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45년 9월 2일 호치민(Ho Chi Minh)이 베트남민주공화국(Democratic Republic of Vietnam)을 선포하고 난 이후 프랑스는 베트남을 다시 식민지화 하려고 했다호치민과 프랑스측은 퐁텐블로 협상(Fontainebleau Agreements)을 통해평화적인 방법으로 해결책을 찾으려 했으나프랑스는 자신들의 제국주의적인 야욕을 베트남에게 드러냄으로써 협상은 결렬됐다그러던 1946년 11월 프랑스는 베트남의 항구도시 하이퐁(Hai Phong)을 무차별적으로 포격 및 폭격했다이 과정에서 최소 6,000명의 민간인이 학살당했다이와 더불어 프랑스군은 베트남민주공화국의 수도 하노이(Ha Noi)를 점령했다이러자 호치민은 1946년 12월 19<전 인민에게 저항전쟁 수행을 촉구하는 호소문>을 발표하여프랑스 제국주의자들에 맞선 항전을 선포했다프랑스-베트민 전쟁 즉 제1차 인도차이나 전쟁이 시작된 것이다.

(퐁텐블로 협상 당시 프랑스에 들렸던 호치민과 베트민 지도부, 일설에 따르면 당시 호치민은 젊은 시절 프랑스에 있던 생활을 떠올리며 거리를 돌아다니기도 했었다고 한다.)

 

프랑스군은 전쟁 초기 제2차 세계대전 당시 미국으로부터 지원받은 항공기와 탱크 그리고 장갑차 등과 같은 현대화된 전쟁장비로 무장하고 있었다그에 반해 호치민과 보 응우옌 잡(Vo Nguyen Giap) 그리고 공산당이 이끄는 베트민(Viet Minh)은 혁명적 농민군과 이를 지지하는 민중들 그리고 일본군과 미국 0SS로부터 노획한 무기로 무장하고 있었다하노이 전투가 프랑스의 점령으로 끝나면서 베트민은 후퇴할 수박에 없었다그러나 베트민은 1945년에 이미 전국적으로 대중적인 조직으로 성장한 상태였고식민지 지배를 위해 다시 들어온 프랑스군을 환영하는 베트남인들은 소수의 가톨릭과 기득권층을 제외하고는 거의 없었다.

(보 응우옌 잡 장군이 이끌었던 베트민, 베트민은 빠르게 군대를 양성했고, 1946년 12월 시점에서 정규군 6만 명을 보유했었다.)

 

거기다 제1차 인도차이나 전쟁이 시작되던 1946년 12월 베트민의 군사력은 6만 명이었으며소총을 보유한 군대는 4만 명이나 됐다호치민 평전의 저자 윌리엄 J. 듀이커에 따르면, “이 6만 명의 병력은 숫자 확인이 불가능한 지역의 의용대와 게릴라는 포함하지 않은 수치라고 책에서 주장했다즉 이 얘기는 베트민이 그 숫자보다 더 많은 병력을 보유하고 있었다는 얘기가 된다. 1947년 1월 중순 프랑스 부대가 중국인 구역의 가장자리에 있는 시장까지 도착하자베트민군은 많은 지역 주민과 더불어 그 지역을 버리고 홍 강(Hong River)을 건너 북쪽으로 달아났었는데그 전투에서 대략 수백 명의 베트민이 전사하고 프랑스군 100명 정도가 전사했었다이에 따라 호치민과 베트민의 주력부대는 북부 통킹의 근거지인 비엣박(Viet Bac) 지역으로 후퇴하여 게릴라전을 전개했었다.

