필자는 올해 7월 말 이탈리아와 폴란드를 여행했다. 폴란드 바르샤바에서 12일 동안 머물면서, 소련군 묘역과 1944년 바르샤바 봉기 방물관, 바르샤바 문화과학궁전, 구 시가 광장을 방문했다. 이와 더불어 폴란드 사회주의 시절의 역사와 문화 그리고 저항과 물건들을 전시한 폴란드 인민공화국 생활 박물관(Museum of Communism, Warsaw)도 들렸다. 박물관은 당연히 바르샤바 봉기 박물관에 비해 훨씬 나았다. 사실 현재 폴란드의 경우 과거부터 존재해온 반러시아 감정과 이후 현대사에서 나타난 반소련 감정이 매우 강한 나라다. 한국의 경우 소련 깃발을 거리에서 들고 다닌 다해서 처벌받지는 않지만(북한 깃발 들면 처벌받겠지만), 2024년 폴란드의 경우 충분히 처벌받을 수 있다.

(감자잎벌레, 원래는 북미지역에서 살던 곤충이지만, 19세기 유럽에도 전파됐다.)

 

바르샤바 봉기 박물관의 경우 소련이나 사회주의에 대한 묘사가 상식 이상으로 매우 악의적이고 적나라해서 너무나도 의아했다. 반면 폴란드 인민공화국 생활 박물관의 경우 1980년대 당시 미국의 지원을 받아 반체제 활동을 하던 자유노조 운동(‘솔리다르노시치(Solidarność)’라고 불림)을 약간 옹호하고 카틴 대학살을 소련의 학살로 규정하지만, 현재 폴란드라는 나라에서는 그게 최선일 것이다. 그와 동시에 박물관은 폴란드 사회주의 시절의 경제성장과 문화발전 등도 제법 균형있게 다뤘다. 따라서 상당히 볼만한 박물관이었다. 필자는 이번에 바르샤바에 있는 폴란드 인민공화국 생활 박물관을 방문하면서 정말 흥미진진하게 본 사건이 있었다. 그게 바로 폴란드 내에서 벌어진 반미 캠페인이었다.

 

이 반미 캠페인에 대해 간단하게 설명하자면 다음과 같다. 2차 세계대전 이후 나치 독일에 의해 폐허가 된 소련을 포함한 동유럽 국가들은 소련의 지원 아래 대대적인 전후재건에 나섰다. 소련이 접수한 동부 독일과 폴란드도 그러한 전후재건의 시대를 거쳤다. 당연히 농업생산을 늘리기 위한 노력이 있었으며 토지 국유화가 진행됐다. 그러던 중 1950년대 동독과 폴란드에서는 농업생산에 타격을 주는 해충들이 창궐한 것이다. 당시 창궐한 벌레의 종류는 감자잎벌레(potato beetle)였다. 감장잎벌레는 주로 북미대륙에 살던 종이고 1811년에 처음으로 서구인들에 의해 발견됐다. 유럽에는 1870년대에 퍼져 작물생산에 피해를 준 것으로 알려졌다.

(감자잎벌레를 잡은 동독의 소년단원들, 이 사진에 나온 동독 소년은 하루에 2,000마리를 잡아 그 당시 벌레잡기 최고 기록을 갱신했다.)


카트야 호이어는 2023년에 출간한 장벽너머라는 책에서 동독은 1950년 이후부터 병충해로 농작물 수확량의 20%가 피해를 봤다고 썼다. 그러면서 호이어는 농산물 생산 목표가 무계획적인 토지분배와 토지국유화로 심각한 타격을 입으면서, 딱정벌레조차 동독인들의 식량을 죄다 먹어 치우려 들었다.”고도 서술했다. 여기서 알 수 있는 분명한 사실은 감자잎벌레가 동독 농업에 적잖은 피해를 줬다는 사실이다. 폴란드 또한 동독과 마찬가지로 감자잎벌레에 의한 피해가 있었던 것으로 확인된다. 폴란드 언론사인 폴스키 라디오(Polske Radio)의 기사를 보면, 주로 사회주의 국가의 캠페인을 비난하고 있지만, 1952년에서 1956년 사이에 이 해충이 폴란드의 농업 생산에 타격을 주었다고도 언급하고 있다.

(동독에서 해충박멸 캠페인을 전개할 당시 만들어진 반미 선전물, 당시 동독은 이를 미제국주의의 침략 및 간섭 행위로 받아들였던 것으로 보인다.)


(폴란드에서 해충박멸 캠페인을 전개할 당시 만들어진 포스터, 폴란드 또한 동독처럼 해충박멸 캠페인을 전국적으로 전개했다.)

 

동독과 폴란드에서 감자잎벌레에 대해 언급하기 시작한 것은 1950년 무렵이었다. 양국 다 이 벌레가 미국이 의도적으로 사회주의 국가의 발전과 전후재건을 방해하기 위해 살포한 것으로 규정했고, 이와 관련한 반미선전활동을 1950년대에 강화했다. 동독 정부와 폴란드 정부는 미국 비행기들이 정해진 비행 구역을 침범하여 동독 지역에 감자잎벌레를 살포했다.”고 보도했다. 폴란드 또한 마찬가지로 미국 비행기들이 벌레들을 살포했다고 주장했다. 동독과 폴란드 둘 다 반미주의 선전전을 진행했다. 양국의 주장을 간략하게 요약하자면, “현재 작물을 파괴 및 생산을 방해하고 있는 이 벌레를 바로 미국이 뿌렸고, 미제국주의자들이 사회주의 정권을 파괴하기 위해 이런 행위를 벌였다.”는 것이었다. 폴란드에서는 "Walka z stonką(딱정벌레에 맞서 싸우자!)"는 전 국민적 캠페인이 벌여졌고, 동독에서도 감자잎벌레를 양키 딱정벌레(Amerikanischer Käfer)’라고 부르며 폴란드와 비슷한 전 국민적 해충박멸 캠페인이 벌어졌다. 동독에서는 소년단들이 앞장서서 감자잎벌레를 수집했는데, 한 소년의 경우 하루만에 2,000마리를 잡아 최고 기록을 세우기도 했었다.

(미국의 딱정벌레 살포를 규탄하는 사회주의 시절 폴란드의 신문, 폴란드 또한 미국의 침략과 정치공작으로 간주한 것으로 보인다.)

