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등학교 때 1등 한번 안 해본 사람 찾기 어렵듯이, 한때 경제적인 어려움을 겪어보지 않은 사람 찾기도 어려울 것이다. 그래서 별로 특별할 것 없는 이야기일 줄 아는데, 나도 가난한 성장기를 보냈다. 우리 네 식구가 전전한 셋방은 그 종류가 꽤 다양했는데, 이제 와서 생각해보면 유독 한 집이 각별하다.

그 집은 길 위에 있었다. 은유적인 표현이 아니라 실제로 그랬다. 그 집은 대문이 없었다. 길가에 닿은 현관의 자물쇠를 열면 바로 부엌이 나왔고 바로 방이 들여다보였다. 겨울에도 찬물로 설거지를 해야 하는 집, 세탁기가 들어설 자리가 없는 집에 이따금 주인집 아저씨가 다녀가고 나면 엄마는 온종일 내게 한마디도 하지 않았다. 부끄러울 만도 했는데 이상하게 별로 그렇진 않았다. 친구들을 데려와 같이 라면도 끓여 먹고 TV도 보고 잘 놀았다.  

나를 괴롭힌 건 다른 데 있었다. 그건 바로, 도둑이 들면 어쩌나 하는 불안함이었다. 어떤 도둑이라도 맘만 먹으면 들어올 수 있는 집이었다. 이제 생각해보면 어떤 도둑도 눈여겨보지 않을 집이기도 했지만, 그땐 밤마다 불안해서 잠을 못 잘 지경이었다. 열한살, 열두살, 그때 내 나이가 그랬다. 어려서부터 눈치가 빤했던 나는 그 불면의 이유를 부모님께 절대 말하지 않았다. 목이 꽉 메어 억지로 잠을 청하면서 내가 바란 것은 단 한 가지, 대문이 있는 집에 사는 것이었다.   

그 꿈이 얼마나 사치스러운 것인지 알게 된 것은, 엄마와 명동성당에서 미사를 드리고 나오던 어느 겨울, 명동성당 앞에서 비닐 천막을 치고 거주하며 농성을 벌이고 있는 철거민들을 보았을 때였다. 비닐 천막 위에 얼기설기 천을 씌운 가건물 안에서 아기가 빽빽 울고 있었다. 그 충격에 나는 그날밤부터 아예 소원을 바꾸기로 했다. '길바닥에 나앉는다'는 말이 실현되지 않기를, 주인집에서 우리집에 자꾸 찾아오지 않기를, 우리를 지켜주는 저 시멘트 벽이 무너지지 않기를 바라느라고 어린 네꼬의 밤은 길고 무서웠다.  

마지막 가진 것은 시너밖에 없던 사람들이, 그들의 마지막 '일터'였던 초라한 가건물에서, 죽었다. 이른 아침 시내 한복판에서 불길에 싸인 얄팍한 상자 같은 건물. 밖에서는 그들의 동료가 저 안에 사람이 있다고 온몸으로 울부짖었다. 경찰 관계자의 기자회견을 보니, "왜 이렇게 불이 커졌을까요?"라는 질문에 "시너를 안 갖고 들어갔으면 괜찮았죠."라는 답이 돌아온다. 태어나 처음으로, 모르는 사람에게 살의를 느꼈다. 남대문이 불타는 것을 넋 놓고 보아야 했듯, 오늘도 나는 그 불길을 지켜보기만 했다. 국가는 무엇을 지키기 위해 있는 걸까. 슬프고 참담해서 말이 나오지 않는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어딘가에는 꼭 적어두어야 할 것 같아서 오늘이 가기 전에 쓴다. 오늘은 2009년 1월 20일이었다. 나는 대한민국에 살고 있다.  

