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편은 흥미롭긴했는데, 과연 결말이 어떻게 될지 궁금하네요.

'뇌'에서도 이지도르가 나오지만 그때는 솔직히 결말이 그리 마음에 들지 않았었거든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인류 진화 잃어버린 연결고리  ‘미싱링크’

인류의 기원을 밝히는 과정, 즉 인류 진화라는 완벽한 사슬을 밝히 기에는 미싱링크(잃어버린 고리:진화론상 인간과 유인원을 연결시켜 주는 중간자, 또는 중간화석)가 너무나 많다. 최근 과학자들은 분자생 물학과 첨단 컴퓨터 시뮬레이션 기법을 도입함으로써 과거 인류 화석 에만 의존한 해부학적 접근 방법의 한계성을 극복하고 있다. 그렇지만 아직까지 풀어야 할 미스터리가 존재한다.

▶진화론의 아킬레스건 : 인류의 기원은 수세기 동안 많은 논쟁의 대 상이 되어왔다. 창조론자들의 주된 논리는 미싱링크인 인류 화석이 부 족하다는 점을 들어 인류 진화가 하나의 가정에 불과하다는 것이다. 다시 말해 인간과 유인원의 유사성을 기초로 한 진화론은 인간과 유 인원이 공통 조상에서 분리되었다는 점을 뒷받침해주는 확고한 화석 증거가 없어 허황된 가설에 불과한다고 공격해왔다. 또한 화석의 절대 연령치의 불확실성과 지금까지 진화론자들의 통일된 인류진화 계통수 의 부재 등을 지적한다.

▶오스트랄로피테쿠스와 호모 계열간 미싱링크 : 인류의 정확한 진화 계통수는 어떤 모습인가? 과거부터 전통적인 계통수의 큰 줄기는 오 스트랄로피테쿠스 → 호모 하빌리스 → 호모 에렉투스 → 호모 사피 엔스(요한슨의 계통수)로 이어진다.

세계적인 화석 발굴자인 리처드 리키를 비롯한 몇몇 학자들은 오스트 랄로피테쿠스 계열과 호모 계열간에는 매끄러운 연결고리가 없다고 주장한다. 오스트랄로피테쿠스는 현대 인류인 호모 사피엔스의 직접적 인 조상이라기보다는 계통수상 곁가지인 사촌에 불과하며 아직까지 발견되지 않았으나 별도의 조상이 있다는 것이다.

그 이유로는 첫째, 오스트랄로피테쿠스는 두 발로 걸었다는 점을 제외 하고는 인간과 너무나 다르다. 둘째, 오스트랄로피테쿠스는 1백만 년 이상을 호모속(屬)과 공존했다. 셋째, 초기 호모 에렉투스는 현대인류 의 생물학적 구조로 전이했으나 오스트랄로피테쿠스는 여전히 유인원 등급에 머물렀다는 점 등을 들 수 있다.

▶호모속(屬) 계열의 종(種)들간 미싱링크 : 스페인 인류학자들을 중심 으로 일부 학자들은 호모 에렉투스는 네안데르탈인이나 현대 인류인 호모 사피엔스의 직계 조상이 아니며 후손을 남기지 않고 멸종했다고 주장한다. 진화에서 분리된 하나의 가지라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인류 진화는 단일 줄기라고 알려져 있으나, 실제로는 여러 잔 가지로 구성된 계통수라는 학설이 증가하는 추세이다. 97년 스페인 에서 발굴된 80만 년 전의 호모 안테세소르(Homo antecessor)가 호모 사피엔스와 네안데르탈인의 공통조상이며, 또한 호모 사피엔스의 직계 조상이라는 가설도 있다. 이를 뒷받침해주는 증거로는 호모 에렉투스 가 2만7천 년 전까지 호모 사피엔스와 공존했다는 연구 결과가 있다.

 

미싱링크 [missing link]

생물 진화과정에서 멸실되어 있는 생물종.

잃어버린 고리 또는 멸실환()이라고도 한다. 생물이 진화해온 경로를 현존하는 생물 및 화석으로 연구할 경우, 큰 종류 사이에는 큰 간극이, 작은 종류 사이에는 작은 간극이 있고 결여된 곳이 있어서 완전한 생물의 계통도를 증명하기가 곤란하다.

즉, 진화 계열의 중간에 해당하는 종류가 존재했다고 추정되는 데도 화석으로 발견되지 않은 것을 말한다. 이것에 해당하는 화석의 발견은 진화학상 또는 분류학상 중요한 의의를 가지는 것으로서, 양서류 화석의 일종인 견두류()는 어류와 양서류 또는 양서류와 파충류의 중간에 해당하는 대표적인 예이다. 또, 시조새는 가장 오래 된 새의 화석으로 다른 예인데, 조류와 파충류의 중간형인 원시조(:날개를 가진 파충류)의 화석은 발견되지 않은 미싱링크이다.  

잃어버린 고리’로 불리는 ‘미싱 링크(missing link)’는 원 래 생물학 용어다. 생물의 진화 경로에서 아직 발견되지 않은 화 석 증거물을 일컫는다. 교통·물류 분야에선 미개통 또는 폐쇄 구간이란 비유적 의미로 쓰인다.


댓글(3)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보슬비 2005-11-30 12:02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아버지들의 아버지를 읽다가 궁금해서 찾아보았어요.

하늘바람 2005-11-30 12:06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한 때 열린 책들 팬이었는데 아직 이책은 눈도장만 찍어놓았었죠. 음 미싱링크의 의미도 참 이롭습니다.

보슬비 2005-11-30 12:09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책 정리하려니 열린 책들이 너무 좋아서 아직도 고민이예요^^
 

신랑이 읽고 싶어서 구입했고, 읽는다고 책장에서 뺏는데, 바뻐서 그냥 소파에 올려놓기만 한 책이예요.

결국, 제가 먼저 읽게 되었네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60페이지정도여서 가볍게 읽기 좋은것 같아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초심의 마음이 흔들리고 있어요^^

책장에 책을 꽂아두기보다는 나누자...라고 생각했지만, 그래도 정리할때마다 아주 조금은 아까운 생각이 듭니다.^^

 이번 한글판 해리포터를 정리하는 대신 6편 영문판을 한권 받기로 했어요.

*책장에서 정리된 해리포터 책 들*

 해리 포터와 마법사의 돌

 해리 포터와 비밀의 방

 해리 포터와 아즈카반의 죄수

 해리 포터와 불의 잔

 해리 포터와 불사조 기사단


댓글(2)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하늘바람 2005-11-28 13:52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다 장만하셨군요

보슬비 2005-11-28 23:50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 장만한거였는데 최소 2번이상 읽었고, 영문판을 구입하려고 다른분에게 드렸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