 

당연히 이에 대한 서방의 입장은 동독과 폴란드의 반미 캠페인이이며 사실무근이라는 것이다. 2013년에 BBC에서 쓴 관련 기사를 보면, “실질적으로 딱정벌레를 무기로 사용한 증거는 없다는 주장과 더불어, 가이슬러라는 사람의 주장을 인용하면서 당시 동독 농업부에서 작성한 목격자 및 전문가와의 인터뷰를 포함한 보고서는 감자잎벌레 외의 다른 침입종에 대해서는 발표한 적도 없고 주로 과학자가 아닌 정치인들로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신뢰할 수 없으며 동독 정부가 자신들의 무능을 가리기 위한 프로파간다다.”라고 썼다. 쉽게 말해 미국이 딱정벌레를 동독과 폴란드에 퍼뜨렸다는 증거가 없다는 것이다.

 

그러나 이를 단순히 선전으로만 보긴 힘든 측면도 있다. 우선 동독에 사는 한 농부인 맥스 트로거(Max Troeger)1950년 당시 미국 항공기 두 대가 자신이 경작하는 밭 위를 비행하고 있었다고 알렸었다. 앞서 언급한 BBC의 기사에서도 인정한 것이지만, 실제로 미국 항공기들은 냉전시기 서베를린으로 가거나 물자를 지원하기 위해 동독 상공을 많이 다녔었다. , 미국 항공기가 동독에 위장침입하는 것은 상대적으로 어렵지 않았다는 것이다. 거기다 19502월 당시 미국 하원의원인 맥클로이(McCloy)의 주도로 동독에 반대하는 정치활동과 선전활동을 조직하기 위해 정치경제계획위원회가 창설되었다. 이 위원회의 목적은 동독의 생산적인 기반을 손상시키는 것이었다. 실제로 1949년 색슨 섬유산업과 1952년 솔베이 기업프로젝트에서 그리고 1953년 크라이스 비츠스톡 지역 농업생산에서 생산파괴행위가 있었다.

(폴란드 서적에서 발견한 내용, 미군 항공기가 딱정벌레를 낙하산에 실어 보내는 묘사는 마치 한국전쟁 당시 세균전을 연상시킨다.)


(동독에서 나온 또 다른 반미 선전물, 이 또한 한국전쟁 당시 세균전을 연상시킨다.)

 

아직 밝혀질 것이 많지만, 미국은 한국전쟁 당시 북한과 중국을 대상으로 세균전을 감행한 것으로 의심받기도 한다. 현재까지도 미국의 공식적인 입장은 북한을 대상으로 세균전을 하지 않았다는 것이다. 그러나 그 당시 인민군으로 참전한 사람들의 증언은 미국의 공식입장과는 다른 주장들도 많다. 세균전을 단순히 북한의 선전으로만 볼 수 없는 가장 결정적인 증거는 2010년 중동 언론 알자지라가 미국 NARA에서 발견한 문서다. 이 문서는 미군이 한국전쟁 당시 북한에서 세균전 실험을 명령한 문서였다. 따라서 이와 같은 사실을 생각해 보았을 때, 1950년 당시 미국이 동독과 폴란드에 비슷한 행위를 했다고 의심하는 것은 아주 불가능한 일은 아니다. 문제는 이 글에서 다룬 미국의 동유럽 생물학전은 깊이 연구가 되지 않았다. 만약 사료만 바탕이 된다면 미국의 동독 및 폴란드에서의 생물학전과 한국전쟁에서의 세균전을 비교한 연구가 나올 수 있을지도 모르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모두를 위한 페미니즘
벨 훅스 지음, 이경아 옮김, 권김현영 해제 / 문학동네 / 2017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페미니즘. 내가 페미니즘이라는 단어를 알게 된 시점이 언제였을까? 아마 2015년이었던 것 같다. 사실 그 전까지만 해도 페미니즘이라는 단어조차 모르면서 인생을 살아왔다. 그러던 중 과거 중학교 시절 친구와의 통화에서 메갈리아라는 존재를 알게 됐고, 이에 대해 매우 부정적으로 얘기하는 것을 듣게 됐다. 조금 의문이 들어서 친누나에게 물어보니 누나는 메갈리아에 대해 방어하는 입장이었다. 그 당시 메갈리아가 뭔지 딱히 관심도 없었지만, 2016년부터 페미니즘에 대한 이슈가 점점 한국에서 확산되었던 것은 아직도 기억한다. 그리고 정의당 클로저스 티나 성우 교체 논란 관련 논평 논란으로 상당히 인터넷상에서 시끄러웠던 걸로 기억한다.

 

사실 페미니즘에 대해 워낙 부정적인 인식이 많다보니 나 또한 2015년이나 2016년에는 상당히 부정적으로 인식하는 경우가 많았던 것 같다. 이후에도 마르크스주의를 공부하고, 사회주의 국가의 역사와 문화 사회생활에 대해 꾸준히 공부했지만, 대략 2020년까지도 안티 페미니즘적 사고관에도 상당부분 개인적으로 영향을 많이 받았었다. 소방서에서 대체복무를 하던 2016년에서 2018년 사이 대략 90~100권 가까이 되는 사회과학 및 역사 관련 서적들을 완독하면서, 페미니스트인 누나가 추천해준 남성 페미니스트 토니포터가 쓴 <맨박스(Man Box)>를 읽었지만, 상당히 건성으로 읽어서 내용자체는 기억이 거의 나질 않는 수준이다.

 

그런 상태로 페미니즘에 관한 공부를 전혀 하지 않은 채, 지금까지 세월을 보내왔다. 군복무 과정에서 영화 기생충에서 보여준 반지하 빈민 및 가난한 사람들의 생활을 보면서 스스로 좌파가 되었고, 그 이후에도 좌파 운동을 해왔으며 지금도 하고 있지만 페미니즘에 대해 공부를 깊게 한 적은 없었다. 그래서 페미니즘에 대해 잘은 몰라도 공부를 해보고 싶었다. 페미니즘과 안티 페미니즘 문제에 대해 큰 입장을 낸 적이 없는 나로서는 페미니즘 공부를 시작하기가 뭔가 낯설고 생소했었다. 물론 나에겐 페미니스트인 미국인 절친이 있고, 그 친구의 입장도 이해했지만 말이다. 그러나 올해 사귀게 된 여자친구의 존재는 나에게 페미니즘이라는 의제를 다시 생각해보게 가르쳐준 존재였다. 아마 페미니즘이라는 주제를 가장 많이 생각해보게 만든 존재가 아닐까 생각해본다.

