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1년 칸 영화제 심사위원 대상을 수상한 작품 [6번 칸]은 핀란드, 러시아, 독일, 에스토니아 등의 합작 영화다. 감독 유호 쿠오스마넨은 마치 박찬욱 감독처럼 칸이 사랑하는 감독인 듯하다. 2016년 데뷔작인 <올리 마키 생애 가장 행복한 날>로 주목할 만한 시선 상을 수상한 이후 두번째 작품에서 심사위원 대상을 수상했으니 말이다. 영화 [6번 칸]은 핀란드의 여류작가 Rosa Liksom이 2011년에 발표한 동명소설을 원작으로 하고 있다.



영화[6번 칸]은 마치 <비포 선라이즈>의 북유럽판이라도 할 수 있지 않을까 생각해본다. 물론 <비포 선라이즈>가 사랑의 설렘과 두근거림으로 화사한 반면, <6번 칸>은 사랑일지 알 수 없는 따스한 감정과 한겨울의 러시아를 배경으로 한 차가움이 교차하고 있어 닮은 점이 없음에도 불구하고 말이다. 아마도 기차가 가지고 있는 낭만을 소재로 삼았다는 점에서 그런 느낌을 주는 것이 아닌가 싶다.     

 

영화 [6번 칸]은 러시아에서 학업을 마치게 된 핀란드 유학생 라우라가 자신의 동성 연인이자 룸메이트가 꿈꾸었던 무르만스크의 고대 암각화를 보러 떠나는 여행의 과정을 그리고 있다. 원래 룸메이트와 함께 하려던 여행은 룸메이트가 갑자기 여행을 가지 못하게 되면서 라우라 혼자서 무르만스크행 기차를 타게 된다. 라우라는 자신의 연인을 사랑하기에 그 주위 사람들과도 잘 지내고 싶어 하지만, 어쩐지 잘 섞이질 못한다. 실제 이번 여행은 암각화를 본다는 목적보다는 그의 연인과 함께라는 것이 중요했다. 하지만 엉뚱하게도 암각화를 보는 게 목적이었던 연인은 여행을 취소하고, 라우라만이 여행을 시작하게 된 것이다. 그렇기에 무르만스크행 기차의 6번 칸에 동행을 하게 된 러시아 노동자 료하가 그녀와의 첫 대면에서 매춘녀 취급하자, 당장 여행을 취소하려 했다. 하지만 연인과의 통화에서 연인은 라우라에게 무심하고, 오직 암각화 여행이 얼마나 멋진 일인지만을 말한다. 연인을 실망시키지 않겠다는 마음으로 모스크바로 돌아가지 못하고 다시 무르만스크로 향하는 라우라. 연인과의 인연은 이미 끊어져가고 있는 것 같지만 라우라는 그 사실을 일부러 직시하지 않는 것 같다. 라우라는 료하와의 만남이 싫어 좌석을 바꿔보려 하지만 쉽지 않다. 결국 료하와 무르만스키까지 동행하여야만 한다. 그 과정에서 점차 라우라와 료하는 서로의 마음을 열고 순수한 끌림으로 다가간다. 라우라는 여행이 끝나갈 무렵 료하에게 키스를 하고, 주소를 교환하고 싶어하지만, 료하는 어쩐 일인지 키스도 주소 교환도 거부한 채 떠나버린다. 하지만 라우라가 날씨로 인해 암각화를 볼 수 없게 되자, 료하는 헌신적으로 암각화를 볼 수 있도록 도움을 주고 암각화 여행을 함께 한다. 암각화는 실제 보잘것 없었지만, 그 둘의 인연은 암각화보다 더 오래 지속될 듯하다. 암각화를 보고 난 후 거센 눈보라 속에서 둘이 함께 눈 속을 뒹구는 모습은 마치 영화 [러브 스토리]를 연상시킨다.

  

이 둘의 감정이 [비포 선라이즈]나 [러브 스토리]처럼 사랑인지는 잘 모르겠다. 하지만 기차칸이 주는 좁은 공간에서 낯선 이와의 만남이 불편함에서 끌림으로 변해가는 모습은 흥미롭다. 어찌보면 지적 허영심과 외로움에 갇혀 있던 라우라가 거칠지만 순박한 료하를 만나며 마음을 열어가는 모습이 기분을 묘하게 푸근하게 만든다. 특히 료하의 헌신적인 순박함은 우리가 무엇에 끌리는지를 곰곰히 생각하도록 하게 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22년 8월 6일 흐림 24도~33도 


조그만 화분 1개에 커피싹이 2개나 솟아나 할 수 없이 1개는 옮겨 심어야 했다. 



