만우절이지만 누구한테 거짓말 한번 못하고 지나갔다 ㅠ.ㅠ
날씨도 좋고해서 어슬렁 어슬렁 동대문 헌책방쪽으로 발걸음을 옮겼다.이쪽은 워낙 드나드는 사람들이 많은지라 내가 원하는 책을 꼭 구한다는 보장이 없다.하지만 사람이 많은대신 책의 회전도 빨라서 일주일뒤에만 가도 벌써 새로운 책들이 들어와 있으니 가볼만 하기는 하다.

동대문시장의 헌책방거리는 전에 쓴것처럼 매장이 협소하다보니 각 책방마다 주력하는 품목이 다른 편인데 소설및 인문서적등이 많은 곳중의 하나가 덕인 서점이다.이곳에서 제법 많은 책들을 구매했는데 이날도 해누리에서 나온 제 2의 성서 구약및 신약편을 보고 얼른 구매했다.이책은 7~8년전에 안양의 한 책방에서 우연히 보았었는데 그뒤 제목을 기억하지 못해 찾지 못했던 것으로 내용은 카톨릭과 개신교에서 외경으로 정리한 성서들중 일부를 번역한 책이다.
서문에서는 불안전한것을 봐야지만 왜 완전한것이 완전한지 알수 있듯이 외경을 읽어봐야만 왜 정경(성서)가 완전한지 알수있다며 일독을 권하고 있는데 나같은 비 신자의 입장에서는 그냥 당시 상황을 또다른 관점에서 볼수있어 재미있다고 여겨지는 작품이다.
성서는 흔히 생각하기에 일인이나 한 그룹이 단번에 써낸 작품이라고 착각하는 경우가 종종있는데 사실은 성서의 모든 편들은 시대와 작가가 전혀 다른 것들로서 나중에 성서라는 이름으로 합본한 것이라고 하는데 바이블(성서)라는 뜻도 사실 성스러운 책이라는 뜻이 아니라 단순히 책들이라는 의미라고 한다.

어쨓든 이책을 어렵게 구했으니 다음번에는 아이작 아시모프가 저술한 성서이야기를 구해보러 다녀야 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늦으막한 저녁때 광화문으로 나간다.종로 1가 부근 sk빌딩 맞은편에 아름다운 가게 광화문점이 있다.아름다운 가게 다른곳은 옷등 생필품이 주류를 이르고 있는 반면 이곳은 헌책만 전문적으로 파는 매장이다.아름다운 가게 초기에는 기증 받은 책들 위주여서인지 책가격이 오백원에서 천원사이였는데 지금은 많이 올라서 가격이 일반 헌책방과 동일한데 책은 별로 없어서 자주가지는 않지만 광화문점은 그래도 책들이 많아서 가끔씩 들리는 곳이다.
아름다운 가게는 대게 지역의 독지가들(대체적으로 건물주들)이 사회 사업차원에서 아주 저렴한 임대료로 매장을 빌려준다.아마 광화문점도 그런 건물주가 매장을 빌려주었기 때문에 가능했을텐데 그렇지 않으면 그 임대료 높은 광화문에 도저히 들어갈수 없었을 것이다.
그러데 광화문점은 저녁때 가기 좀 민망한데 이곳의 지하 1층과 1층.2층에는 모두 룸살롱등 술집이 입점하고 있어 여성분이나 애기를 데리고 가기에는 좀 거시기하다.아무튼 아름다운 가게는 건물 3층에 위치하고 있다.
이곳에는 다양한 책들이 있어 좋기는 한데 기본적으로 증여받은 책들이라 회전이 늦은것이 단점이고 특히 소설류들은 무협지나 판타지류가 많은것이 좀 단점이다.주욱 들러보니 80년대 중반에 나온 닌쟈 마스터 1,2,3,5권이 보인다.요즘 이책이 다른 헌책방에서는 가격이 올라 천오백원에서 이천원사인데 얼레 여긴 5백원이네.문고판형식이라 버스안에서 읽기도 쉽고해서 얼른 구매한다.