(제1차 인도차이나 전쟁 당시 프랑스군에 항복한 베트민으로 추정되는 민간인)

 

프랑스는 전쟁을 단기간에 승리로 이끌기 위한 계획을 세웠는데그것이 바로 레아 작전(Operation Léa, Chiến dịch Việt Bắc)이었다당시 프랑스군이 레아 작전을 개시한 이유 중 하나는 산악과 밀림 지역에서 베트민이 농민과 열성 지지자들 그리고 소수민족을 아우르는 민중들을 자신들 편으로 규합시키며 세력을 확장하고 있었기 때문이었다따라서 레아 작전의 목적은 8,000에 달하는 호치민 정부의 거점인 험난한 산악지대를 점령하는 것이었다프랑스군은 랑썬과 까오방을 점령한 다음 병력을 남하시키고그러는 한편 다른 부대를 배로 홍강과 로강을 거슬러 올라가게 함으로써베트민의 중심부인 박칸을 공격하는 양면작전을 전개했다.

(레아 작전 전개도)

 

레아 작전은 박칸에 프랑스 공수부대를 투하하는 것으로 시작됐으며프랑스군은 빠르게 진군하여 곧 베트민 본부를 찾아냈다이 과정에서 프랑스군은 베트민에게 막대한 피해를 줬고호치민 정부 지배 아래 있던 몇몇 도시를 점령하는 한편 보급과 무기 생산시설을 파괴했다또한 수천 명에 달하는 베트민군을 사살하거나 생포한 것으로 알려졌다세계게릴라전사를 집필한 로버트 에스프레이(Robert B. Asprey)에 따르면, “마치 독일군이 제2차 세계대전 당시 소련과 유고슬라비아에서 허풍을 떨었던 것처럼이곳의 프랑스군 지휘관들도 적을 포위한다고 떠들어 댔으며”, 또한 프랑스군은 적군 8,000명을 사살하고 수천 정의 무기와 탄약을 노획했다고 주장했으나베트민의 군사력을 오랫동안 분산시키는 데도 실패했다.”고 한다한마디로 기고만장 했었다는 것이다.

(비엣 박을 점령하고 나서 현장에서 사진을 찍은 프랑스군)

 

초기 기선 제압으로 프랑스군은 호치민 지휘부의 거점과 비엣 박의 마을들을 점령했지만궁극적으로 호치민을 체포하지 못했다참고로 호치민은 공격을 당했을 당시 사령부에서 회의를 주재하고 있었지만프랑스 공수부대가 가까이 다가왔다는 소식을 듣고 그곳을 즉시 탈출했다이것이 프랑스군이 호치민 사령부를 점령하기 하루 전의 일이었고다음날 프랑스군이 사령부를 점령했을 당시엔 미국의 역사학자 버나드 폴(Bernard Fall)에 따르면프랑스군은 오두막의 책상에서 불이 꺼지지 않은 담배꽁초들과 호치민의 서명만 남겨놓은 편지를 발견했다고 한다.

 

그 이후 며칠 동안 프랑스군은 소탕작전을 전개 하려 했지만실제로 베트민 부대와 직접 맞닥뜨리는 경우는 거의 없었으며베트민군은 자신들이 원하는 장소에서 프랑스군을 고전하게 만들었다결국 프랑스군은 병력 부족으로 얼마 후 점령지에서 철수하지 않으면 안되었고결국 전선은 교착상태에 빠지게 됐다따라서 레아 작전은 궁극적으로 실패한 작전으로 종결됐다프랑스군의 염원과는 달리 전쟁은 이 시점부터 본격적으로 시작됐다이에 따라 여러 전선에서 프랑스군은 베트민의 게릴라전에 고전했고교착된 전선상황을 타개하기 위한 한 가지 외교적인 방법을 생각해냈다그것이 바로 바오다이 해결책(Bao Dai Solution)이었으며이것은 당연히 식민주의의 유산이라는 토대 위에서 계획된 것이었다.