 

스스로 좌파 내지는 사회주의자(혹은 공산주의자)를 자처해온 나지만, 정작 페미니스트가 보기엔 상당히 문제가 많아 보일 수 있다는 생각을 올해 들어 하게 됐다. 여자친구 또한 좌파 성향의 페미니스트이다 보니 마르크스주의적 페미니즘적 접근도 점차 궁금증이 생겼다. 여자친구는 나에게 대표적으로 두 권의 페미니즘 서적을 추천해줬다. 하나는 1960년대 흑표당 활동으로 유명한 운동가이자 학자인 안젤라 데이비스의 <여성, 인종, 계급(Women, Race & Class)>이었고, 또 다른 하나는 벨 훅스의 <모두를 위한 페미니즘(feminism for everybody)>이었다.

 

여자친구가 한국 사람이 아니다 보니 제목을 영어로 들었는데, 찾아보니 두 권 다 한글 번역본이 있었다. 무튼 페미니즘에 대해 한번 공부해보자는 마음으로 책을 펼쳤고, 생각했던 것과는 다르게 너무나도 재밌고 흥미진진하게 읽었다. 무엇보다 저자가 1960년대부터 여성운동을 전개해 온 마르크스주의적 성향의 페미니스트라는 점과 진보적인 의식이 책에 녹여 들어가 있었다는 점은 읽는 이로 하여금 즐거운 독서시간을 가지도록 만들었다. 거기다 내용도 너무나도 쉬워서 말 그대로 책이 술술 읽혔다. 페미니즘에 대한 문제의식 속에서 계급문제, 폭력문제, 임금문제, 복지문제, 지배세력의 문제 그리고 자본주의 문제까지 포괄적으로 다뤘다.

 

저자 벨 훅스는 마르크스주의적 페미니스트이긴 하나 이 책에서 이른바 혁명을 주장하거나, ‘제국주의 타도를 주장하는 것은 아니었다. 그럼에도 자신의 생각하는 진보적인 의제와 페미니즘적 문제의식을 설득력 있게 소화한 것이 상당히 인상적이었다. 예를 들어, 벨 훅스는 페미니즘의 흐름과 경향들을 얘기하면서 자유주의 성향의 페미니스트들의 여성 및 유색인종 여성 노동계급의 임금 문제를 등한시 하거나, 잘 얘기하지 않으려 했다는 점을 지적한다. 이와 같은 벨 훅스의 지적은 여전히 자본주의 사회에서 벌어지고 있는 문제라는 사실을 생각해보았을 때, 타당하고 합리적인 지적이다. , 이런 식으로 벨 훅스는 자신의 논리와 주장을 책에서 설득력 있게 소화했다.

 

벨 훅스가 다룬 주제 중 아동 폭력 혹은 가정 폭력에 대한 문제의식이 상당히 신선했다. 저자는 이와 같은 문제가 단순히 남성의 폭력 문제로만 비화시킬 수 없음을 지적한다. 그 근거로 저자는 가정 내에서 일어나는 아동 폭력의 경우 가해자가 여성인 경우가 제법 많음을 얘기한다. , 폭력의 악순환적 재생산이다. 가장인 남편이 아내에게 폭력을 휘두르고, 아내가 자식에게 폭력을 휘두르며, 그 결과 그 폭력을 경험한 아이가 나중에 성인이 돼서 여성에게 폭력을 가한다는 것이다. 이와 같은 벨 훅스의 분석이 상당히 흥미롭고 설득력 있게 다가왔다. 이런 맥락에서 벨 훅스는 이와 같은 폭력의 구조를 사회적으로 근절하고 타파하기 위해선 여성과 남성 모두에게 페미니즘이라는 이데올로기가 필요하다고 주장한다.

 

저자는 페미니즘이 남녀평등을 지향하는 것을 기본적인 원칙으로 하고 있다고 정의한다. 이 주장은 틀린 말이 아니다. 물론 페미니즘 또한 워낙 사상과 분파가 다양하기에 남녀평등 보다는 남녀갈등을 조장하는 일부 분파가 있다는 사실은 부정하기 힘들 것이다. 이 문제에 대해 사회주의자를 자처하는 글쓴이가 말하자면, 페미니즘과 마찬가지로 사회주의도 여러 분파가 존재한다. 한국같이 냉전의 최전선에 있고 반공주의적 정서가 지금도 현실성을 가지는 사회에선 사회주의 하면 단순화된 사고로 다 빨갱이야하는 식의 인식을 보이지만, 이 또한 매우 복잡한 입장과 차이 그리고 갈등을 보인다.(레닌주의, 스탈린주의, 호자주의, 티토주의, 마오주의, 트로츠키주의, 불교사회주의, 수정주의, 교조주의, 주체사상, 아나코 사회주의 등 엄청많다.) 이런 점에서 보았을 때 페미니즘도 마찬가지라 생각한다. 따라서 페미니스트들 중 일부가 남성혐오적이고 친자본주의적 모습을 보인다고 해서, 페미니즘 전부를 그런 식으로 생각하는 건 문제가 있다. 또한 그들 중 일부가 잘못된 모습을 보인다 해서 건설적인 비판을 할 수는 있지만, 이들이 왜 이런 생각을 하는지도 맥락적으로 파악할 필요도 있을 것이다.

 

동성연애자에 대한 이야기도 흥미로웠다. 저자가 설명하는 것과 같이 여성들의 경우 남성이 일방적으로 요구하는 성행위와 관계로 자신의 진심으로 원하는 성관계를 가지지 않는 경우가 제법 많았다. 그러나 이런 문제가 단순히 이성과의 성관계에서만 생기는 것은 아니었다. 마찬가지로 동성간의 성관계에서도 이러한 문제가 생겼음을 저자는 설명한다. 즉 한 쪽의 지배적인 성관계가 옳지 않다는 것을 저자는 설명하고자 했으며, 이를 위해서라도 페미니즘적 사고관이 필요하다는 것이 저자의 주장이다. , 여기서의 페미니즘은 서로가 동등한 조건에서 누리는 평등을 의미한다.


