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슴도치도 자기 새끼는 예쁘다고, 자식은
안 이뻐도 이쁘다. 큰애는 아장아장 걸을 때부터 의젓해서 알록달록 깜찍한 옷이 안 어울렸는데, 둘째는 6학년이 된 지금도 아기 같다. 막내라서 그런 것 같기는 한데, 아직도 멀쩡한 의자를 나두고 꼭
아빠 위에 앉으려 해 실랑이를 벌인다.
동물과 인간의 차이를 설명하다가 유발 하라리는 모든 포유류가 공유하는 감정에
대해 이렇게 말한다.
중요한 감정 하나만큼은 모든 포유류가 공유하는 듯한데, 바로 어미와 새끼 사이의 유대감이다. … 포유류 새끼들은 어미와
유대감을 느끼고 어미와 가까이 있고 싶은 욕구를 강하게 느낀다. 야생에서 어미와 유대를 맺지 못한 새끼
돼지, 송아지, 강아지 들은 오래 살지 못한다. 최근까지 인간의 아이들도 마찬가지였다…. 포유류 새끼들은 어미의
보살핌 없이는 생존할 수 없으므로, 어미의 사랑과 어미-새끼
간의 끈끈한 유대는 모든 포유류가 공유하는 특징임은 명백하다. (128쪽)
이 부분을 읽고는 남편에게 말했다. 새끼를
낳은 후에 생긴다는 모성이 내게 있는지 잘 모르겠지만, 포유류 새끼가 어미에게 애착심을 느끼는 건 맞는
것 같다. (둘째를 가리키며) 쟤는 어미가 아니라 아빠에게
애착을 느끼는 것 같으니, 아직 새끼니까, 포유류 새끼니까, 애착 관계를 잘 형성해라.
그랬던 아이가, 요 며칠 친구네
집을 순례하길래, 내일은 친구들을 집에 데려오라고 하니, 주문이
여러가지다.
첫째, 아이들이 왔을 때 현관 쪽으로
나와 반갑게 맞이하지 말라는 거다. 우리 집은 사람이 들어오면, 그대로
멈추고 현관 쪽으로 나가, 들고 온 것을 받아주고, 뽀뽀하고, 안아주는
게 일상인데, 그걸 하지 말라는 거다. 친구들이 집에 들어오면
안쪽에 있다가, “그래, 너희들 왔니?”하고 인사하라는 거다. “어머~~~~~~!!!!!!!!
우리 아롱이 친구들 왔구나!!!! 어서 와, 어서
와!!” 이러지 말라는 거다.
둘째, 떡볶이는 매워야 된다는 거다. 친구네 집에서 먹은 떡볶이가 너무 매워 자기는 먹지도 못 했는데, 그래도
떡볶이는 매워야 된다는 놀라운 주장이다.
셋째, 자기 방의 장난감들을 어떻게
하냐는 고민이다. 우리 집에는 5세 어린이도 놀만한 장난감이
몇 개나 있는데, 이제서야, 6학년이 되어서야, 예비 중학생이 되어서야, 놀러간 친구들 방에는 침대와 책상, 의자 그리고 책만 있지 장난감이 없다는 걸 발견한 거다. 이 장난감들… 한숨을 한 번 쉬고는 학교로 향한다.
아이가 주는 기쁨과 사랑은 말로 표현할 수 없다. 하지만 아이는 끝없이 요구하기에, 계속 도와줘야 하기에 힘들 때도
있다. 엄마, 아빠도 사람인지라 잠깐이라도 쉬는 시간이 필요하다. 그럴 때는 “Time out!”을 외치고 싶다. 그랬는데, 지금까지 그래왔는데.
그렇게 붙어 앉고, 끌어안고 엄마
품에, 아빠 품에 꽁꽁 쌓여있던 포유류 새끼가 이제 막 알게 된 거다.
집에서는 자기가 아기 취급을 받고 있다는 걸 말이다. 친구들이 알면 안 되기에, 자기가 아기라는 걸 알면 안 되기에, 집에 들어왔을 때 너무 반갑게
맞이해서는 안 되고, 떡볶이는 매워야 하고, 방에는 장난감이
없어야 한다고 생각하는 거다. 큰애가 방문을 꼭꼭 걸어 잠그고 두문불출할 때는 몰랐는데, 아기 같던 둘째가 이제 다 컸다며, 매운 떡볶이여야 한다고 거듭
말하는 걸 듣고 있노라니, 한편으로는 우습고, 한편으로는
기특하다.
우당탕 떡볶이를 먹고, 아이스크림을
하나씩 들고 이야기하랴 게임하랴 마냥 행복하게 웃고 떠들던 아이들은 학원 시간에 맞춰 서둘러 일어선다. 가방을
둘러매고는 각자의 집으로 돌아간다.
혼자 남은 포유류 새끼를 본다. 이제
아기라는 말이 어울리지 않는, 제법 커버린 내 새끼를 본다.
매운 떡볶이를 해 줄게. 매운 떡볶이, 아주 매운 떡볶이를 해 줄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