 

참고문헌

 

세계게릴라전사 3, R.B 에스프레이편집부일윌서각, 1989

 

새로 쓴 베트남의 역사유인선이산, 2002

 

호치민 평전윌리엄 J. 듀이커정영목푸른숲, 2003


댓글(0) 먼댓글(0) 좋아요(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바더 마인호프
울리 에델 감독, 마르티나 게덱 외 출연 / 플래니스 엔터테인먼트 / 2009년 11월
평점 :
품절


2008년 독일에서 제작한 영화 <바더 마인호프(The Baader Meinhof Complex)>를 봤다소위 68혁명이라고 하는 세계사적인 흐름 속에서 자본주의를 타파하기 위해 서구의 젊은이들은 기존의 세계질서와 가치관에 저항했다이런 저항은 무장투쟁이라는 급진적인 혹은 다소 극단적인 방식으로도 표출되기도 했다대표적으로 독일의 바더 마인호프와 일본의 적군파가 그러했다고 할 수 있으며이런 움직임은 역으로 대중의 반발을 사기도 했었다.

(영화 바더 마인호프 포스터)

 

영화 바더 마인호프는 1960년대와 70년대 서독 사회를 뒤집어 놓았던 급진적인 좌파 조직 바더 마인호프의 이야기를 다루고 있다영화의 시작은 이란의 왕족 샤가 독일을 방문하면서 일어난 집회부터 다루고 있다이 집회에서 시작된 충돌을 시작으로 68혁명이라는 흐름 속에서 급진적인 좌파 조직 바더 마인호프가 어떻게 탄생하는지를 보여준다성 해방과 과거사 청산 그리고 베트남 전쟁과 반전운동이라는 역사적인 사건 속에서이들은 반제국주의의 기치를 걸고 자신들 나름의 투쟁에 나섰지만투쟁의 형태가 테러를 동반한 전략으로 흐른다.

 

물론 이들에게는 무장투쟁을 행할 때자신들 나름의 기준과 원칙이 있었으며최대한 그것을 준수하려는 모습을 보였다예를 들면 독일에 있는 몇몇 은행을 습격하여 자금을 마련하는데이것은 과거 스탈린이 은행 강도 시절 부르주아 기관을 공격한다는 명분과 비슷했다서독에 있는 미군기지에 이들은 폭탄 공격을 감행하기도 하는데이것은 베트남 전쟁에서 무차별 폭격을 감행하는 닉슨 정부의 제국주의적 만행의 잔혹함을 알리고자 하는 취지에서 비롯된 것이었다이들은 이스라엘의 침략전쟁을 옹호하는 독일 언론사에 폭탄 공격을 감행하기도 하는데이것은 제국주의적 침략을 당하는 팔레스타인과의 연대에 의거한 것이었다.

(바더 마인호프의 로고, 로고로 MP5 기관단총을 삽입한 것이 인상적이다.)

 

이들의 무장투쟁 노선이 불필요한 희생을 불러일으킨 점에 대해 누군가는 지적할 것이다물론 그럴 수 있다고 생각한다그러나 이들을 단순히 테러리스트 조직으로만 이해할 수 있을 까나는 이러한 질문을 영화 <바더 마인호프>가 최대한 주관적인 해석을 하지 않은 채던졌다고 생각한다나중에 체포되어 감옥생활을 하는 이들이 영화상에서 주장하는 내용을 접했을 때나는 이 영화가 바더 마인호프 조직을 다면적으로 크게 접근했다는 것을 격렬히 느꼈다.

(베트남 전쟁 반전운동을 전개했던 독일의 68혁명 세대, 이들은 실제로 호치민과 체게바라의 이름을 외치며 베트남 전쟁 반전운동을 전개했다.)

