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러웨이 선언문』을 다 읽었다. 해러웨이가 제시하는 정보, 그 정보를 둘러싼 배경, 그 정보가 해석되는 방식에 대한 사유를 제대로 이해하지 못한 채 읽었다. 아무튼 읽기는 다 읽었다.

 
















정희진쌤 책은 책상 위에 한 권씩 나와 있다. 제일 자주 꺼내 보았던 책은양성평등에 반대한다』. 만약 선생님 책을 한 권만 골라야 한다면 (왜 그렇게 험악한 상상을?), 나는 별처럼 빛나는 선생님 책 중에 이 책을 고를 것 같다. 단독저서가 아니어서, 글의 양도 상당히 적지만 성과 이분법, 그리고 그것이 현재 우리 사회에서 해석되고 적용되는 방식에 관해 가장 정교하고 적확한 글이라 생각한다. 책읽기에 흥미를 잃고 아무 책도 읽기 싫은 밤에 꺼내 읽는 책은낯선 시선』이다. 맨 앞에서부터 읽기도 하고, 중간부터 읽기도 하는데, 복잡했던 머릿속이 정리되고, 하얀 머릿속에 무언가 채워지는 느낌이 든다. 말 그대로 독서를 격려하는 책, 다시 독서하고 싶게 만드는 책이다. 최근에 자주 꺼내 보았던 책은 정희진의 글쓰기 시리즈 세번째 『편협하게 읽고 치열하게 쓴다』이다. 아직 성과는 부진하지만, 책에 언급된 책들을 한 달에 한 권씩 읽어가는 게 나의 원대한 목표다. 어젯밤에 꺼내 놓은 책은정희진처럼 읽기』다. <좁은 편력>이라는 비교적 긴 글에 선생님의 독서법과 글 쓰는 법이 정리되어 있다. 1 1 과외처럼 영업 비밀을 그대로 공개한 글이다.

 


책을 읽은 방법은 크게 두 가지이다. 하나는 습득()이고, 하나는 지도 그리기(mapping)이다. 전자는 말 그대로 책의 내용을 익히고 내용을 이해해서 필자의 주장을 취하는(take) 것이다. 별로 효율적이지 않다. 반면 후자는 책 내용을 익히는 데 초점이 있기보다는 읽고 있는 내용을 기존의 자기 지식에 배치(trans/form 혹은 re/make)하는 것이다. 습득은 객관적, 일방적, 수동적 작업인 반면에 배치는 주관적, 상호적, 갈등적이다. 자기만의 사유, 자기만의 인식에서 읽은 내용을 알맞은 곳에 놓으려면 책 내용 자체도 중요하지만, 책의 위상과 저자의 입장을 이해하는 것이 핵심이다. 그러려면 기본적으로 사회와 인간을 이해하는 자기 입장이 있어야 하고, 자기 입장이 전체 지식 체계에서 어떤 자리에 있는가, 그리고 또 지금 이 책은 그 자리의 어디에서 나온 것인가를 파악해야 한다. (『정희진처럼 읽기』, 36)

 


첫 번째 방식으로 책을 읽기도 쉬운 건 아니다. 아니, 정확히는 상당히 어렵다. 정보의 양이 이렇게나 방대한 현대 사회를 살아가면서 게다가 하루가 멀다 하고 새로운 정보가 쏟아져 나오는 상황에서 책을 통해 얻게 되는 갖가지 정보를 머리 속에 저장하는 데 드는 시간과 에너지를 상상해보라. 첫 번째 방식의 책읽기도 그 자체로 쉬운 건 아니다. 하지만 추구해야하는 책읽기 방법은 두번째 방법이다. 이 방법이야말로 제대로 책을 읽고 공부할 수 있는 방법이고, 말 그대로 가성비가 높은 효율적 책읽기법이다. 하지만, 어떻게. 도대체 어떻게 그렇게 읽을 수 있단 말인가.

 

 

이를테면 해러웨이가 반복해서 이야기하는 말씀이 육신이 되어의 논의가 있다.

 


DH : 무엇보다 천주교의 물질기호학이 있습니다. 육신이--말의 측면이죠. … 궁극적으로 세계 속에 있는 사람으로 구성된 저는, 이와 같은 분리나 거대한 분할에 매우 불만을 느끼게 됩니다.