광화문점을 나와 470번을 타고 독립문에서 내리면 영천시장 입구에 골목 책방이 있다.골목책방은 헌책방계의 도매서점같다고나 할까.신촌의 숨책사장님도 여기로 책을 구하로 오는 경우가 종종있다.책값은 싼편인데 책을 주욱 싸놓아서 원하는 책을 찾기가 힘든편이다.여기는 책을 이리저리 옮기면서 찾아야 제맛인 곳이다.그러나 오늘 별반 흥미를 구하는 책이 없다.근데 쥔장 할아버지가 웬 손님과 이야기를 하고 있는데 옆에서 사알짝 들어보니 손님이 전라도 광주분이다.헌책을 사러 서울로 올라왔는데 자세한 정보가 없어 좀 헤메시는 것 같다.쥔장 할아버지가 신촌 숨책을 알려주시는데 그곳은 약도가 있어도 잘 찾기 어려운데 말로만 하려니 손님이 잘 알아듣지 못한다.문득 예전 광주에서 헌책방을 찾아 헤메던 생각이 나서 그 손님에게 신촌에 있는 숨책,공씨책방,신촌 헌책방,글벗서점및 홍대 온고당의 약도를 그려드렸다.고맙다고 하시고 가셨는데 잘 찾아 가셨는지 궁금하다.

골목책방을 나와 신촌 기차역 부근에 있는 아름다운 가게를 향한다.이곳도 아름다운 가게에서 운영하는 헌책방인데 이름은 약간 틀리는데 지금은 자세히 기억나지 않는다.이곳은 대로변 뒷골목에 위치에 찾기가 좀 힘든편인데 광화문점에 비해서 매장은 좀 작은 편이다.이곳의 특징은 인터넷서점에 신간 서적을 스캔하여 올린 책들이 자주 올라온다(물론 단점도 있는데 약 20페이지정도가 칼로 잘려있는데 이는 스캔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책을 자른후 스캔하기 때문이다.따라서 판매가 곤란한 책이므로 아름다은 가게에 기증하는 것 같다)
주욱 한번 둘러봐도 별반 흥미있는 책이 없어 밖으로 나와 신촌방향으로 향한다.

버스를 타고 신촌에 내려 바로 골목길 입구 이층에 있는 신촌 헌책방으로 간다.이곳은 아현동에 있던 문화서점이 옮긴 곳으로 신촌으로 오면서 책방명을 바꾸셨다.그런데 할아버지 쥔장이 어딜가셨는지 문이 잠겨있어 공씨 책방을 들러 신촌 숨책으로 향한다.신촌 숨책에서도 별 소득이 없어 집으로 향하는 버스에 올라탄다.가방을 보니 닌쟈 마스터가 4권이 들어있다.다니곳에 비해 소득은 적은 편이 하루였다.아이고 힘들어라 ^^;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책을 어디서 얼마나 구입했는지 블로그에서 나름대로 정리해 보려고 했는데 이것도 일기라고 참 제대로 쓰기가 어렵다.ㅠ.ㅠ
이게 뭐 방학 숙제도 아닌데 나원 참.마치 개학전날 몰아쳐서 일기를 쓰는 초등학생도 아니고^^;
가능한 그때 그때 쓰려고 노력은 해야겠다고 여기지만 과연 그렇게 될지.....

서울시내에서 헌책방이 가장 밀집한 곳이라면 아무래도 동대문 시장을 둘수가 있다.예전에는 이곳에 수많은 헌책방이 밀집되어 있었으나 개발이 진행되면서 이곳도 예전만 못해 보인다.
개인적인 의견은 이제 국내 제일의 헌책방 거리는 부산의 보수동거리가 아닐까 한다.동대문 헌책방의 경우 이제 대략 20여군데인데다 재개발로 인해 자꾸 그 설자리가 없어지는 반면 보수동은 매장수가 50군데가 넘는대다가 시 차원에서 헌책방거리로 지정하는등 여러가지 지원을 해주기 때문이다.

동대문 헌책방은 크게 세군대로 나뉘는데 우선 예전 동대문 터미날 맞은편 평화시장(?)라인에 대략 열 몇개 서점이 있는데 이곳의 특징은 매장내부가 2~3평에 불과하다보니 나름대로 각 점마다 아동,기독교전문,해외잡지,대학교재위주,일반 서적등으로 세분화 되었다는 것이다.따라서 자기가 원하는 책의 경우 여러군데 갈 필요없이 몇몇 매장만 가면되는 장점이 있으나 매장이 좁다보니 쉬엄쉬엄 헌책을 구경하기 힘들다는 단점이 있다.
하지만 누가 뭐래도 서울에서 헌책방을 찾는이가 제일 많은 곳이므로 책의 순환이 매우 빠르다는 점이 제일 큰 장점으로 원하는 책이 보이면 바로 사야지 생각하다 다음날 가게 되면 그 책이 있다고 장담할수 없다.
그다음이 황학동시장 부근의 헌책방 거리인데 아까 말한 평화시장 헌책방거리에서 도보로 약 10분거리이다.이곳은 뭘랄까 집에서 버린 책들이 고물상을 통해 온듯한 느낌으로 가격도 싸지만 책의 상태도 좀 안좋은 편이다.하지만 이곳도 재 개발로 상가들이 없어지면서 거의 철수하는 분위가다.
새롭게 생겨나는 곳이 동묘역앞으로 대략 5군데 헌책방이 새로 생겨났는데 매장들이 상당히 큰편이나 매장들이 별로없어 이곳이 헌책방거리로 되기는 좀 어려울것 같아 보인다.