 

영화는 바더 마인호프들이 어떠한 경로를 통해서 이러한 길을 걷게 되었는지를 객관적으로 분석했다이런 과정 중심에는 미국이라는 제국주의 국가의 폭력이 존재했다특히나 영화는 베트남 전쟁 당시 많은 이들이 미국의 폭력성에 큰 분노를 느꼈음을 보여준다. 68운동의 지도자인 한 사람은 미제국주의에 맞선 베트남 인민과 연대를 해야 한다.”고 주장하며반제국주의 투사인 호치민의 이름을 외친다영화상에서 수많은 독일의 젊은이들이 베트콩의 깃발과 붉은 깃발을 들며이에 동조한다이스라엘과 팔레스타인의 분쟁 또한 마찬가지였다바더 마인호프 일행은 요르단에 가서 팔레스타인 투사들에게 군사훈련을 받는다이 두 가지 국제적인 측면에서 보았을 대미제국주의 문제는 바더 마인호프에게 빼놓을 수 없는 핵심이다.

(무장투쟁에 나섰던 바더 마인호프, 영화 상에서 등장하는 장면이다. 영화 상에서 이들은 주로 자신들이 적으로 선정한 기관을 공격하거나 관련 인사들을 살해했다. 즉 무차별 민간인 살상을 추구하지 않았다.)

 

앞서 말한 것과 같이 영화는 바더 마인호프를 단순한 테러조직으로만 보지 않는다그들의 인간적인 고뇌와 사회주의에 대한 순수한 믿음도 제법 잘 보여준다누군가는 이들을 보고 테러리스트라고 욕하겠으나나는 이들의 순수한 혁명정신도 숭고했다는 생각을 영화를 보며 멈출 수가 없었다물론 이들의 행위가 누군가에게는 불행이었을 수도 있고불필요한 희생은 당연히 안타깝다그러나 영화상에 등장하는 주인공이 지적하는 무관심’ 그러니까 자유라는 이름하에 당시 팔레스타인과 베트남에서 저질러진 범죄행위는 어떻게 설명할 수 있을까대다수의 자본주의 옹호론자들은 이런 문제에 대해 무관심을 넘어 옹호로 나가지 않았는가이러한 생각을 영화를 보는 내내 멈출 수가 없었다.

(68혁명 당시 휩쓴 시위현장, 당시 서구사회의 젊은이들은 80년대 한국 학생운동처럼 격렬히 저항했었다.)

 

영화는 시청자에게 바더 마인호프의 양면을 보여줌으로써이들에 대한 해석을 숙제로 남긴다나는 이 영화가 혁명을 긍정적으로 생각할 지혹은 부정적으로 생각할 지 이 두 갈래에서 보는 사람에 따라 많은 교훈을 준다는 생각이 든다즉 영화는 한 가지 판단만을 강요하지 않는다는 점이다나는 이점이 아주 긍정적으로 다가온다앞서 말한 바와 같이그들이 한계가 있다 하더라도 그들이 가졌던 이상과 생각을 함부로 욕할 수 있을까나는 이 영화를 보면서 그럴 수 없다.”고 결론 내렸다.

 

오랜만에 정말 훌륭한 영화한편 감상했다안본 사람이 있다면이 영화를 적극 추천하는 바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이 글은 1986년 두리 출판사에서 출판한 <베트남 혁명 연구>에 있는 가레스 포터(Gareth Porter)의 글을 그대로 옮긴 것입니다.)

 

세계의 정치세력들에 대한 이해를 포함한 베트남 공산주의 지도노선은 마르크스-레닌주의가 소련과 세계의 식민지 및 반식민지 지역에서의 혁명운동과 특정한 관계를 맺었던 코민테른 시대에 그 이념을 형성했다. 초창기 베트남의 공산주의자들은 혁명의 성공 가능성은 소련의 생존과 발전에 연관되어 있다고 생각했다.

 

인도차이나 공산당과 코민테른 간의 주된 연계주체였던 호치민(Ho Chi Minh)은 레닌의 민족 및 식민지 문제에 관한 테제(Theses on the National and Colonial Questions)에 이끌려 제3인터내셔널에 가입했다. 각국의 억압된 민중들을 세계정치의 새로운 세력과 결합하고 있는 세계적인 규모의 혁명운동에 대한 그 테제에서의 언급을 접하면서, 호치민은 프랑스의 식민지 정권을 전복할 수 있는 베트남 민중의 능력을 신뢰하게 되었다. 1925년 초창기 베트남 혁명당원들에 대해 행했던 광동 연설에서 호치민은 베트남 혁명은 세계 혁명의 지원을 받을 것이며, 그들 자신의 혁명을 수행함에 있어서 베트남인들은 세계혁명에 대한 그들의 의무를 완수하게 될 것이라고 되풀이해서 강조하였다.