 


댓글(11) 먼댓글(1) 좋아요(5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1. 난쏘공이 되풀이되는 대한민국~ 아, 부끄럽다!
    from 엄마는 독서중 2009-01-21 01:25 
    네꼬님의 글을 보며 기어이 눈물이 났다.  우리 애들에게 읽어주면서도 잠시 숨을 고르느라 멈추어야 했다.  종일 애써 외면하고 싶었던,  어젯밤 새벽에 '세계가 만일 100명의 마을이라면' 리뷰에도 썼듯이 현재 내가 갖고 있는 것들과 누리는 것들이 행복하다기 보다 오히려 미안함이 앞섰던 마음을 나는 용산철거현장에서 죽어간 그들에게 또 다시 가져야 했다.  시골에서 살때만 해도 우리가 그렇게 가난할 줄
 
 
순오기 2009-01-21 00:49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그들에겐 한몸 누일 공간이 얼마나 절실했는데~ 가진 자들이 그런 뼛속까지 시린 고통을 짐작이나 하겠는가요? 정말이지 쥑일, 죽을 놈들은 따로 있을지도 모르지요.ㅜㅜ
나도 방문 열면 한뼘짜리 쪽마루 아래 연탄아궁이가 있고~ 작은 부엌문이 있는 집에서도 수년간 살았어요. 우울한 사춘기와 청춘기를 그렇게 보냈는데~ 난, 부끄러워서 친구 하나 데려오지 못했어요. 그래서 지금 빚더미에 앉아서도 이집을 고수하고 사는 건, 우리애들에게 그런 사춘기를 갖게 하고 싶지 않다는 이유 하나예요.
그들을 보면 눈물나요~ 내 지나간 세월까지도요.ㅜㅜ

웽스북스 2009-01-21 01:46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고마워요. 네꼬님.

다락방 2009-01-21 08:32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울컥.
이 페이퍼는 추천이 말해줄 거예요.

paviana 2009-01-21 09:37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그 사람들 중에 분명히 빨갱이가 있을거라고 말하는 사람들 속에 살고 있어요. 빨갱이든 아니던 신나를 들고 들어 갔던 아니던 소중한 목숨들이고, 국가가 지켜줘야 할 국민이에요. 네꼬님이 정말 더 좋아졌어요.

마늘빵 2009-01-21 09:49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아침부터 눈물 나잖아요. 포털에서 기사 내려가지 않게 열심히 추천 눌러대고 있어요.

어릴(?) 때 제가 살던 집도 떠오르네요. 푸세식 달랑 한 칸 있는 화장실은 마당 개집 옆에 있었고, 집 문을 열면 바로 연탄 아궁이가 있는 부엌이 나와요. 그리고 무릎 높이로 훌쩍 올라서면 방 한 칸이 나왔죠. 매일 부엌에서 씼었어요. 안에 있는 사람이 밖으로 나가거나, 밖에 있는 사람이 안으로 들어오려면 그곳을 통과해야 했어요. 집배원이 오거나, 집주인이 올 때 씻고 있으면 얼마나 부끄러웠던지.

마노아 2009-01-21 10:13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이를 악물었는데, 결국 울어버렸어요ㅠ.ㅠ 대한민국을 사는 2009년은 참담할 거라고 짐작은 했지만, 정초부터 이렇게 세게 나올 줄이야... 참담하고 또 참담해요ㅠ.ㅠ

전호인 2009-01-21 10:18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가슴아픈 일입니다. 조중동의 기사를 보니 더 울화통이 터집니다. 아무리 왜곡을 일삼더라도 주검앞에서 만큼은 권력의 앞잡이에서 살짝 비켜갔으면 했는 데 역시나 로군요. 기대할 것도 없는데 미련을 가진 제가 바보지요.

hanicare 2009-01-21 10:53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네꼬님,
정말 인간이 인간이 아니네요.
너무 처참합니다.

Alicia 2009-01-21 11:11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네꼬님 마음아파요. 그리고 많이 부끄럽습니다..

쟈니 2009-01-21 13:40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저도 울컥 합니다.. 다시 눈물이 나려하는군요..

네꼬 2009-01-30 18:13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모두가 이토록 참혹해하는데, 정말 어찌하면 좋을지 모르겠습니다. "살릴 수도 있었다. 진압이 아닌 구조였다면" 하는 추모 집회의 문구가 오래 기억에 남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