주욱 돌아보는데 이날은 별로 눈에 띄는 책들이 업었는데 그래도 다행히 2권을 건져 교통비가 아깝지 않았다.두권은 추리소설인 월광 게임과 호시 신이찌의 sf 단편집중 제 1권이다.두권다 삼천원씩 구매했는데 원래 가격이 만원,구천원인걸 감안하면 매우 싼편이다 ㅎㅎㅎㅎㅎ
하지만 집에와서 보니 월광게임은 약간 물에 젖을건 말렸는지 책사이가 들러붙었다.이런.잘못하다가는 책을 찢겠는데 읽을때 좀심해서 떼야겠다.그리고 호시 신이찌의 플레시보 시리즈는 모두 20권이나 되는데 이제 제 1권을 구했으니 언제 다 구하나(물론 새책을 구하면 되지만 던이 없어서... 8,900원x 20권= 도대체 가격이 얼마여!?!? ㅠ.ㅠ)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 저작 리스트 ■

★호르헤 루이스 보르헤스
1.단편집
Inquiries (1925)
Universal History of Iniquity (1935)
A Universal History of Infamy (1935)
Six Problems for Don Isidro Parodi (1942)
Ficciones (1956)
A Personal Anthology (1961)
Dreamtigers (1964)
Labyrinths (1964)
Extraordinary Tales (1967) (with Adolfo Bioy-Casares)
Chronicles of Bustos Domecq (1967) (with Adolfo Bioy-Casares)
The Book of Imaginary Beings (1969)
Doctor Brodie's Report (1970)
Selected Poems 1923-1967 (poems) (1972)
The Book of Sand (1975)
The Aleph: And Other Stories 1933-1969 (1978)
Seven Nights (1984)
Everything and Nothing (1997)
Collected Fictions (1998)
The Book of Sand and Shakespeare's Memory (2007)

2.논픽션
Other Inquisitions 1937-52 (1964)
Borges on Writing (1973)
Borges: Selected Non-Fictions (1981)
Conversations (1984)
Atlas (1985)

3.단편소설
The Chamber of Statues (1933)
The Dread Redeemer Lazarus Morell (1933)
The Insulting Master of Etiquette Kotsuke no Suke (1933)
The Mirror of Ink (1933)
Monk Eastman, Purveyor of Iniquities (1933)
Streetcorner Man (1933)
Tom Castro, the Implausible Imposter (1933)
The Widow Ching, Lady Pirate (1933)
The Wizard Postponed (1933)
The Masked Dyer, Hakim of Merv (1934)
Tale of the Two Dreamers (1934)
A Theologian in Death (1934)
The Disinterested Killer Bill Harrigan (1935)
The Library of Babel (1941)
Tlon, Uqbar, Orbis Tertius (1941)
The Aleph (1945)
A Double for Mohammed (1946)
The Generous Enemy (1946)
Of Exactitude in Science (1946)
Funes the Memorious (1962)
The Immortal (1962)
The Lottery in Babylon (1962)
The Intruder (1966)
Death and the Compass (1968)
The Meeting (1969)
Rosendo's Tale (1969)
Doctor Brodie's Report (1970)
The Duel (1970)
The Elder Lady (1970)
The End of the Duel (1970)
The Gospel According to Mark (1970)
Guayaquil (1970)
Juan Murana (1970)
The Unworthy Friend (1970)
Utopia of a Tired Man (1975) Nebula (nominee)
August 25, 1983 (1982)
The Rose of Paracelsus (1998)
Avelino Arredondo
The Book of Sand
The Bribe
The Circular Ruins
The Congress
The Disk
The Mirror and the Mask
The Night of the Gifts
Odin (with Delia Ingenieros)
The Other
The Sect of the Thirty
There Are More Things
Ulrike
Undr
The Zahir