워낙 어렵지 않고 술술 읽히는 책이라 정말 재밌게 읽었다. 그리고 페미니즘에 대한 공부도 제법 된 것 같다. 물론 그렇다고 해서 책이 한계가 없다고 생각하는 것은 아니다. 이 책은 말 그대로 모두를 위해 집필된 책이기 때문에 저자가 마르크스주의 페미니스트로써 가지는 또 다른 문제의식을 자세하게 확인하기는 어려웠다. 물론 저자의 경우도 제국주의와 군국주의를 비판한다. 그러나 그것이 현재도 존재하고 있는 미국과 서구 제국주의의 폭력을 크게 분석하지는 않는다. 나는 벨 훅스가 당연히 비판하는 이른바 리버럴 페미니스트들이 과거 미국의 침략전쟁에서 미국의 논조에 일방적으로 흡수되었던 것을 잘 알고 있다.

 

2003년 미국의 이라크 침공 당시 미국은 이라크 후세인 정권의 여성들을 해방하기 위해 이라크를 침공했다고 주장했다. 물론 새빨간 거짓말이었다. 미국의 목적은 이라크의 풍부한 석유였지, 여성인권이 아니었다. 거기다 미국이 이라크를 침공한 이후 이라크의 여성인권은 훨씬 더 악화됐다. 심지어 이라크의 여성들 중에는 미군에게 강간당하고 학살당한 이들도 많았다. 그러나 그 시기 미국의 리버럴 페미니스트들은 이와 같은 문제점 보다는 미국의 논리에 흡수됐다. 마찬가지로 2011년 리비아 내전 때도 서구의 리버럴 페미니스트들은 카다피를 악마화하는 미국의 전략에 그대로 동조했으며, 2023년 팔레스타인의 해방전쟁에서도 학살자 이스라엘 편을 드는 이상한 페미니스트들도 제법 있었다.

 

물론 제국주의 옹호현상은 단순히 페미니스트들의 문제만은 절대 아니지만, 당연히 비판해야할 부분이다. 바로 그렇기 때문에 글쓴이는 이와 같은 내용을 저자가 <모두를 위한 페미니즘>에서 다루기를 내심 기대했다. 아마 저자의 다른 저서들에는 분명히 있을 내용이라 믿고 있다. 그렇다 하더라도 이 책을 폄하할 생각은 전혀 없다. 아니 오히려 좋은 책을 집필했다고 칭찬하고 싶다. 페미니즘에 대한 신선한 접근을 이 책을 통해 얻을 수 있었다. 그래서 상당히 기쁘다. 이 책을 읽도록 추천해준 내 친누나와 여자친구에게 깊은 감사를 표한다. 나중에 시간이 되면 안젤라 데이비스의 저서 <여성, 인종, 계급>도 읽고 싶다.

 

마지막으로 짧게 얘기하자면, 페미니즘에 동의하든 동의하지 않든 많은 이들에게 이 책을 추천해주고 싶다. 이를 통해 건설적인 논쟁이 이어져 남녀갈등이 최소화되고 궁극적으로 철폐되는 사회까지 나아가기를 바라며 서평을 마치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미국과 소련의 냉전이 한참이던 1960년대 인도네시아에서는 상상을 초월하는 대량 학살이 발생했다. 인도네시아 대학살(Indonesia Genocide)이라 불리는 이 사건은 1965년에 시작되었으며, 학살당한 숫자 규모에서 상상을 초월한다. 아무리 낮게 잡은 축소된 수치가 8만 명이고, 최대 300만 명이 학살당한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197610월 당시 인도네시아 국가 보안기구 의장인 수도모 제독은 네덜란드의 한 TV 방송에서 학살 당시 최소 50만 명이 죽은 것으로 추정한다.”고 증언했으며, 시간이 지나면서 사망자 수는 계속 늘어 하비비 전 대통령은 100만명이라고 했고, 학살을 지휘한 사르워 에디 위보워 장군은 300만명이라고 말했다. 따라서 보통의 경우 학살 추정치를 50~300만 명으로 추산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인도네시아 대학살의 경우 가장 끔찍한 피해를 본 지역이 바로 휴양지로 유명한 발리(Bali)였다. 학살 당시 북부 수마트라와 동부 자바섬의 경우 학살의 규모가 너무나 커서 위생 문제가 제기될 정도였으며, 발리는 제주 4·3 때처럼 진압군에게 잡히는 사람들은 즉결 처형당했다. 총살이면 운이 좋은 편이었는데, 학살당한 사람들의 경우 산 채로 사지가 절단됐고, 참수당했으며 피부를 벗기는 식의 고문까지 당한 것으로 알려졌다. 말 그대로 학살의 잔혹함은 상상을 초월했다. 당시 발리의 경우 섬의 인구가 200만 명이었는데, 이 중 10~20만 명이 학살당한 것으로 추정한다.

 

이와 같은 학살이 일어난 데에는 그 배후에 미국과 CIA가 존재했다. 인도네시아의 독립영웅으로 알려진 수카르노는 제2차 세계대전 당시 네덜란드에 맞서 잠시 일본에 협력하는 실책을 저질렀지만, 이후 노선을 바꿔 반일투쟁을 전개했다. 2차 세계대전 이후 네덜란드가 인도네시아를 식민지 지배하려 하자 이에 맞서 4년간의 독립투쟁을 전개했다. 그 과정에서 네덜란드군 6,000명이 전사했고, 인도네시아군은 45,000명이 전사했으며 민간인도 대략 수만 명이 사망했다. 당연한 얘기지만 학살 대다수는 네덜란드군에 의해 자행됐다. 당시 수카르노는 서방의 지원을 받아 네덜란드에 맞섰는데, 이 과정에서 공산주의자들의 봉기를 진압하여 수천 명을 죽였다.

 

이와 같은 수카르노의 반공노선은 초기 미국의 지원을 받을 수 있는 기회로 작용했지만, 1950년대 제3세계 노선을 천명하면서 반미·친소 노선으로 돌아섰다. 미국의 CIA1955년에 수카르노 암살을 검토했었다. 이 시기 수카르노는 소련의 흐루쇼프와 중국의 마오쩌둥을 만나, 동유럽에서 무기를 구매하면서 인도네시아 공산당과의 연립정부 구성을 보다 광범위하게 했었다. 이것이 미국으로 하여금 반수카르노 감정을 가지게 만들었다. 1960년대 수카르노의 반미감정은 더욱 커졌으며, 1965817일 인도네시아 독립기념일에 반제국주의 자카르타-프놈펜(시아누크)-하노이(호치민)-베이징(마오쩌둥)-평양(김일성) 을 선언하기까지 했다. 따라서 미국은 1950년대부터 반공성향의 군부 장성들을 규합했고, 그 중 하나인 수하르토를 내세워 쿠데타를 전개했다.