싹이 났던 화분의 흙은 분갈이용 흙으로 피트모스, 톱밥, 쌀겨 등이 원료로 굉장히 가볍다. 옮겨 심을 화분의 흙은 실외에 두고 커피콩을 심었지만 아직 싹이 나지 않은 화분으로 질석 등이 포함된 다소 무거운 흙이다. 비교실험을 위해 흙의 구성 성분이 다른 것으로 옮겨 심었다. 



옮겨 심기 전에 흙을 정리하면서 보니, 두달 여 전에 심었던 커피콩에서 싹이 텄었다. 그런데 흙이 무거워서인지, 아니면 너무 깊게 심었던 것인지, 흙 위로 싹이 올라오지 못한 것이었다. 이걸 감안해보면 아직 싹이 트지 않은 실외 화분 속 커피콩 중 몇 개는 흙 속에서는 싹을 틔우고 있을지도 모르겠다. 아무튼 커피 모종이 어떤 흙에서 더 잘 자랄지 지켜보는 것도 흥미롭다. 향후 계속해서 관찰할 심산이다. 



블루베리밭도 다시 예초에 들어갔다. 어느새 1미터 남짓 자란 풀들로 모습을 찾기 힘들었던 블루베리 나무들이 하나둘씩 모습을 드러냈다. 이번이 마지막 예초 작업이었으면 좋겠지만, 상황이 어떻게 될지는 조금 더 두고봐야 할 것이다. 더군다나 요즘 너무나 덥다 보니 사실 낫을 들고 풀을 베러 나가는 것이 두려울 정도다. 몸 상태를 봐가며 쉬엄쉬엄 해 나가야 할 것이다. 무리하면 나무를 살리려다 내 몸이 망가질 수도 있으니 말이다. 낙숫물이 바위를 뚫듯이 그렇게 천천히 차곡차곡 일을 해 나가면 좋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22년 8월 3일 비온 후 갬 25도~31도


'유전자를 갖고 있다고 해서 그 유전 형질이 100% 발현되지는 않는다. 유전자의 형질이 발현될 수 있는 조건을 갖추어야 비로소 유전자는 그 형질이 발현된다. 즉 유전적으로 탁월한 능력을 지니고 있다 할지라도, 그 능력을 발현시킬 수 있는 조건을 만나야지만 능력이 발휘되는 것이다.' 라고 알고 있다. 


이런 앎은 올해 커피콩을 심으면서 직접 몸으로 체득하고 있다. 

봄에 커피콩을 10개 가량 심었다. 처음에 2개를 심었다가 뒤에 8개를 더 구해서 심은 것이다. 4개는 실내에, 6개는 실외에 심었다. 사전 공부도 없이 커피콩(아라비카 종)의 열매(체리라고 부른다)를 구해서 껍질과 과육을 제거하고 씨앗을 원예용 상토에 심었다. 상식적으로 커피는 열대 지역에서 자라는 것이라 한여름 바깥에 놔두면 발아가 되어서 잘 자랄 것이라 생각했다. 누가 일부러 심지 않아도 커피나무가 번성한 것을 생각해보면, 열대의 기후와 가장 근접한 우리나라의 여름 기후가 커피가 나고 자라는데 적합하지 않을까 생각한 것이다.



하지만, 틀린 생각이었다. 열대지역에서 자라긴 하지만 800미터 이상의 고온지대에서 잘 자라다 보니 평균기온 15~24도가 좋다고 한다. 그리고 잠깐 더 생각을 해보면 커피나무의 경우에도 자연상태에서는 6~8미터, 크게는 10미터 이상까지 자란다고 하니, 열매가 떨어져 싹이 나는 동안 햇빛을 직접 쏘이는 경우는 거의 없다고 할 것이다. 즉 어느 정도 그늘이 져야 싹이 날 가능성이 큰 것이다. 그러다보니 직사광선을 피한 실내에서는 싹이 모두 났지만(최소 30일~60일), 한여름 태양빛을 쐰 야외의 파종은 모두 실패하고 만 것이다. -커피콩은 휴면 상태가 없이 바로 발아가 되는 씨앗이라고 한다.- 물론 발아조건에 따라 발아하는 기간이 더 길어질 수도 있으니, 조금 더 기다려봄직도 하지만, 오히려 지금이라도 그늘막을 쳐주어야 가능성이 조금이라도 있지 않을까 판단된다. 이런 조건을 생각해본다면 발아가 된 이후에도 직사광선은 될수록 피하는 것이 좋을 듯하다. 콩나물 모양의 모종이 떡잎을 키우는데까도 무려 두 달 가까이 걸린다고 하니, 이 기간에도 직사광선을 많이 쐬지 않도록 관리에 신경을 써야할 듯 싶다. 