★아돌포 비오이 카사레스 (Adolfo Bioy Casares)
1.장편 소설
The Invention of Morel (1940)
Six Problems for Don Isidro (1942) (writing as H Bustos Domecq)
The Dream of the Heroes (1954)
Diary of the War of the Pig: A Novel (1972)
Asleep in the Sun (1973)
A Plan for Escape (1975)
The Adventures of a Photographer in La Plata (1985)

2.단편집
Garland of Loves (1959)
The Invention of Morel and Other Stories (1964)
Extraordinary Tales (1967) (with Jorge Luis Borges)
Chronicles of Bustos Domecq (1967) (with Jorge Luis Borges)
A Russian Doll: And Other Stories (1991)
Selected Stories (1994)

by caspi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40.호르헤 루이스 보르헤스&아돌포 비오이 카사레스(Jorge Luis Borges and Adolfo Bioy Casares)

■작가 소개■
아르헨티나의 소설가로 ,20세기를 대표하는 문학자이기도 한 보르헤스와 SF•환상 소설을 자랑으로 여긴 소설가 카사레스의 두 명이 합작 할 때에 사용한 펜 네임이다.
당시 라틴 아메리카를 시작으로 하는 구미의 사상•문학을 소개하는 잡지로서 유명했던〈술〉잡지 의 편집장을 맡아 아르헨티나의 문단에 있어서의 대표적인 존재인 빅토리아•오칸포의 소개로 알게 된 두 명은 원래 문학을 좋아해서 매주 같이 식사를 하면서 문학에 대한 담화를 하게었다고 한다.
그리고 그러한 까닭으로〈데스테이엔포〉라는 이름의 문예 잡지를 공동으로 출판하게 되지만 유감스럽지만 이것은 3호까지 밖에 계속되지 못했다
그러고 다음에든 둘이서 단편소설을 써 보려고 합의하고 장님이라 어둠안에 갇힌 명탐정 맥스 캐러도스를 모방하여 감옥에 갇힌 명탐정 돈 이시드로 파로디를 생각해 내고 이 캐릭터를 주인공으로 하는 G.K.체스타톤풍의 단편을 몇개인가 쓴다.
그리고 그것이 앞에서 소개한 빅토리아 오칸포의 눈에 띄어 1942년〈술〉잡지에 「황도 12궁」과「골리 아드킨의 밤」의 2편이 게재되고 같은 해 「돈 이시드로 파로디 여섯 개의 난사건」이라고 하는 타이틀로 동사로부터 단행본으로서 간행되게 된다.
그 후도 두 명은 공저을 계속해 몇개의 단편집과 영화 시나리오를 썻다고 한다.

아돌포 비오이 카사레스 (Adolfo Bioy Casares)


1914년 아르헨티나의 부에노스아이레스에서 태어났다. 열한 살 때 이미 연애소설 <이리스와 마르가리타>를 쓰고, 부에노스아이레스 대학교에 입학해 법학을 전공하지만, 마르틴 사카스트루라는 필명으로 <미래를 향해 열일곱 발을 쏴라>(1933)를 출간한 후 철학과 문학에만 전념하기 위해 학교를 그만둔다. 1934년 단편집 <혼돈>을 내고, 후에 아내가 되는 실비나 오캄포가 삽화를 그린 단편집 <집에서 만든 석상>(1936)을 출간한다. 첫 번째 소설이자 대표작 중 하나인 <모렐의 발명』(1940)을 발표하면서 큰 명성을 얻었고, 이 작품으로 제1회 부에노스아이레스 문학상을 수상했다.

환상과 현실이 멋지게 조화를 이룬 문학 세계를 구축한 비오이 카사레스는 호르헤 루이스 보르헤스와 더불어 아르헨티나 소설계의 대부로 일컬어지는데, 그와 보르헤스는 1932년의 첫 만남 이후 평생의 지기로 지내며, 함께 전위적 비평지 「철 아닌 때」를 발간하고, 시집을 편집했으며, 오노리오 부스토스 도메크라는 필명으로 <이시드로 파로디 씨의 여섯 가지 문제>(1942), <부스토스 도메크의 연대기>(1967) 등의 작품을 공동 집필 하기도 했다.