 

인도네시아에서 친미 쿠데타에 성공한 미국은 수하르토 정권의 학살을 도왔으며, 그 결과 수십만에서 수백만 명의 인도네시아인이 무차별 학살당했다. 학살은 1968년에서 1969년에 종결됐다. 미국의 닉슨 행정부와 카터 행정부 그리고 레이건 행정부는 이 수하르토 친미독재정권을 민주적인 정권이라며 칭송했다. 수하르토는 거대 다국적기업들을 수익률 높은 제안으로 유치했으며, 그와 동시에 자신의 가족을 위해 실질적인부를 축적했다. 물론 1960년대 인구의 절반 이상에서 1966년 약 12%로 빈곤을 감소시켰고, 수십 년간 꾸준히 연 7%의 경제성장도 보이긴 했다. 그와 동시에 수하르토는 집권 시기 포르투갈로부터 해방된 동티모르에서 벌어진 독립운동을 유혈 진압했다. 1975년 수하르토는 군대를 보내어 동티모르에서 대략 10~20만 명을 학살했다. 동티모르에서의 학살은 1970년대 후반까지 가장 극심하게 전개되었는데, 미국의 카터 정부는 끊임없이 수하르토 정권에게 원조를 제공했다. 그리고 수하르토 정권의 동티모르 학살을 저지하려는 유엔의 시도도 봉쇄했다.

 

1982년에서 1984년까지 레이건 행정부 아래서 수하르토 정권에 판매한 무기는 10억 달러 선을 넘었으며, 이 동티모르 학살은 1990년대 초까지 지속됐다. 19911112일 최소 273명의 동티모르인이 딜리에서 학살당하는 일이 벌어졌다. 앞서 언급한 수하르토의 가족 제국은 실로 거대했다. 1998년 기준으로 수하르토의 재산은 미화 160억 달러로 추정됐으며, 이는 세계에서 6번째로 부유한 사람임을 의미했다. 일각에서는 그보다 더 많은 300~400억 달러라고 추정하기도 했다. 수하르토의 가족사업은 호텔에서 인공위성까지 뻗어갔고, 루슨트 테크놀로지, 제너럴 일렉트릭, 하얏트 호텔, 휴스 등과 맺은 협력 관계를 이들은 자랑스럽게 주장했다.

 

수하르토의 통치 30년 동안 세계은행은 그를 적극 지지했고, 300만 달러 이상의 차관을 제공했다. 수십 년 동안 자체 보고를 포함한 수많은 보고서에 따르면 세계은행은 부패를 용인하고, 그릇된 정부 통계에 그릇된 중요성을 부여했으며, 그것을 다른 나라의 모델로 제시하여 독재를 정당화하고, 인권 실태와 경제의 독점적 통제에 만족했다.” 1997년 대한민국 경제에 큰 악영향을 준 IMF는 인도네시아에게도 큰 악영향을 줬다. IMF로 하룻밤 사이에 인도네시아는 급속한 경제 악화를 겪었으며, 수백만 명이 가혹한 생존 조건에 몰렸다. 화폐가치가 폭락했고, 전염병이 자카르타로 퍼졌으며 국제 투기꾼들은 인도네시아 주식을 팔아버림으로써 시장가치가 절반으로 떨어졌다. IMF 위기가 가속화 됨에 따라 물가가 상승했고, 이는 식량폭동으로까지 이어졌다.

 

결과적으로 1998년 인도네시아 내의 대규모 반정부 시위를 불러왔다. 그해 3월 수십 개 캠퍼스에서 수하르토에 반대하는 움직임이 힘을 얻었고, 학교에서의 시위가 격화됐다. 4월에는 2,000여명의 여학생들이 주도한 행진에 스미랑이라는 작은 도시에 살던 주부들이 합류했으며, 5130개가 넘는 자카르타 노동자단체의 대표들이 데폭의 인도네시아 국립대학 캠퍼스에 와서 4시간 동안 학생 활동가들과 만났다. 12일에는 1만 명의 학생이 평화적으로 행진하면서 노래를 불렀고, 엘리트 대학인 트리삭티 캠퍼스에서 주요 고속도로로 진출했다. 투입된 경찰이 최루탄으로 진압을 했고, 경찰 저격수의 사격으로 학생 4명이 사망했다. 이 사건은 인도네시아 전역의 충격으로 그리고 분노로 이어졌으며, 513일에서 15일까지 파괴적인 유혈시위가 솔로, 우중판당, 족자카르타, 괄렘방으로 확산됐다. 이러한 시위가 유혈폭동으로 변해 수많은 중국계 인도네시아인이 죽고, 강간당하는 일이 벌어지는 참사가 발생했다.

 

이와 같은 사태 속에서 반수하르토 시위가 격화되어 결과적으로 1998521일 수하르토가 인도네시아 대통령직에서 사퇴하게 됐다. 이로써 30년 이상 지속되던 수하르토 시대는 끝나게 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1917년 러시아 혁명의 성공은 유럽의 좌파운동과 사회주의 운동에 큰 영향을 줬다. 비록 유럽에서 사회주의 혁명을 성공시키지는 못했으나, 혁명이 준 영향은 결코 무시하지 못할 수준이었다. 1920년대 비록 이탈리아는 베니토 무솔리니가 이끄는 파시즘 운동이 성공하여 파시스트 체제가 등장했지만, 무솔리니 집권 전 사회주의 체제로 나아가려는 시도와 노력이 있었다. 이를 이탈리아 역사에서는 ‘붉은 2년(Biennio Rosso, 비엔니오 로소)’라고 부른다. 오늘은 이 붉은 2년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다.

(비엔니오 로소, 1919년부터 1920년까지 대략 2년 동안 이탈리아에서는 사회주의 노동운동이 가열차게 진행됐다. 보통 붉은 2년이라고 번역한다.)


1914년 제1차 세계대전이 일어나자 유럽은 전쟁의 소용돌이 속에 휩싸였다. 20세기 초 유럽은 상호 경쟁하는 두 개의 거대한 동맹으로 조직 되었는데, 하나는 국, 프랑스, 러시아가 맺은 삼국협상이고 다른 하나는 독일,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그리고 이탈리아가 맺은 삼국동맹이었다. 제1차 세계대전이 이 두 세력이 싸운 전쟁이었다.  1914년 6월 28일 보스니아의 수도 사라예보를 방문한 오스트리아 제국의 프란츠 페르디난트 대공이 한 세르비아의 민족주의자 청년에게 암살당한 것이 전쟁의 계기였다. 전쟁은 1914년에 시작되어 양측의 참호전을 반복하다가 1918년 독일이 항복을 선언하면서 끝이 났다.


