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글은 1986년 두리 출판사에서 출판한 <베트남 혁명 연구>에 있는 가레스 포터(Gareth Porter)의 글을 그대로 옮긴 것입니다.)

 

세계의 정치세력들에 대한 이해를 포함한 베트남 공산주의 지도노선은 마르크스-레닌주의가 소련과 세계의 식민지 및 반식민지 지역에서의 혁명운동과 특정한 관계를 맺었던 코민테른 시대에 그 이념을 형성했다. 초창기 베트남의 공산주의자들은 혁명의 성공 가능성은 소련의 생존과 발전에 연관되어 있다고 생각했다.

 

인도차이나 공산당과 코민테른 간의 주된 연계주체였던 호치민(Ho Chi Minh)은 레닌의 민족 및 식민지 문제에 관한 테제(Theses on the National and Colonial Questions)에 이끌려 제3인터내셔널에 가입했다. 각국의 억압된 민중들을 세계정치의 새로운 세력과 결합하고 있는 세계적인 규모의 혁명운동에 대한 그 테제에서의 언급을 접하면서, 호치민은 프랑스의 식민지 정권을 전복할 수 있는 베트남 민중의 능력을 신뢰하게 되었다. 1925년 초창기 베트남 혁명당원들에 대해 행했던 광동 연설에서 호치민은 베트남 혁명은 세계 혁명의 지원을 받을 것이며, 그들 자신의 혁명을 수행함에 있어서 베트남인들은 세계혁명에 대한 그들의 의무를 완수하게 될 것이라고 되풀이해서 강조하였다.

 

소련의 상대적 약체성과 1930년대의 긴장된 국제적 환경이라는 맥락에서 세계혁명에 대한 베트남의 의무는 소련을 지지하기 위해 가능한 모든 일을 하는 것으로 해석됐다. 코민테른의 감독 하에 있었던 기간 동안 세계정세에 대한 베트남 당의 언급은 소련에 대한 포위와 자본주의 진영의 공격을 반영하고 있다. 19302월 인도차이나 공산당(Indochinese Communist Party)의 설립에 즈음하여 베트남 민중들에게 행한 호치민의 호소는 소련에 대한 그러한 위험을 예감하고 있었다. 그는 프랑스가 베트남 혁명을 억압하려 할 뿐만 아니라, 소련이 세계의 피압박 민족들과 피착취계급들이 봉기하여 지배 세력들을 전복하도록 도와주고 있기 때문에 중국혁명을 약화시키려 하고”, “소비에트 러시아를 반대하려 한다.”고 주장했다. 193010ICP(인도차이나 공산당)는 정치적 프로그램을 통해서 전 세계의 제국주의자들, 특히 프랑스의 제국주의자들은 소련에 대한 공격을 준비하고 있다.”고 경고하며, “사회주의 승리 국가인 소련을 수호해야 한다.”라고 호소했다.

 

소련에 대한 수호라는 주제는 1935년 마카오에서 열렸던 제1차 베트남 공산당 대회에서 더욱 선명하게 드러났다. 당은 교육 프로그램 속에서 소련을 세계혁명을 수호하는 방벽이며 수호자로 묘사하고, 제국주의자들에 의한 소련의 파괴는 세계운동을 20년 이상 후퇴시킬 것이라고 논하였다.

 

이미 전쟁의 위협은 프랑스로부터 히틀러의 독일로 이전되어 갔으며, 코민테른 제7차 대회 이후로는 파시즘과 전쟁에 대한 인민전선을 호소하였고, 베트남은 반파시즘을 강조하기 위해 자신의 국제구의적 노선을 수정하는 또 하나의 대회를 개최했다. 스탈린이 19399월 히틀러와 불가침 조약을 체결했을 대, 통킹(Tonkin)지역 당 위원회는 그러한 노선전환을 설명하고, 소련의 국제주의 노선에 대한 당내의 동요를 종식시키기 위해 소련은 항상 평화에 충실한다(The Soviet Union is Always Faithful to Peace)라는 책자를 출간하였다.

 

2차 세계대전 기간 중 베트남 당은 비록 코민테른으로부터 고립되어 있었으나, 사회주의 종주국으로서의 모스크바와 이데올로기적 연계는 유지했다. 소련이 나치의 침략에 대항해서 싸우게 되자, 당 이론가였던 쯔엉찐(Truong Chinh)은 소련의 붉은군대(Soviet Red Army)부분적으로 인도차이나 민중을 위해서피를 흘리고 있다고 주장하며 신뢰를 표했다. 그는 소련의 저항을 지원하고 전진하는 세계혁명운동에 공헌하는 것이베트남 당의 의무라고 썼다. 베트남 공산주의자들은 베트남의 젊은이들이 유럽이나 만주에서 소련에 대항해서 싸우는 음모에 빠질 가능성을 우려하여, 만약 그러할 경우 그들이 붉은 군대의 편에서 싸우도록 권고하였던 것이다.

 

출처: 베트남 혁명 연구 p.58~60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