 겉으로 드러난 천주교 실천과 내면의 경험은 당연히 중요했습니다. 저는 일곱 살 때 처음으로 예수를 먹는 경험을 했죠. 그 강력함, 정말 무섭고, 훌륭하고, 놀라웠죠. 시각적으로 선명한 밤의 악몽, 꿰뚫는 듯한 낮의 평면, 강렬한 사랑, 끝없는 질문의 층위에 놓여 있는 대단히 심오한 관습이자 경험입니다. 의심할 바 없이, 감응과 인지 장치 모두의 수준에서, 세계를 다양한 방식으로 정화하고 분류하는 것 말이죠. 아시겠지만 둘씩 묶어서, 자연/문화, 생물학/사회, 정신/육체, 동물/인간, 기표/기의 등등 저는 이런 이분법에 능숙해진 적이 정말 없어요. 제가 글을 쓸 때 깊은 영향을 준 측면이죠. (『해러웨이 선언문』, 331)

 


말씀이 육신이 되어라는 표현은 요한복음 1 14절에 나온다. “말씀이 육신이 되어 우리 가운데 거하시매 우리가 그의 영광을 보니 아버지의 독생자의 영광이요 은혜와 진리가 충만하더라. The Word became flesh and made his dwelling among us. We have seen his glory, the glory of the One and Only, who came from the Father, full of grace and truth. (개역 개정/ NIV) 말씀은 신이었으되 인간이 된 예수 그리스도를 가리킨다. 태초부터 계셨던 말씀이 하나님과 함께 계셨고 이 말씀이 곧 하나님이니, 하나님이었던 예수가 인간으로 변화된 사건, 성육신의 사건이 말씀이 육신이 되어의 의미라고, 나는 이해한다.

 


그들이 먹을 때에 예수께서 떡을 가지사 축복하시고 떼어 제자들에게 주시며 이르시되 받아서 먹으라 이것은 내 몸이니라 하시고 또 잔을 가지사 감사 기도하시고 그들에게 주시며 이르시되 너희가 다 이것을 마시라 이것은 죄 사함을 얻게 하려고 많은 사람을 위하여 흘리는 바 나의 피 곧 언약의 피니라. (개역개정, 마태복음 26 26-28)

 


인간이 된 하나님 예수는 성만찬을 통해 인간 속에서 산다. 초기 기독교가 전파될 즈음, 기독교인들은 사람의 살과 피를 먹고 마신다는 유언비어가 널리 퍼졌는데, 그러한 오해의 배경(?)이 되었던 말씀이다. 성만찬의 떡()과 포도주를 먹고 마시면, ()과 포도주가 우리의 몸속으로 들어와 소화된다. 실체가 사라지고 몸속으로 흡수된다. 예수의 살과 피가 나의 살과 피 속에 혼합되고, 보이지 않음에도 예수의 피와 살은 내 속에 나와 함께 존재한다. 예수는 사라졌지만, 그의 살과 피는 존재하지 않지만, 동시에 내 속에 살아있다. 나와 함께 살아간다. 김은주는 이것을 이렇게 표현했다.

 
















초월적 존재이자 말씀인 하느님이 이 세계의 구원을 위해 육신을 가진 인간 예수로 왔다는 삼위일체의 교리는 가톨릭의 전례에서 밀떡과 포도주가 예수의 살과 피로 체현되는 미사로 봉헌된다. (『생각하는 여자는 괴물과 함께 잠을 잔다』, 99)

 

 


도나를 읽는다. 나는 도나 해러웨이를 정희진 선생님이 추천하셨던 방식, 즉 두 번째 책읽기 방식으로 읽고 싶다. 읽고 있는 내용을 기존에 내가 가졌던 지식에 배치해서 변환시키고 다시 만들고 싶다. 하지만, 어떻게. 도대체 어떻게 해야 한단 말인가. 나는 해러웨이가 말하는 것이 무엇인지조차 이해하지 못하고 있는데 말이다.

 

우리 속담에 하나를 가르쳐주면 열을 깨친다는 말이 있는데, 내가 바라는 건 하나를 듣고, 하나, 딱 하나를 이해하는 것이다. 하나를 듣고, 하나를 깨치기도 바쁜데, 해러웨이는 만 이천칠백구십팔 개의 정보를 하나의 문단에, 한 페이지에 몰아넣으시고는. 그러곤 카옌을 쓰다듬으며 한가로이 인터뷰를 하신다. 정말 답답한 일이 아닐 수 없겠다.

 















조지프 최근 인터뷰에서 당신은 글을 쓸 때 선택해 왔던 모든 비유가 시간과 공간, 상황의 면에서 얼마나 당신에게 철저히 개인적인지에 대해 이야기했습니다. 그렇다면 어떤 사람이든 그가 사용하는 비유는 그에게 매우 개인적일 수 있겠다고 짐작해보게 되는데요.