전쟁의 결과는 참혹했다. 제1차 세계대전은 그전까지 존재했던 그 어떤 전쟁보다 가장 잔인하고, 끔찍한 전쟁이었다. 4년간의 전쟁 기간 동안 대략 1,000만 명 이상이 죽었고, 2,000만 명이 부상당했다. 기관총의 발달과 독가스, 탱크, 전투기, 후장대포 등 최신식 무기의 개발은 전쟁을 대량학살극으로 바꿔놓았다. 무기는 현대화되었으나 전쟁방식이 구식이어서 양측의 군인 사망자는 상상을 초월했다. 제1차 세계대전 당시 이탈리아는 1년간의 고민 끝에 독일과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에 대항하는 편에 서게 됐다.


제1차 세계대전은 1918년 11월 11일 휴전협정이 조인되면서 연합국의 승리로 끝나면서, 이탈리아 또한 승전국이 됐다. 그러나 다른 교전국들과 마찬가지로 이탈리아도 적잖은 전쟁 사상자가 발생했다. 대략 65만 명이 넘는 이탈리아 병사가 전쟁 기간 3년 동안 전사했고, 최소 50만 명이 부상당했다. 제1차 세계대전 이후 이탈리아는 승전국들의 이익 배분 과정에서 큰 성과를 얻지 못했고, 이는 결과적으로 사회적 혼란으로 이어졌다. 거기다 1917년 연합국 편이었던 러시아에서 세계 최초의 사회주의 혁명이 성공하여 볼셰비키 소비에트 정권이 들어섰다. 러시아 혁명을 성공시킨 블라디미르 레닌은 혁명을 전 세계로 전파해야한다는 구상을 가지고 있었는데, 러시아 혁명은 독일에서의 군인·노동자 혁명으로 황제를 몰아내게 만들었고, 헝가리에서도 1919년 소비에트 정부를 잠시나마 들어서게 했다.

(붉은 2년 당시 파업에 동참한 노동자 사진)


러시아 혁명의 성공은 이탈리아 민중들은 시위와 봉기를 일으키는 계기가 됐다. 전쟁이 끝나던 1918년 이탈리아의 평균실질임금은 전쟁 전인 1913년의 64.6%에 머물렀고, 이에 따라 사회 불안이 고조되는 가운데, 러시아 혁명의 성공 소식까지 들리자 “러시아를 따라가자”는 분위기가 생긴 것이다. 이에 따라 이탈리아에서는 사회주의와 무정부주의에 영향을 받아 노조 및 좌파 조직이 세력을 확장했다. 이탈리아 사회당의 경우 1918년 2만 4,000명의 조직원을 보유했는데, 1920년에는 20만 명으로 무려 10배나 조직원이 증가했다. 노조 조직인 이탈리아 노동총동맹은 200만 명의 회원수를 기록했으며, 아나키스트 노조도 80만 명의 회원을 확보했다.


1919년 이탈리아 인민당(PPI)이 창당되기도 했으며, 가톨릭 사제였던 루이지 스트루초가 이끌었다. 정당명부식 비례대표제 및 보통선거 형태로 치러진 1919년 선거에서 사회당은 국회에서 156석을 획득했고, 인민당은 국회에서 99석을 획득했다. 이들이 내세운 입후보자들이 대거 당선된 것이다. 이에 반해 이전 선거에서 다수를 점하고 있던 자유주의 성향의 입후보자들은 179석을 얻는 데 그쳤다. 1919년 사회당과 인민당 그리고 아나키즘 단체의 성장은 이른바 ‘붉은 2년(Biennio Rosso)’을 의미했다. 이 시기 이탈리아에서는 8시간 노동과 임금 및 일자리 보장을 요구하는 파업이 물에 기름을 쏟아 부은 듯 들끓었다. 1919년 9월 토리노의 피아트 사에서 공장평의회 조직이 처음 생겨났고, 다른 지역에서도 불과 몇 달 사이에 연이어 공장평의회 조직들이 생겨났다. 이탈리아에서의 사회주의 확산은 이렇게 전개됐다.

(1920년 파업 당시 밀란의 한 공장을 점거한 무장 노동자)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노동운동이 자연발생적으로 확산됐는데, 파업은 임금인상과 노동조건 개선을 요구하는 것으로 시작되어 정치적 주장으로 전환됐다. 1919년 총파업 횟수는 1,663회로 전전의 810회보다 2배로 폭발적 증가세를 보였고, 1920년에는 1,881회로 늘어났다. 공장 노동자 파업은 농촌으로 파급되어 농촌 파업이 1913년 97건에서 1920년 189회로 확산되었다. 파업 지도자들은 러시아 혁명 지도자들과의 연대를 주장했다. 1920년 3월 29일에 토리노의 피아트 공장을 중심으로 철강노동자들이 전국적인 총파업을 주도했으며, 이는 120만 명의 노동자들이 참가할 정도로 광범위했다. 그해 6월에 공장을 점거한 노동자의 수는 대략 50만 명이었다.


당시 이탈리아에서 전국적인 파업을 주도한 중요한 인물이 있었다. 그가 바로 이탈리아의 대표적인 공산주의자 안토니오 그람쉬(Antonio Gramsci)다. 안토니오 그람쉬는 1891년 이탈리아 사르데냐에서 태어났다. 그는 20세인 1911년 이탈리아 북부의 공업 도시 토리노의 토리노대학교에 장학금을 받고 들어갔으며, 언어학을 전공했다. 이 시기 그람쉬는 철학·역사학·문학 등 인문학 분야도 열심히 공부한 것으로 알려졌다. 1913년 그람쉬는 이탈리아 사회당(PSI)에 가입했다. 제1차 세계대전 당시인 1915년 사회당 신문기자로 일했으며, 이후 붉은 2년이라 불리는 기간에 노동자 파업을 주도했다. 

(안토니오 그람쉬 관련 포스터, 안토니오 그람쉬는 1921년 이탈리아 공산당 창당 멤버이다. 그는 무솔리니 집권 하에서 감옥에 가게 됐다. 이후 옥중수고를 썼으며 1937년 옥사했다. 1980년대 전두환 독재정권시절 그의 책이 국내에도 소개되어 운동권들 사이에서도 읽혔다.)