 

소련의 상대적 약체성과 1930년대의 긴장된 국제적 환경이라는 맥락에서 세계혁명에 대한 베트남의 의무는 소련을 지지하기 위해 가능한 모든 일을 하는 것으로 해석됐다. 코민테른의 감독 하에 있었던 기간 동안 세계정세에 대한 베트남 당의 언급은 소련에 대한 포위와 자본주의 진영의 공격을 반영하고 있다. 19302월 인도차이나 공산당(Indochinese Communist Party)의 설립에 즈음하여 베트남 민중들에게 행한 호치민의 호소는 소련에 대한 그러한 위험을 예감하고 있었다. 그는 프랑스가 베트남 혁명을 억압하려 할 뿐만 아니라, 소련이 세계의 피압박 민족들과 피착취계급들이 봉기하여 지배 세력들을 전복하도록 도와주고 있기 때문에 중국혁명을 약화시키려 하고”, “소비에트 러시아를 반대하려 한다.”고 주장했다. 193010ICP(인도차이나 공산당)는 정치적 프로그램을 통해서 전 세계의 제국주의자들, 특히 프랑스의 제국주의자들은 소련에 대한 공격을 준비하고 있다.”고 경고하며, “사회주의 승리 국가인 소련을 수호해야 한다.”라고 호소했다.

 

소련에 대한 수호라는 주제는 1935년 마카오에서 열렸던 제1차 베트남 공산당 대회에서 더욱 선명하게 드러났다. 당은 교육 프로그램 속에서 소련을 세계혁명을 수호하는 방벽이며 수호자로 묘사하고, 제국주의자들에 의한 소련의 파괴는 세계운동을 20년 이상 후퇴시킬 것이라고 논하였다.

 

이미 전쟁의 위협은 프랑스로부터 히틀러의 독일로 이전되어 갔으며, 코민테른 제7차 대회 이후로는 파시즘과 전쟁에 대한 인민전선을 호소하였고, 베트남은 반파시즘을 강조하기 위해 자신의 국제구의적 노선을 수정하는 또 하나의 대회를 개최했다. 스탈린이 19399월 히틀러와 불가침 조약을 체결했을 대, 통킹(Tonkin)지역 당 위원회는 그러한 노선전환을 설명하고, 소련의 국제주의 노선에 대한 당내의 동요를 종식시키기 위해 소련은 항상 평화에 충실한다(The Soviet Union is Always Faithful to Peace)라는 책자를 출간하였다.

 

2차 세계대전 기간 중 베트남 당은 비록 코민테른으로부터 고립되어 있었으나, 사회주의 종주국으로서의 모스크바와 이데올로기적 연계는 유지했다. 소련이 나치의 침략에 대항해서 싸우게 되자, 당 이론가였던 쯔엉찐(Truong Chinh)은 소련의 붉은군대(Soviet Red Army)부분적으로 인도차이나 민중을 위해서피를 흘리고 있다고 주장하며 신뢰를 표했다. 그는 소련의 저항을 지원하고 전진하는 세계혁명운동에 공헌하는 것이베트남 당의 의무라고 썼다. 베트남 공산주의자들은 베트남의 젊은이들이 유럽이나 만주에서 소련에 대항해서 싸우는 음모에 빠질 가능성을 우려하여, 만약 그러할 경우 그들이 붉은 군대의 편에서 싸우도록 권고하였던 것이다.