 

도나 그렇습니다. 진지한 연관성이 없는 대상을 왜 연구하겠어요? 그 연관성이 분노일 수도 있고 희망일 수도 있습니다. 여러 가지일 수도 있고요. 하지만 연관성이 없다면 당신도 관심을 가지지 않을 테고, 제 경험으로는 그러한 연관성 덕에 더욱 개방성을 띠게 됩니다. 내가 관심을 기울이는 모든 것으로 인해 내가 이 세상에 더욱 속해 있을 수 있습니다. 계속 퍼져나가는 물결에 연결되어 있다는 의미에서 세상에 속해있는 것이지요. (199)

 

 


지식과 일화, 에피소드와 감상의 조합을 넘어선 독법과 글쓰기를 추구하고 싶지만, 도나 해러웨이가 선사하는 비유들이 얼마나 개인적인지를 확인하는 이런 문단을 읽고 있노라니, 그러한 독법이 꼭 부족한 방법이 아닐 수도 있겠구나. 나 혼자 제멋대로 추측해본다. 개인적이고 소소하며 사소한 내 관심이 이 세상에 속해 있을 때 일어나는 일. 일어날 법한 일. 일어날 수 있는 일. 그런 일들에 대해 상상해본다. 도나는 어렵고 해러웨이 읽기는 괴롭지만, 아무튼 읽기는 읽었다. 해러웨이의 어떤 단어가, 그의 어떤 문장이, 탁월하고 신선한 입체적인 비유가 부디 내게 들어와 나의 살과 피가 되기를. 암요, 믿습니다. 믿고 말고요. 할렐루야, 아멘!!!







댓글(16) 먼댓글(0) 좋아요(3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거리의화가 2022-05-24 16:56   좋아요 2 | 댓글달기 | URL
단발머리님 리뷰 읽으니 어렵지만 갈증이 해소되는 면이 있습니다. 저는 저 부분 전혀 이해를 못했거든요ㅋㅋ 읽고 정리하느라 고생하셨습니다^^

단발머리 2022-05-24 17:51   좋아요 1 | URL
더 많이 알고 싶은데... 사실은 뭘 아는지도 뭘 모르는지도 잘 모르겠는데 아무튼 다 읽었네요.
우리 모두 다 수고많았어요. 해러웨이는 너무 큰 산이었던 것입니다. 그런데 우리, 산 정상에서 야호 부르는 거 맞지요?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다락방 2022-05-24 16:58   좋아요 3 | 댓글달기 | URL
와 단발머리님 진짜 짱이다!!
저는 ‘말씀이 육신이 되어‘ 이게 도대체 뭔 말인지 모르겠는거예요. 왜 <해러웨이 선언문> 뒷표지에서 정희진 쌤이 그 얘길 또 하잖아요. ‘육체가 언어가 된다면 쉽게 읽힐 것이다‘ 육체가 언어가 된다는게 도대체 무슨 말인지... 어휴. 저는 갈 길이 너무 멉니다, 단발머리 님 ㅠㅠ

완독 축하드려요. 읽느라 고생 많으셨습니다, 단발머리 님!

단발머리 2022-05-24 17:49   좋아요 3 | URL
말씀이 육신이 되어,는 교회 다니시는 분들은 아시는 부분이에요. 쪼금 유명한 말씀. 요한복음 3장 16절처럼 아주 많이는 아니구요 ㅋㅋㅋㅋㅋㅋㅋㅋ

해러웨이 선언문을 마치고 나니 저는 3학년 2학기 기말고사 마친 학생의 심정이 되어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오늘은 조나단으로 활활 불타오르리!!!

잠자냥 2022-05-24 17:26   좋아요 3 | 댓글달기 | URL
아니, <양성평등에 반대한다>가 그렇게 좋다굽쇼? 저는 정희진쌤 글 너무 적어서 패스했었는데 솔깃하네요!

단발머리 2022-05-24 17:42   좋아요 3 | URL
정희진쌤 글, 강연 모두 섭렵하신 잠자냥님이 이 책을 패쑤하셨다니요. 이 무슨 청천병력 미세먼지 300의 소식입니꽈!!
쌤 글은 짧지만 겁나 좋구요. 전체적으로 정리하는 글도 선생님이 쓰신 건데 그것도 좋아요. (헤벌죽) 솔깃을 권합니다!!