붉은 2년 시기인 1920년 4월의 총파업은 결과적으로 11만에 실패로 종결됐다.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6월에도 노동운동이 벌어졌고, 8월과 9월에 격화됐다. 9월 당시 파업에 참여한 무장 노동자들은 토리노의 185개 철강회사를 점거했으며, 이탈리아의 지올리티 내각은 결국 군대를 동원했다. 토리노에 5만명의 군인들이 파견되었고, 노조상층부가 노동자들의 공장점거를 지지하지 않으면서 이 파업도 노동자들이 공장 점거를 풀면서 끝났다. 


1920년 9월 19일 이탈리아 노동총연맹은 기업주 대표들과 인금인상과 노동조건 해건을 약속받는 대신에 공장점거를 푼다는 대원칙에 합의했다. 사회당도 사회적 대타협에 합의했다. 이로써 2년에 걸친 이탈리아 혁명운동은 고개를 숙인 것이다. 그러나 그 당시 그람쉬를 비롯한 사회당 내 좌파들은 노동운동의 패배가 사회당과 노조 지도부의 무능이라 생각했다. 따라서 당시 그람쉬가 제시한 새로운 노동조직가 운동의 방향이 이 시기에 급격히 부상했다. 당시 그람쉬가 조직한 노동조직은 러시아와 헝가리 및 오스트리아 등에서 실행된 소비에트 모델을 기반으로 하여 구상됐다. 그람쉬는 공장, 건설 현장, 광산, 농장, 상점 및 일반 농민 개개인을 망라하는 모든 노동 계층의 생산단위를 기본으로 평의회를 조직하고자 했다.


그람쉬가 구상했던 공장평의회 조직은 다음과 같다. 첫째, 이미 각 공장에 존재하고 있던 내부위원회를 기반으로 구성원을 대표하는 대표위원을 선출한 뒤 다시 대표위원회를 구성한다. 둘째, 이때 선거를 통해 대략 노동자 15명당 한 명의 대표위원을 선출하고, 공장의 각 계층과 분야의 대표자를 선출한 뒤 공장대표위원회를 조직한다. 셋째, 공장대표위원회가 각 지구나 구역별로 지구위원회를 구성하는 단위가 되며, 구역에 속한 모든 노동자, 즉 운전기사, 상정 종업원, 식당 웨이터, 청소부, 개인 고용 노동자 등의 대표가 포함될 수 있도록 한다.

(이탈리아 공산당 깃발, 이탈리아 공산당은 무솔리니 하에서 탄압받았으며 지하로 숨었다. 1943년 제2차 세계대전 시기 무솔리니가 축출되자 이탈리아 내에서 빨치산 운동에 주력하여 나치와 무솔리니에 맞서 싸웠다. 제2차 세계대전 이후 프랑스와 더불어 서유럽에서 가장 큰 세력을 확보한 정당이 되었다 미국의 정치공작으로 집권에 실패했다.)


그람쉬는 자신이 구상한 새로운 모델을 토대로 동지들을 규합해, 보르디가, 타스카, 톨리아티, 테라치니와 함께 1921년 1월 이른바 이탈리아 공산당(Communist Party of Italy)을 창당했다. 그람쉬가 이탈리아 공산당을 창당했을 당시, 이른바 붉은 2년은 끝난 상태였다. 이 시기 이탈리아에서는 좌파 조직만 성장했던 것은 아니었다. 안타깝게도 1919년부터 베니토 무솔리니를 중심으로 파시스트 단체가 창설되었고, 이들은 1921년 최초로 파시스트당을 창당했다. 다음 해인 1922년 무솔리니는 자신이 만든 군사를 로마로 진군시켰고, 비토리오 에마누엘레 3세를 등에 업고 수상이 됐다. 무솔리니가 집권한 이후 이탈리아 사회당과 공산당을 포함한 좌파조직은 대대적인 탄압에 들어갔고 지하로 숨었다. 이탈리아 공산당 창당자 그람쉬는 1926년 무솔리니 치하에서 체포되어 옥살이를 하게 됐다. 20년 형을 선고받은 그람쉬는 옥중에서 저작활동을 이어나가게 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9)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알제리전쟁 1954-1962 - 생각하는 사람들의 식민지 항쟁 스투디움 총서 8
노서경 지음 / 문학동네 / 2017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알제리 전쟁 1954-1962 서평: 20세기에 일어난 반프랑스 민족해방전쟁을 생각하며

지난 2023년 10월 7일 팔레스타인의 무장저항조직인 하마스(Hamas)가 이스라엘을 상대로 반격을 가했다. 하마스가 로켓 미사일까지 발사하여 이스라엘에 반격을 가하자, 세계 언론은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에서 이스라엘-팔레스타인 전쟁으로 관심을 돌리게 됐다. 2023년 이스라엘-팔레스타인 전쟁이 새로운 국면을 맞이하면서, 양측의 테러와 학살에 관한 기사들이 지속적으로 올라왔다.

물론 서구와 국내 언론들은 팔레스타인의 잔혹성만 부각시키기 바쁜 상황이었고, 지금도 마찬가지다. 10월 초 언론들은 하마스의 잔혹성을 얘기하며, “닭장 속에 아이를 가뒀다”는 뉴스나 “영유아를 집단 살해했다.”는 이른바 가짜뉴스들이 끊임없이 생산했다. 이러한 언론의 주장들을 찾아보면 실질적으로 신뢰할만한 증거는 없었다. 즉, 하마스가 아녀자 강간이나 영유아 참수 그리고 아이들을 오븐에 넣어 죽였다는 주장들은 허위사실이었다.

이와같이 이스라엘쪽에서 퍼뜨린 가짜뉴스들이 넘쳐났지만, 그렇다고 해서 하마스라는 조직이 테러를 아예 저지르지 않았다고 볼 수는 없을 것이다. 왜냐하면 전쟁 중에는 테러와 학살이 양측에 의해 발생하기 때문이다. 여기서 가장 중요한 사실이 있다. 이 테러와 학살 문제에서 극단의 정점을 찍고 있는 주체가 바로 이스라엘이라는 사실이다.