우리 아이들도 이런 커피콩과 같은 상태가 아닐까 생각해본다. 어떤 조건에서 싹이 날지 잘 살피고, 그 조건을 맞추어 주도록 애쓰는 것이 바로 부모의 몫이고, 교육을 담당하는 교육자의 몫이지 않을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22년 8월 2일 소나기. 흐림  25도~32도


'돌아서면 풀'이라는 말은 틀림이 없다. 올해 대여섯번 풀을 베었지만, 여전히 풀은 왕성하게 자란다. 



지난해 심었던 블루베리 묘목이 있는 곳도 풀이 많이 자라서 묘목이 보이지 않을 정도가 되었다. 바랭이풀, 강아지풀, 개망초, 칡, 환삼덩굴 등 가지가지다. 묘목이 자라는 것을 방해하지만 않는다면 그냥 놔두어도 되지 않을까 싶은 마음이 들었지만, 그럴리가 있겠는가.



무딘 낫을 갈고, 예초를 시작했다. 한두 시간 안에 끝날 일이 아니다. 낫으로 베면서 블루베리 묘목 주위의 풀은 뽑아 주었다. 이번이 올해 마지막이면 좋겠지만, 아마도 최소 한 번 정도는 더 깎아 주어야 할 것이다. 다행히 풀 속에 파묻혀 있던 블루베리 묘목들은 모두 건강하게 살아 있었다. 


풀을 깎으면서는 '왜 사서 이런 고생을 할까? 그냥 제초제 뿌리면 될 일을'이라는 생각이 잠깐 들기도 한다. 하지만 풀을 다 깎고 나서는 뿌듯해지는 기분이 든다. 베어진 풀들은 땅으로 돌아가 블루베리가 잘 자라는데 도움을 줄 수 있는 유기물이 될 것이다. 죽은 흙이 아니라 살아있는 흙을 유지하기 위해 선택한 풀 베기 작업. 정말 끝이 없는 일처럼 느껴지지만, 한 곳 한 곳 풀이 깎이고 작물이 드러나면 기분이 좋아지는 것은 어쩔 수 없다. 



또 한 고비 넘겼다는 생각. 하지만 고개를 옆으로 돌리면 또다시 우거진 풀들이 보인다. 다시 시작이다. ^^; 


댓글(0) 먼댓글(0) 좋아요(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22년 8월 1일 비온 후 갬 25도~32도


태풍의 영향인지 잠깐 동안 비바람이 거셌다. 폭우가 쏟아진 것도 폭풍이 몰아친 것도 아니지만, 태풍 끝자락의 영향을 받은 듯하다. 



배나무(신고) 한 그루 중 유독 한 가지에 배가 엄청 달렸다. 가지가 휘어져 땅에 닫을 정도였다. 솎아주기를 하려다 그냥 자연스레 자라도록 놔두었다. 그런데 이번 비바람에 그만 가지가 뚝 하고 끊어져 버렸다. 인간이 만들어 놓은 품종이 아니라 야생의 품종이었다면 이렇게 주체하지 못할 정도로 열매를 맺지 않았을지 모른다. 그렇기에 개량된 품종들은 어떻게든 사람의 손을 탈 수 밖에, 즉 농사라는 작업을 거칠 수 밖에 없는 운명일지도 모른다. 그런데 그냥 자연 상태로 놔 두었으니, 탈이 나는 것도 당연한 일일지도. 과욕은 이렇듯 참사(?)를 불러오는 모양이다. 



가지가 꺾이는 피해를 본 김에 배나무 두 그루를 둘러보았다. 열매 중에 이번 장맛비로 열과가 된 것도 나오고, 벌레 먹은 것들도 꽤 보인다. 솎는 작업을 하지 않고 놔두었던 것들이라, 이런 피해과를 따 주는 것이 솎는 작업과 겸하는 셈이 되었다. 


열매의 벌레 피해는 열매가 맺히고 나서가 아니라 꽃이 피었을 때부터 발생한다고 한다. 즉, 열매를 보호하기 위해선 꽃이 필 때부터 예방을 해야 하는 것이다. 올해는 작년처럼 끝까지 방치하지 않고, 방제작업을 해오고 있는데, 시기는 늦었던 모양이다. 열매가 맺히고 어느 정도 자란 뒤부터 방제작업을 해 왔기 때문이다. 그래도 이런 방제 작업 덕분에 수확할 수 있는 열매가 조금이라도 있지 않을까 기대를 갖고 있다. 


지금의 모습은 과거 행위의 결과임을 즉, 모든 사건의 결과는 그 원인이 있음(인과응보)을, 다시 한 번 되새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