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루한 이야기 창비세계문학 53
안톤 파블로비치 체호프 지음, 석영중 옮김 / 창비 / 2016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표지가 굉장히 마음에 들었고, 책을 받아 표지를 손끝으로 느꼈을 때는 영원히 소장하고 싶을 만큼 좋았다.

나도 몇 문장을 서너번 더 읽어봤다. 번역이 매끄럽지 못함을 시인할 수 밖에 없다.

그래도 체호프다. 20세기 현대문학의 초석을 세운 단편의 제왕. 셰익스피어에 비견되는. 솔직히 이런 수식어는 책의 표지를 몇번씩 들춰봐야 겨우 옮겨쓸 수 있고, 씀과 동시에 휘발되어 버린다.

열린문학의 "개를 데리고 다니는 부인"의 그 개를 데리고 다니는 단편과 망상의 검은 수도사가 이 책의 세 단편중 두 단편이었다. 그래도 책 표지의 감촉에 그리고 "지루한 이야기"에 그저 좋을 뿐이다. 1년전 체호프의 단편을 읽으며 이야기는 이렇게 써야되라고 말했는데, 지루한 이야기를 읽으며 그 말을 다시 중얼거리며 1년전을 기억해냈다.

카프카의 그로테스크하고 희곡같고 (난 희곡을 읽어보지도 않았지만) 몽환적이고, 읽고나면 사유를 많이 해야할 것 같은 단편도 아니고,

감정이 북받쳐 오르게하는 레이먼드 카버의 단편도 아니다.

그냥 아무것도 아니다. 이야기를 읽었고, 무언인가를 잡으려는 의지도 가지지 못한채 마지막 장은 끝났다. 아니 지나갔다.

그래서 해설가들이 아직도 곤욕을 치루나보다. 아니 어쩌면 그래서 해설가들은 아직도 할일이 쓸말이 있나보다.


그는 헌신적이고 뛰어난 의사이기에, 실천하는 지성인이기에, 인류애가 넘치기에, 가난하고 어렵게 공부했기에,

그가 한 말들은 쓴 글들은 허투루 보이지 않는다. 공중을 떠다니지도 않는다. 러시아에서 하층민이 가지고 있는 모든 특징들을 뜻하는 범속성을 벗어나려고 발부둥 친 체호프는 그 범속성을 누구보다도 제대로 올바르게 말해주는 것 같다. 담백하게.


50쪽에 달하는 체호포는 이해할 수 없음을 받아들인 역자의 해설에 격려를 해주고 싶고, 체호프를 이해하는데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었다고 말하고 싶다. 


"누군가가 무언가를 철학적으로 해석하기 시작한다면 그건 즉 그가 이해하지 못하고 있다는 걸 의미해요." p89, 지루한 이야기

"무얼 원하는지 말하라, 그러면 네가 누군지 말해주지" p102, 지루한 이야기

"뽀슐로스뜨" (범속성), p206


"목이 마를 때 사람들은 바닷물이라도 마실 듯이 물에 달려든다. 그게 신념이라는 것이다. 그러나 일단 물을 마시기 시작하면 기껏해야 두잔이 고작이다. 그것이 과학이다." 작가 노트 중, p216


"이제 꼬브린은 자신이 평범 그 자체임을 분명하게 깨달았으며 이 사실과 기꺼이 화해했다." p163


"어떻게 질문에 답할 것인가와 어떻게 올바르게 질문을 제기할 것인가는 두가지 완전히 다른 문제입니다. 오로지 후자만이 작가에게 요구되는 일입니다." - 지루한 이야기 발표 1년 전 쑤보린에게 쓴 편지 중, p225


"그는 실천으로써 허무에 대답했다" p225



아틀란타에서 Georgia State University 주위를 헤매며 음식점과 커피숍을 찾아다닐 때 찍은 사진



댓글(4) 먼댓글(0) 좋아요(3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서니데이 2018-01-15 03:08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트램? 맞나요. 사진 멋있어요.
초딩님 좋은 하루되세요.^^

AgalmA 2018-01-20 18:50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열린책들 <개를 데리고 다니는 부인> 읽고 내게는 왜 체호프 단편의 열광이 안 생기는가 좌절했던 기억이ㅜ.ㅜ... 뭐만 좀 안 맞다 싶음 번역 탓 하는 사람들처럼 굴긴 싫고 해서 공부 좀 더 되면 다시 도전하려는 작가 중 하나죠^^;

서니데이 2018-02-15 15:41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초딩님, 즐거운 설연휴 보내시고, 새해 복 많이 받으세요.^^

2018-07-11 17:32   URL
비밀 댓글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