현재 이스라엘은 가자지구와 라파를 포함하여 팔레스타인 전역을 공동묘지로 만들고 있다. 사실 1948년 이스라엘이 건국된 이래로 이스라엘의 학살과 테러는 지속적으로 전개되어 왔다. 많은 사람들이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시기 미국이 앵무새처럼 반복하는 위선적 주장들에 따라 우크라이나를 동정했지만, 팔레스타인의 참상은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에서의 그것과는 비교불가 수준이었다.

하마스를 포함하여 팔레스타인이 이스라엘의 학살과 폭력에 맞서 저항하는 이유는 분명하다. 이스라엘로부터 빼앗긴 자신들의 주권과 독립을 쟁취하기 위해서다. 현재의 이스라엘-팔레스타인 전쟁과 비슷한 역사가 20세기에도 있었다. 그게 바로 알제리다. 알제리는 1830년부터 1962년까지 대략 132년 동안 프랑스의 식민지 지배를 경험했다.

프랑스의 식민지 지배는 너무나도 가혹했다. 1954년 기준 알제리의 남성 85% 여성의 95%가 제대로된 교육혜택도 못받았다. 프랑스는 제1차 세계대전과 제2차 세계대전에서 수많은 알제리인을 프랑스군에 편입시켰지만, 이들이 원했던 독립을 절대로 허용해주지 않았다. 이들이 독립을 요구하자 최신식 군사력을 동원하여 학살을 벌이기까지 했다.

알제리가 독립전쟁을 전개하게 된 것은 1954년에 이르러서였다. 1954년 프랑스는 베트남의 디엔비엔푸에서 혁명적 농민 군대에게 패전했고, 100년간의 식민지 지배를 포기하게 됐다. 즉, 알제리의 독립운동 세력은 디엔비엔푸 전투와 프랑스의 패전을 보면서 이에 깊은 영감을 얻었고, 1954년 11월 독립전쟁을 게시하게 된 것이다.

알제리의 독립전쟁은 단순히 군사적 측면에서의 전투만 전개된 전쟁은 아니었다. 알제리의 독립운동가들은 대중적인 시위도 조직했다. 파업과 봉기가 알제나 오랑 콘스탄틴 등 알제리의 주요도시에서 일어났다. 뿐만아니라 이들의 독립운동은 자신들을 지배하고 있는 프랑스의 영토 내에서도 일어났으며, 좌우연합과 더불어 국제적 지지확보에도 충실했다. 아마 이와 같은 지점이 알제리 독립전쟁만이 가진 고유한 특정일지도 모르겠다.

알제리 독립전쟁에서 프랑스가 보인 모습은 너무나도 잔혹하고 추악했다. 전쟁 시기 독립운동을 주도한 세력들도 반대파나 친불파 그리고 프랑스인 거주지를 대상으로 학살과 테러를 저질렀고, 멜루자 학살이나 오랑 학살 등 다수의 사례가 존재하지만, 프랑스가 저지른 학살과 테러가 훨씬 더 많았다. 알제리 독립전쟁에서 프랑스군 수만 명이 전사하고, 알제리인이 30~100만 명이 사망했는데, 대다수의 알제리인 사망자는 프랑스에 의한 것이었다. 그런 점에서 보아도 알제리 독립전쟁은 현재 이스라엘-팔레스타인 전쟁과 분명한 유사점이 있다.

이번에 읽은 노서경의 <알제리 전쟁 1954-1962 - 생각하는 사람들의 식민지 항쟁>은 국내에 출판된 유일한 알제리 독립전쟁 관련 책일 것이다. 책의 저자는 알제리인들의 저항과 정치활동, 프랑스의 지배 방식, 알제리 독립운동가 지식인들의 활동과 프랑스 지식인들의 활동, 그리고 이들의 출판과 프랑스의 식민주의와 제국주의를 다루며 분석했다. 책 제목에 ‘전쟁‘이라는 단어가 붙다보니 일부 독자들은 전쟁사적인 측면에 기대할 수 있겠으나, 사실 이 책은 전쟁사를 다루지 않고 있다는 사실을 알 필요가 있다.

물론 이 부분에 대해 얘기하자면, 당연히 알제리 항쟁에서 매우 중요한 부분이다. 알제리에 주둔했던 프랑스군의 규모는 40만 명이 넘었고, 알제리민족해방전선(FLN) 또한 이들에 맞서 사막과 마을에서 게릴라전을 벌였기 때문이다. 거기다 프랑스는 이들과의 전쟁에서 탱크, 장갑차, 전투기, 군함 그리고 전투 헬기도 투입했다. 이런 점에서 보자면 군사적 측면의 연구가 필요한 것도 분명하다.

이 책은 이런 부분을 다루지 않지만, 읽을 가치가 매우 높은 책이다. 특히나 현재 이스라엘-팔레스타인 전쟁에서 벌어지는 일을 생각한다면, 더더욱 그렇다. 1966년에 개봉한 영화 ‘알제리 전투‘도 꼭 보길 추천하는 명작이다. 이 영화보다 알제리 전쟁에 관해 더 많은 것을 알고 공부하고 싶은 이들에게 이 책의 일독을 적극 권한다.

마지막으로 프랑스가 알제리인들에게 자행한 최악의 학살인 세티프 겔마 학살에 관해 언급하고자 한다. 1945년 5월 8일 나치 독일이 연합국에게 항복하던 시점에 알제리인들은 프랑스에게 자치와 독립을 요구하는 시위를 벌였고, 프랑스는 이를 탱크와 전투기 그리고 군함을 동원하여 진압했다. 프랑스는 1달간의 진압과정 동안 세티프와 겔마에서 무려 2~3만 명의 알제리 민간인을 학살했다.

학살의 규모로 보았을 때, 1956년 헝가리 봉기나 1968년 프라하의 봄 그리고 1989년 천안문 시위 진압과정에서 발생한 민간인 희생자를 합친 것 보다 훨씬 더 많은 인명이 프랑스의 알제리 무혈진압으로 생명을 잃었다. 그러나 이런 학살은 세계사 교과서에서 전혀 등장하지 않는다. 글쓴이른 이런 점에서 한국과 서방의 역사 기억과 세계사 교육이 과연 공정한지 의문을 가지고 있다.

결국 이런 점에서도 우리의 역사교육은 지극히 서구 제국주의 중심적으로 사고하고 또 가르치는 것이 아닐까? 앞으로 세계가 준비해야할 다극화 체제에선 이런 서구 중심주의를 뛰어넘는 무언가가 필요하다는 생각이 든다. 이번에 이 책을 읽으면서 든 생각이며, 이런 문제의식을 남긴채 서평을 마무리하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