주요 소설로는 <모렐의 발명> 외에 카니발의 몽상적인 분위기 속에서 현실과 환상을 혼동하는 인물들을 그린 <영웅들의 꿈>(1954), 수술을 통해 사람들의 영혼을 바꾸는 실험을 다룬 <햇빛 아래서 잠자기>(1973)를 비롯해 <라플라타 어느 사진사의 모험>(1985) 등이 있으며, 단편집으로는 <도주 계획>(1945), <위대한 천사>(1967), <여자들의 영웅>(1978), <러시아 인형>(1991) 등이 있다.

우리의 일상에 숨겨진 또 다른 현실로서의 환상을 그림으로써 무한한 세계의 법칙을 밝히고자 했던 비오이 카사레스의 문학 세계는 보르헤스의 그늘에 가려 제대로 평가받지 못하다가, 보르헤스의 사후에야 비로소 다시 조명을 받으면서 전 세계 비평계로부터 찬사를 받았다. 1981년 프랑스 레지옹 도뇌르 훈장을 받았고, 1990년에 스페인의 세르반테스 상, 1991년에 멕시코의 알폰소 레예스 상 등 다수의 문학상을 수상했다. 1999년에 세상을 떠났다.

호르헤 루이스 보르헤스 (Jorge Luis Borges, 작가프로필 보기)


1899년 아르헨티나 부에노스아이레스에서 태어났다. 1919년 스페인으로 이주, 스페인판 아방가르드인 '최후주의' 운동을 주도했다. 1921년 아르헨티나로 돌아와 잡지 「프리즘」을 창간했다. 1935년 <불한당들의 세계사>를 발표한 후 단편소설에 주력했다. 1950년 아르헨티나 문인 협회 회장으로 선출됐다. 1961년 사무엘 베케트와 국제 출판인 협회가 수여하는 포멘터상을 공동 수상했다.

평생 한편의 장편소설도 남기지 않고 단편소설만 썼으며, 상상력, 형식,주제,문체 등에서 독자들에게 새로운 문학체험을 제공한다. 지은 책으로 <픽션들>, <불한당들의 세계사>, <모래의 책>, <이시드로 파로디의 여섯가지 사건> 등이 있다.
(출처:알라딘)

■작가 파일■
출신지 아르헨티나
◆호르헤 루이스 보르헤스(1899년 ~1986년)◆
원명 Jorge Luis Borges
1899년 아르헨티나 부에노스아이레스 출생
1908년 「나시온 Nacion」 오스카 와일드의 단편 <행복한 왕자>를 스페인어로 번역
1914년 가족과 함께 스위스로 이주
1919년 스페인으로 이주, 스페인판 아방가르드인 '최후주의' 운동을 주도
1921년 아르헨티나로 돌아와 잡지 「프리즘」을 창간
1921년「노소뜨로스」에 울뜨라이스모강령 발표
1923년 첫 시집 <부에노스 아이레스의 열기> 출간
1930년 「수르 Sur」에 주요 필진으로 참여
1935년 <불한당들의 세계사 Historia universal de la infamia> 이후 단편소설에 주력
1937년 시립 미겔 카네 도서관 수석 사서직을 시작으로 시장검열관,영미문학교수,국립도서관장,한림원 위원 등을 두루 거침
1942년 비오이 까사레스와 단편 추리소설집 <이시드로 빠로디의 여섯 개의 문제 Seis problemas para don Isidro Parodi> 공동 집필
1945년 아르헨티나 문인 협회 특별상 수상
1950년 아르헨티나 문인 협회 회장으로 선출
1955~1973년 페론의 실각 후 국립도서관장에 임명됨
1956년 부에노스 아이레스 국립대학 영문학 교수직 겸임, 아르헨티나 국민 문학상 수상, 시력 상실
1961년 사무엘 베케트와 국제 출판인 협회가 수여하는 포멘터상 공동 수상
하버드대와 소르본대 등에서 명예박사학위를 수여
1980년 세르반테스상 수상
1986년 스위스 제네바로 이주한 뒤 간암으로 사망

◆아돌프 •비오이 카사레스(1914년 ~1999년)◆
SF•환상 소설의 분야에서 활약하고 있던 아르헨티나의 소설가.
1990년에 세르반테스상 수상
경력: 1942년-〈술〉잡지 의 동년 1월호와 3월호에 「세계를 지탱하는 12궁」과「고리아드킨의
        밤」을 게재
       동년 이시드로 파로드의 단편집 간행

시리즈 탐정: 돈•이시드로•패러디 (don Isidro Parodi)
대표작 :돈 이시드로 파로디-「돈 이시드로 파로디 여섯 개의 사건」

국내 발행: 이시드로 파로디의 여섯 가지 사건 /북하우스

by caspi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