의 시 읽는 밤 행사에 다녀와서 후기를 잘 쓴 한 명한테 4만원 적립금을 준다고 한 게 생각났다! 오냐 어디 팔 걷어붙이고 써보자, 그 4만원은 내 거다, 그걸로 CD값 충당해야지, 누가 쓰기만 해봐라, 하고 별렀다. 그런데 승주나무님이 이렇게 잘 쓴 걸 보니까(심지어 사진까지 잘 찍으셨네!) 4만원은 날아갔구나, 에라, 그럼 나 내 맘대로 쓸래, 하고 마음이 한결 가벼워졌다는 엉뚱한 결론. (응?) 그래서 나는 뵌 적도 없는 승주나무님 서재에서 드러눕는 심정으로 난생처음 트랙백을 해본다. 이렇게 멋진 후기라니, 나는 타의에 의해 겸손해졌다. 낭패로다!
*
이제는 분한 마음을 누르고 편하게 쓰련다.
기형도 시인이 살아있었다면 분명히 시를 몇 편이고 썼을 날씨였다. 찬바람이 불었고, 비가 왔다. 나는 여럿이 모이기로 (술을 마시기로) 한 날 비가 오면 일단 기분이 좋다. 그런 날은 몇 해가 지나고도 쉽게 잊히지 않는 법이니까. 그렇게 찾아간 이리까페가 어둡고도 따뜻한 곳이어서 좋았다. 솔직히 말하면 이 자리에 꼭 가고 싶었던 실제 이유-진은영 시인을 멀리서나마 만난 게 특히 좋았다. 함성호 시인이 딱딱한 말투로 전하는 ‘노련해져가는 일에 대한 걱정’이 듣기 좋았다. 소설가 성석제의 ‘노안을 배려치 않는 유인물’에 대한 일갈이 그렇게 귀여울 수가(죄송) 없었다. “아무것도 모르던 촛불들”은 그대로 훔쳐 오고 싶었다. 성기완 시인과 동료 밴드가 「가수는 입을 다무네」를 부를 때, 기형도가 죽은 시인이 아니란 걸 확인해서, 나는 안심했다.
대학을 졸업하고 사회생활을 시작했을 때, 『입 속의 검은 잎』은 원하든 원하지 않든 사람들과 섞여 일하고 싸우고 술마시고 떠들고 내일을 걱정하며 퇴근하고 집으로 돌아와서는 마음껏 고독하고 싶어서 외롭고 싶어서 읽는 시집이었다. '내 희망을 감시해온 불안의 짐짝들에게 나는 쓴다/ 이 누추한 육체 속에 얼마든지 머물다 가시라고 / 모든 길이 흘러온다, 나는 이미 늙은 것이다'(정거장에서의 충고)라거나 '내가 살아온 것은 거의 / 기적적이었다' (오래된 書籍)거나 하는 노골적인 환멸과 슬픔, 체념이 참 신기하게도 오히려 내일 출근하는 힘이 되곤 했다. 내 그림자는 이 시집이 대신해주었다. 그가 나대신 우울했다. 그가 나대신 울었고 절규했다. 그래서 나는 다음날이면 또 환하게 웃었다. 무례한 사람들로 꽉 찬 지하철 안에서 고집스럽게 '사람들의 쾌락은 왜 같은 종류인가'(나쁘게 말하다)는 구절을 펴 읽던 어린 날의 네꼬를, 나는 오래간만에 떠올려보았다. 울고 싶은 건지 웃고 싶은 건지 알 수 없었다. 다만, 그가 울었으니 다시 내가 웃을 차례라고 생각했다. 한 시인이 죽었고 우리는 모여서 행복했다. 이래도 되는 것인지 모르겠다 할 정도로.
*
‘이벤트’에 응모하는 일이 거의 없는 나로서는 신청하면서 확인한 간절함이 스스로도 낯설었다. 다른 분들의 진한 사연에 비하면 나의 응모 댓글은 투박하기 그지없었는데(“어떤 이벤트에 이토록 간절하게 가고 싶었던 적이 없어요”), 오로지 플래티넘 회원이란 거 하나로 날 뽑아준 알라딘과 문학과지성사에 감사를. 특히 달님의 표현에 의하면 ‘20년 전에 죽은 시인을 이렇게 모던한 방식으로 추모하는’ 문학과지성사의 탁월한 감각에, 각별한 질투를.
P. S. 4만원은 날아가고 CD만 남았구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