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이먼 프랭크 바움 지음, 부희령 옮김, 윌리엄 월리스 덴슬로우 그림 / 허밍버드 / 2013년 1월
'이상한 나라 앨리스'만큼이나 사랑받는 '오즈의 마법사'
그런데 앨리스의 첫 삽화가인 존 테일러의 기괴한 앨리스 그림은 다른 삽화가들에게 사랑스러운 앨리스로 탄생시키고 싶어했다면, 윌리엄 덴슬로우 그림은 너무 완벽해서일까? 앨리스만큼 다양한 삽화가 없네요. 저 역시 다른 삽화는 생각이 나지 않을만큼 델슬로의 도로시가 가장 기억에 남아요. 그나마 앨리스의 삽화를 그린 삽화가중에 오즈의 마법사도 그린 삽화가들이 있어서 반가웠어요.
![](https://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19/0330/pimg_7590691632161402.jpg)
허밍버드의 '오즈의 마법사'는 정말 이뻐요. 사이즈가 앙증맞고 빈티지 느낌이 나는것이 사랑스러운데, 그래도 이렇게 멋진 그림을 좀 더 큰 판형으로 만나고 싶다는 생각이 들긴했습니다.
어릴때 읽은 오즈의 마법사는 축약본이어서 이번에 읽으면서 이런 내용도 있었나?하고 새로운 오즈의 세계를 만나서 즐거웠습니다.
![](https://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19/0330/pimg_7590691632161403.jpg)
![](https://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19/0330/pimg_7590691632161404.jpg)
토토의 이름을 이야기하면 '시네마 천국'을 묻기도 하지만, 가끔은 '오즈의 마법사'의 토토를 묻기도 해요. 저는 오즈의 마법사의 토토를 신랑은 시네마 천국의 토토를 좋아해서 선택했답니다.
그나저나 이번에 새롭게 안 사실.
도로시가 토토의 귀를 잡아서 살렸다는것.
토토의 황당한 표정. ㅎㅎㅎ
![](https://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19/0330/pimg_7590691632161405.jpg)
![](https://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19/0330/pimg_7590691632161406.jpg)
![](https://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19/0330/pimg_7590691632161407.jpg)
![](https://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19/0330/pimg_7590691632161408.jpg)
![](https://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19/0330/pimg_7590691632161415.jpg)
허밍버드의 삽화의 특징은 원서의 삽화만 실은것이 아니라 영어도 함께 넣었어요. 영어 자체의 폰트도 하나의 디자인으로 보고 옮긴것 같은데, 이렇게 보니 영어로도 읽어보고 싶어요. 물론 삽화는 컬러로 된걸로...ㅎㅎ
![](https://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19/0330/pimg_7590691632161409.jpg)
![](https://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19/0330/pimg_7590691632161410.jpg)
![](https://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19/0330/pimg_7590691632161411.jpg)
![](https://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19/0330/pimg_7590691632161412.jpg)
![](https://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19/0330/pimg_7590691632161413.jpg)
![](https://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19/0330/pimg_7590691632161416.jpg)
![](https://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19/0330/pimg_7590691632161414.jpg)
초반보다는 후반으로 갈수록 제가 몰랐던 이야기들이 있었어요. 물론 '오즈의 마법사' 가 한권으로 끝나는 시리즈가 아니라는것을 알고 있었기 때문에, 앞으로 전체 시리즈를 읽어본다면 더 놀라운 이야기들이 기다리고 있겠지요.
역시나 '리즈베트 츠베르거'는 앨리스 뿐만 아니라 도로시도 사랑했군요.
양귀비 색은 사람을 참 홀리는듯 합니다.
제로니모 스틸턴의 오즈도 넘 좋을것 같아요. 앨리스도 넘 좋았거든요.
스콧 맥코웬도 앨리스 삽화를 그렸었지요.
우리나라 삽화가의 오즈의 마법사 - 몽환적이 이뻐서 소녀감수성 충만.
스크래치북인데, 이쁠것 같아요.
로버트 사부다의 유명한 팝업북 - 덴슬로의 그림을 사용했어요.
![](https://image.aladin.co.kr/product/6892/83/cover/8915097610_1.jpg)
축약본으로 그림동화책으로 낸거네요.
그림만 봐서는 외국인이 아닌 국내 그림작가 스타일로 보여요.^^
표지는 다른 사람 책 속의 삽화는 덴슬로우, 아쉽게도 흑백이네요.
![](https://image.aladin.co.kr/product/2208/56/cover150/8970755365_1.jpg)
오즈의 마법세 시리즈 아주 오래전에 구입하고 고이 모셔두었는데, 이참에 시리즈 한번 읽어봐야겠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