수이 2022-05-24 17:53   좋아요 2 | 댓글달기 | URL
드디어 올리셨군요. 갈비 뜯고와서 읽겠습니다. 일단 선댓글 ㅋㅋㅋ

단발머리 2022-05-24 17:55   좋아요 1 | URL
선갈비 후댓글!! ㅋㅋㅋㅋㅋㅋㅋㅋ

공쟝쟝 2022-05-24 21:55   좋아요 2 | 댓글달기 | URL
헤헤 해러웨이는 패스하고 (ㅋㅋㅋ) 정희진 마니아로 책상에 동 제목의 책들 항상대기중인 자로서, 저는 단발님과 우리 알라딘에서 여성주의 책 읽고 쓰는 사람들은 적어도 이렇게 읽고 써왔다고 자부하고 자신할 수 있습니다! (왜냐면 내가 그럼… ㅋㅋ)
고생 많으셨어요 🥰

단발머리 2022-05-25 13:33   좋아요 0 | URL
제가 그렇게 읽고 쓰고 왔다고 자부하고 자신할 수는 없지만.... 그러고 싶어요. 그렇게 하고 싶어요.
그니까 그렇게 하고 있는 쟝쟝님이 계속 읽고 써줘요. 나도 좀 배우자 ㅋㅋㅋㅋㅋㅋㅋㅋ
푸코는 내가 생각해볼게요. 반사 안 했음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푸코랑 조나단 ㅋㅋㅋㅋㅋㅋㅋㅋ

yamoo 2022-05-25 08:58   좋아요 2 | 댓글달기 | URL
우와~~~ 사진 상 노트북 너머의 책장이 ㅎㄷㄷ 합니다요!!!

단발머리 2022-05-25 12:18   좋아요 0 | URL
저희 동네 도서관인데요. 저 자리가 제 자리에요. 새 도서관이라 아주 반짝반짝 ㅎㄷㄷ합니다!

책읽는나무 2022-05-26 15:59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흠...이제서야 리뷰를 편히 읽어봅니다.^^ 완독하지 않고, 완독한 친구들의 리뷰나 감상을 미리 읽는다는 건 참고와 지침이 되기도 한데 왠지 미안하기도 하고...갈수록 마음이 좀 복잡해지더라구요. 근데 단발님의 리뷰는 미리 읽을껄 그랬나봐요^^ 깊은 고뇌가 느껴지면서 말씀이 육신이 된다는 그 말의 의미를 이제사 깨달았네요^^ 그런데 책이 어려워서인지...단발님의 리뷰도 어쩐지 좀 어렵게 읽힙니다jQuery18304780356727887456_1653547402529 지금 온통 글들이 은유적으로 읽혀 죄다 어렵게 읽히는 이상한 증후군이 생겼군요..이를테면 도나 증후군요!!!ㅋㅋㅋ 암튼 잘 읽었어요. 정희진쌤 이야기도 와닿구요.정희진쌤 책도 어렵던데 왠지 좀 친근하게 느껴지는 건 왜일까요?? 도나 증후군은 참 심각하군요!!ㅋㅋㅋㅋ

단발머리 2022-05-26 16:22   좋아요 1 | URL
이번 책이 특히 어려웠던것 같아요, 저는요. 물론 쉬운 책이란 건 없지만요. 요리조리 생각해봐도 참 어려웠는데 같이 읽는 이웃분들이 어렵다고 하시는데, 그게 은근히 위로가 되면서, 또 다시 책을 펴서 읽게 만드는 동기가 되더라구요.
도나 증후군에 대한 말씀은 참말로 옳으신 것 같아요. 도나는 진짜 논문을 시처럼 쓰시는 것 같더라구요. 하지만 덕분에 정희진쌤 책이 왠지 친근해졌다면 이건 정말 기뻐할 일이네요. 우리 모두 다, 수고 많았어요^^

독서괭 2022-05-26 18:11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아.. 단발님 글을 읽으니 해러웨이가 왜 그렇게 어렵다는 얘기를 듣는지 딱 알겠습니다. “만이천칠백구십팔개의 정보를 하나의 문단에 한 페이지에 몰아넣으시고는 카옌을 쓰다듬으며 한가로이 인터뷰를 하신다” - ㅋㅋㅋㅋㅋ 답답함이 느껴집니다.
해러웨이 그냥 넘기고 싶고.. 언급하신 정희진님 책 다 읽어보고 싶어지네요. 페미니즘의도전부터 읽어야 하지만요 ㅋ
암튼 단발머리님은 이 글만 보아도 충분히 두번째 방식으로 읽고 계신 분 같은데요?🥰

단발머리 2022-05-29 21:56   좋아요 1 | URL
제가 모르기 때문이겠지만 도나의 글은 약간 원망을 섞어 어리광을 부려도 될 듯 합니다.
정희진님 책은 어느 책이듯 다 좋지만 역시 페미니즘의 도전이 제일 유명하지요. 그래서 전 그 책은 두 권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두번째 방식으로 읽기 위해 정진하겠습니다. 독서괭님, 감사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