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드링킹, 그 치명적 유혹 - 혼술에서 중독까지, 결핍과 갈망을 품은 술의 맨얼굴
캐럴라인 냅 지음, 고정아 옮김 / 나무처럼(알펍) / 2017년 11월
평점 :
내가 공적인 공간에서 쓰고 있던 가면은 건강하고 원만한 것이었다. 나는 열심히 운동했고, 책상에 앉아 저지방 건강식품으로 점심을 먹었다. 친구도 많고 동료 사이에 평도 좋았다. 시내에 아담한 아파트가 한 채 있었고, 캐주얼하고 세련된 옷차림을 즐겼으며, 정기적으로 심리치료도 받았다. 누가 봐도 아무 문제 없다고 할 만한 생활이었다. (35쪽)
『명랑한 은둔자』를 미뤄두고 『드링킹』을 읽는다. 술을 마시지 않는 내가, 알코올 중독과 알코올 중독을 이겨낸 이야기를 읽는다. 어떻게 알코올 중독에 빠지게 되었는지, 어떻게 그 지옥에서 빠져나왔는지를 읽는다.
알코올의 지배 아래 사는 사람들의 ‘특징’들은 보통 사람들에게도 해당한다. 보통의 우리는. 거짓말하고 후회한다. 건강하지 못한 관계에 집착하고, 나쁜 습관에서 벗어나지 못한다. 새로운 사람을 만나는 자리가 불편하고, 혼자 있을 때 더 편안하다고 느낄 때가 많다. 사람들에게 말하기 싫은, 말할 수 없는 비밀 한두 개를 가지고 있다. 그럼에도 알코올 중독이 더 나쁜 이유는 뭘까. 가족들과 친구들과 기분 좋게 술 한잔하는 게 뭐가 어때서. 조절할 수 있으면 되는 거지. 이런 생각이 일반적이다.
유전적인 이유에 더해 신경학적 현상의 하나로 알코올 중독이 발생하기도 하지만, 또 바로 그런 이유 때문에 알코올 중독은 순수한 의미의 질병(180쪽)이다. 그렇지 않다고, 자신을 속여왔던 저자는 ‘질병’에 직면하고 ‘치료’를 시작했는데, 그건 그럴 수밖에 없어서 내려진 결정이었다. 음주운전으로 인한 교통사고로 갑자기 죽을 수도, 친구의 소중한 아이들을 위험에 빠뜨릴 수도 있었기 때문이다. 아침에 모르는 남자의 침대에 깨어나는 일을, 다른 사람의 눈을 속여가며 몰래 술을 마시는 일을 그만두고 싶었기 때문이다. 출구 없는 삼각관계에서 빠져나와 건강하고 진실한 관계를 맺고 싶었기 때문이고, 술의 도움을 받지 않고 잠들어 그다음 날 아침 맨정신에 깨어나고 싶었기 때문이다. 아버지의 임종조차 지키지 못하게 했던 온종일의 ‘숙취’ 상태에서 벗어나고 싶었기 때문이다.
고통을 신속하게 해결하려는 사람들의 속성은 미국이라는 소비사회의 특징적 신념이 되어, 전국에 다이어트 숍과 성형외과 병원들을 넘쳐나게 한다. 어떤 면에서 보면 알코올 중독이란 그러한 추구, 그러한 탐색의 20세기적 표현이자, ‘열망은 무조건 채우고 봐야 한다‘는 우리 사회의 일반적 가르침(채워라, 채워라, 너의 빈자리를 채워라. 외로움과 두려움과 분노의 구덩이를 메워 당장 눈앞에서 사라지게 하라)을 극단적으로 실현한 결과다. 우리 사회는 아주 놀라운 솜씨로 그러한 충동에 손쉬운 해결책을 제시한다. 필요한 건 TV를 보는 것뿐, 그러면 우리 앞에 답이 척척 마련될 것이다. 멋진 몸매를 얻으면 모든 문제가 해결될 것이다. 멋진 집을 마련한다면, 맥주 두 잔만 마신다면. (90-1쪽)
‘~~ 한다면’의 주문이 현대인을 얼마나 강하게 사로잡고 있는지, 현대를 현재로 사는 우리는 알 수 없다. 욕망의 안내에 따라 그저 오늘을 살아갈 뿐이다. 욕망이란 결국 채워지지 않는다. 어느 순간에도 ‘만족한 상태’에 도달할 수 없다. 무언가를 얻었다고 해서, 무언가를 가졌다고 해서 온전해지지 ‘않는다’. 그런데도 우리 내면의 열망을 계속해서 ‘채워가겠다’는 ‘욕구’는 그 자리를 채워줄 무언가를 갈망하고, 그 무엇인가를 계속 찾을 수밖에 없다. 그 공허함을 채우는 가장 쉬운 방법이 술이었다고, 캐롤라인 냅은 말한다. 술 없이는 대화도, 사교도, 섹스도, 우정도 불가능했던 삶, 술의 도움을 받아야만 겨우 잠들 수 있었던 삶에서 탈출한 사람의 말이다.
엄마가 된 후의 나쁜 습관이기는 한데, 모든 책이 ‘육아서’로 읽힌다. 고쳐야 하겠다고 생각하지만 그게 잘 안 된다. 똑똑하고 잘난 부모, 품위 있고 고상한 부모가, 아이들에게 좋은 부모일까 생각한다. 내가 그런 부모라는 게 아니라, 그런 부모를 원했던 나를, 그런 부모가 되고 싶다고 생각했던 내 마음을 기억하며 생각한다. 마음을 준다는 게 어떤 건지 생각한다. 사랑해, 라고 말하고 사랑을 표현하지만, 그 사랑이 잘 날아가 내가 원하는 곳에 사뿐히 앉았는지 알 수 없으니. 사랑을 주고 주고 또 주고 싶지만, 내가 주는 사랑이 너무 뜨거운 건 아닌가 자꾸 돌아보게 된다. 선녀와의 재회에 가슴 설레는 나무꾼에게 늙은 어머니가 건넨 뜨거운 팥죽처럼. 혀를 데이게 하고 팥죽을 쏟게 하고 하늘나라의 말을 뒷걸음질치게 하고, 결국 나무꾼을 말에서 떨어지게 하는. 그런 사랑이 되어서는 안 될 텐데. 그럼 다시 품위 있고 우아하고 절제된 사랑으로 가야 할텐가. 밍숭맹숭 아무 맛 없는 잣죽으로 돌아가야 할텐가.
알코올 중독은 신경학적 현상이기도 하다. 두뇌가 지속적으로 괴다한 약물에 노출된 까닭에 그 안의 분자 구조가 변형되어 일어나는 일이다. 중독은 매우 복잡한 현상이지만 기본 개념은 명확하다. 즉, 욕망과 보상에 관한 두뇌의 정상적인 시스템이 알코올 탓에 헝클어져서, 행복감을 전해주는 신경 전달 물질과 단백질의 기능이 손상되는 것이다. - P17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