 

출처: 베트남 혁명 연구 p.58~60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알라딘 친구 여러분! 드디어 제가 책 한권 출판하게 됐습니다. 널리 알려주시길 부탁드립니다.


http://mlkorea.org/v3/?p=10681

 

반공주의가 외면하는 미국 역사의 진실출간 예정

 

김남기 저 | 어깨걸고 | 전국노동자정치협회 발행

 

오늘날 반공주의는 곧 숭미주의와 연결됩니다. 그리하여 우리 사회에 만연한 반공주의는 미국을 아름다운 국가, 착한 제국, 정의의 사도 쯤으로 인식하여 미국을 우상 숭배하게 만들었습니다...

 

이 책은 콜럼버스의 미국 상륙과 원주민 학살에서부터 남미·아시아·아프리카 침략, 이라크·리비아·아프가니스탄 침공 등 미국이 전 세계 침략자, 학살자라는 진실을 말하고 있습니다.

 

곧 출간 예정인 이 책 출간을 위해 사전 후원을 받습니다.


댓글(6) 먼댓글(0) 좋아요(1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Redman 2021-08-23 10:37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축하드립니다

NamGiKim 2021-08-23 10:41   좋아요 0 | URL
감사합니다. 널리 알려주시길.ㅎㅎㅎㅎㅎㅎㅎㅎ

겨울호랑이 2021-08-23 13:29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책 출간을 축하드립니다^^:)

NamGiKim 2021-08-23 14:13   좋아요 1 | URL
감사합니다. 널리 알려주세요.^^ ㅎㅎㅎㅎㅎㅎ

초란공 2021-08-23 14:46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출간을 축하드립니다~!!!

NamGiKim 2021-08-24 11:25   좋아요 1 | URL
지금 확인했습니다. 감사합니다.^^ 널리 알려주시길.ㅎㅎㅎㅎㅎㅎ
 

1975 4 17일 캄보디아는 폴포트(Pol Pot)가 지휘하는 크메르 루주(Khmer Rouge)에 의해 통일됐다베트남에서 통일되기 2주전의 일이었다캄보디아에서 폴포트가 정권을 잡은 이후크메르 루주는 캄보디아의 도시를 없애고 원시적인 사회를 창조하는 계획을 시행했는데이것이 바로 킬링필드(Killing Field)였다당시 폴포트는 킬링필드로 거의 100만 가까이 되는 캄보디아인을 학살했는데이 학살은 이후 250만에서 300만을 죽인 것으로 다소 과장되기도 했다문제는 크메르 루주의 정책에 있었으며최소 80만 명에서 많게는 150만 명을 죽인 이 학살은 1978년 베트남 정규 군대가 캄보디아로 진입하며 친베트남 정권을 세우면서 막을 내렸다.

(론놀의 사진)

 

킬링필드는 이후 영화로도 만들어져, 1980년대 전두환 정권 시기 다소 반공주의적인 요소로 한국 사회에서 이용되기도 했었다그런 이유가 어찌됐든 폴포트의 사회적인 조치는 킬링필드라는 학살을 불러왔고이는 사회주의 진영 내에서도 강한 비판을 받았다폴포트와 크메르 루주는 소름끼치는 학살을 4년 동안 했다특히 S-21로 알려진 뚜옹슬랑 같은 감옥에서는 소름끼치는 행위들이 자행됐다이랬기에 대다수의 캄보디아인은 폴포트에 대한 강한 증오심을 가지고 있다반공주의자들의 경우 폴포트가 학살을 자행한 것에 대해선 강한 비판을 하지만정작 폴포트가 어떻게 정권을 잡았는지에 대해선 관심조차 없다따라서 오늘은 폴포트가 정권을 잡게 된 캄보디아 현대사의 배경인 론놀의 친미 쿠데타에 대해 얘기해볼까 한다.

