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Book] 오셀로 : 셰익스피어 4대 비극 셰익스피어 4대 비극 (오디오북)
윌리엄 셰익스피어 / 커뮤니케이션북스 / 2019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아고의 계략에 점점 말려 들어 가는 변해가는 오셀로를 대하며, 데스데모나가 말한다.

"인간은 어떻게 이렇게 어리석을 수 있을까?"

영웅 오셀로와 아름다운 아내 데스데모나와 충직한 부관 카시오와 함께 등장하는 전형적인 악인 이아고의 술책을 대하면, 그 전개를 더 이상 보고 싶지 않다. 셰익스피어의 4대 비극답게 분명 부부는 파멸할 것이고 여러 사람이 죽을 결말을 예측하는 것만으로도 극을 더 보고 싶지 않을 것이다.

등장인물들에 이입할수록 견디기 힘들다. 왜 견디기 힘들까? 그들의 행복한 삶이 마치 나의 삶처럼 느껴지고, 그들의 곧 깨어질 것 같은 균열이 나의 불행이 될 것 만 같은 이입 때문일까? 이아고 같은 간사한 사람에 나도 그만 홀딱 속아버릴 것 같아서? 내 주위의 누군가가 이아고와 같지는 않을까라는 두려움일까?

욕심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사기를 당하듯이, 주벽이 있어 카시오는 부관직에서 파직되었고, 승승가도를 달리고 있었고, 강직해서, 오히려 신뢰하는 사람이라고 생각하는 특정인 -이아고- 의 말만 듣고 카시오와 아내를 의심하고 결국엔 모두를 죽이려 하고 죽였다.

오셀로는 아내를 정말 사랑했을까? 자기보다 더 사랑했을까? 그렇지 않은 것 같다. 이아고의 간계에 넘어간 것은 자신을 더 사랑했기 때문이다. 오히려 데스데모나의 억울한 죽음에 울분을 터트리고 과거의 조각들을 맞추며 절규하다 남편 이아고에게 죽임을 당하는 아멜리아가 데스데모나를 존경하고 아끼고 사랑했다.

비극적인 사랑은 대상이 아닌 자신을 더 사랑함에서 싹트는 것 같다.


댓글(4) 먼댓글(0) 좋아요(5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scott 2021-04-03 21:42   좋아요 3 | 댓글달기 | URL
초딩님 마지막 문장[비극적인 사랑은 대상이 아닌 자신을 더 사랑함에서 싹트는 것 같다.]५✍⋆* 밑줄 쫘악! 오셀로의 끔찍한 비극을 단 한줄로 평하쉼!

초딩 2021-04-04 23:40   좋아요 1 | URL
앗! 아고 황송합니다 ^^
평온한 밤 되세요 Scott님~

Jeremy 2021-04-04 14:37   좋아요 2 | 댓글달기 | URL
지금이야 자존감, self-esteem 에 대해 얘기하면 거의 cliché 로 취급하지만
Shakespeare 시대에 Othello 라는 인물을 통해 이 주제를 다룬
Shakespeare 는 역시 대단하다고 생각합니다.

결국 이방인으로서 나이까지 훨씬 많은 Othello 는
자신이 이루고 생각해왔던 self-image 보다
훨씬 나약하고 자존감이 결여된 인간이었기에 초딩님이 말씀하신 것처럼
결정적인 순간에는 자아를 보호하고 자기연민과 자기애에 빠져 분노하는 것이겠죠.



초딩 2021-04-05 00:08   좋아요 2 | URL
아~ 조예가 깊은 댓글 감사합니다~
말씀하신 것처럼 자존감이라는 것이 그리고 이방인의 성공이라는 것이 그리고 데스데모나와 같은 사람과의 결혼이 ‘파격‘ 그 자체였을 것 같습니다.
4대 비극에 북플님들이 이렇게 남겨주시는 글들이 저에게 아주 값집니다.
말씀해주신 내용들로도 한참을 곰곰생각하게 만든답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