(캄보디아에서 나온 론놀 스템프)

 

1960년대 동남아시아는 미국이 일으킨 베트남 전쟁(Vietnam War)으로 쑥대밭이 되어 있었다1차 인도차이나 전쟁 이후 캄보디아의 지도자가 된 노로돔 시아누크(Norodom Sihanouk)는 냉전 초기 이승만과 같은 강력한 반공주의 정책을 유지했었고이는 캄보디아 사회주의 운동이 정부로부터 탄압받았던 결정적인 이유였다당시 탄압 받았던 이들 중에는 프랑스 유학파 출신인 살롯사르 즉 폴포트도 존재했다. 1950년대 당시 강력한 반공주의 정책을 유지했던 시아누크는 1960년대 들어 노선을 전환했는데그것은 바로 제3세계(The Third World) 노선이었다이 과정에서 시아누크는 북한의 지도자 김일성과도 좋은 관계를 형성했을 정도였다.

(캄보디아 침공을 주장하는 미국의 닉슨 대통령)

 

1960년 남베트남에서 자생적으로 베트콩이 창설되면서북베트남의 호치민 정부는 이들에게 물자지원에 나섰는데이들의 호치민 루트 즉 호치민 트레일은 라오스와 캄보디아에도 연결이 되었었다당시 시아누크는 북베트남군과 베트콩이 캄보디아에 비밀리에 주둔하는 것을 허용했는데이는 베트남 전쟁 당시 미군이 캄보디아 인근 지역까지 군사작전을 전개하는 계기를 제공했다그리고 이런 과정 속에서 캄보디아 사회주의자들이 세력을 넓혀 나갔다이렇게 되자 1960년대 후반 크메르 루주는 캄보디아의 여러 지방을 차지하는데 성공했다.

(침공 당시 미국이 캄보디아를 폭격한 지역과 범위)

 

앞서 말한 바와 같이 당시 시아누크는 제3세계 노선을 걸으며캄보디아 내의 베트콩과 북베트남군의 주둔을 암묵적으로 허용했다. 1968년 구정 공세 이후 등장한 미국의 닉슨 정부는 베트남에서의 철군을 주장하면서베트콩에 대한 소탕을 강화했다이런 과정에서 미국의 닉슨 정부는 캄보디아 내의 친미 쿠테타와 침공을 준비했다당시 캄보디아의 우익 세력들은 국회를 장악했고, 1970년 3월 미국의 지원을 받아 론 놀(Ron Nol)의 지원 아래 시아누크 체제를 전복하고 이른바 친미성향의 크메르공화국을 선포했다.

 

그로부터 2개월 뒤 미국의 닉슨 정부는 미군과 남베트남군을 동원하여 캄보디아를 침공했다이 과정에서 캄보디아 정부군은 3만 5,000명의 규모에서 3년 만에 20만 명으로 증가했지만미군 B-52의 폭격은 캄보디아를 초토화 시켰다미국은 1969년부터 1973년까지 캄보디아를 폭격했는데이 과정에서 최소 50만의 민간인이 죽었다이것이 바로 제1차 킬링필드였다이렇게 되자 캄보디아 민중은 미국의 지원을 받는 론 놀 정권을 증오하게 됐고역으로 크메르 루주와 사아누크를 의장 겸 국가원수로 추대한 FUNK(캄푸치아민족연합왕실정부)를 지원했다.

(폴포트)

 

이렇게 되자 론 놀 정권은 미국의 지원에도 불구하고 크메르 루주와의 전쟁에서 민중의 지지를 얻지 못했다이 과정에서 크메르 루주에 대한 지지는 확산됐고결국 1975년 4월 1일 지도자 론 놀은 인도네시아를 통해 미국으로 망명했고그로부터 2주 뒤인 4월 17일 크메르 루주가 프놈펜을 장악하면서 캄보디아 내전은 폴포트의 승리로 끝났다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1975년 폴포트가 정권을 장악하게 된 결정적인 이유에는 미국의 친미 쿠데타와 침공 그리고 무차별 융단 폭격이 자리잡고 있다이러한 점에서 폴포트는 미국의 작품이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9)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