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장
- 7장 제목 시원스레 좋다! 다른 장 제목도 좋지만^^
- 아이큐가 높은 사람들은 누구보다 욕을 자주 했다. -> 갑자기 욕 하고 싶어지네.
- 음성상징주의
- 여성과 저속함의 모순? 이율배반? 이길 수 없는 게임
- 욕설의 이유: 남성은 습관, 정상, 사회적 기대 vs 여성은 특별한 집단 내 친밀감, 신뢰
- 페미니즘적 욕설 만들기

8장
- 이중 구속: 썅년(힐러리 클린턴)도 성적 대상(스칼릿 조핸슨)도 아니라고 믿게끔 해야 한다.
- 언어적 대상화

9장
- 게이와 레즈비언 발화 간의 불균형

10장
- 남근 중심적 관점, 남성 성기 중심주의: 남성의 성기는 관통과 삽입, 섹스는 폭력, 여성과 질은 무존재이거나 수동적이라는 관점
- 자신의 성기에 스스로 이름 붙이기

11장
- 라디이딘: 수젯 헤이든 엘긴의 디스토피아 소설 <모어>에서 창조된 언어, 휴일 아닌 휴일‘이라는 뜻, 휴일이라고 생각하기 쉽지만 요리하고, 장식하고, 손님을 맞아야 하는 여성에게는 짐이 되는 날을 뜻한다
- 언어의 개혁과 문화 변동의 연관성
- 언어 변화에 대한 반동, 백래시
- 침묵을 거부하는 행위

7장 좆까: 욕하는 여자를 위한 송가

리처드 스티븐스Richard Stephens 박사와 그의 연구팀은 옳았다.
2017년 《성격과 개인차Personality and Individual Differences》라는 저널에 그들은 성격과 일상적인 습관의 관계에 대한 연구를 발표했다. 참가자 수천 명을 조사한 이 연구에서, 스티븐스는인간의 특질과 행동 간에 존재하는 상관관계를 보여 주었다. 예를 들어서 외향성과 더러운 농담 간의 친연성, 상냥함과 샤워를 할 때 노래를 부르는 습관 간의 경향성 등이었다. 그런데 내가 발견한 최고의 상관관계는 이것이다. 아이큐가 높은 사람들은 누구보다 욕을 자주 했다. - P228

선생님들과 양육자들의 감언이설과는 달리, 나는 영어권 화자 중에 유창하게 욕을 쓰는 사람들이 창의적으로 언어감각을 키워 갈 확률이 더 높다고 생각한다. 음성학에 대해서내가 알게 된, 욕설에 대한 사실 중 가장 좋아하는 내용이 하나 있다. 바로 욕설은 삽입사로 쓸 수 있는 유일한 영단어라는 점이다. 삽입사는 단어 중간에, 단어 앞에 붙이는 접두사(예를 들어서 ‘비정상적인과 같이) 혹은 단어 뒤에 오는 접미사 (자유‘롭다’와 같이)와 비슷하게 쓸 수 있는 문법적 단위이다. 외국어에는 삽입사가 많지만, 영어에는 두 개밖에 없다. 퍼킹fucking과 댐damn이다. ‘캘리-퍼킹-포니아Cali-fucking-fornia’처럼 쓸 수 있다. - P232

여성과 저속함에 대한 오해들은 중요하지 않아 보일 수있다. 그렇지만 현실에 큰 영향을 불러올 수도 있다. 1991년탄광의 성희롱을 다룬 연구는 여성 광부들이 직업적으로 성취를 거두는 데 가장 큰 장애물은 그들이 욕설을 하기에는 너무 감수성이 높다는 이유로 남성 동료들이 그들과 사회적 상호작용을 하지 않는 데서 온다고 밝혔다. 모순적이게도, 이연구에선 여성들이 욕설을 한다 해도 남성 동료들과 같은 사회적 지위를 얻을 수 없다고 했다. 오히려 그들의 여성성을부각시킨다는 것이었다. 달리 말하면, ‘남성적인‘ 저속함이라는 특질을 받아들이면서, 그들이 여성이라는 점이 더욱 가시화된다. <미녀 삼총사Charlie‘s Angels>에서 긴 머리를 하고, 딱 달 - P236

라붙는 옷을 입고, 권총을 든 여자 주인공들처럼 말이다. 여성이 총을 쏘거나 시가를 피우는 게 섹시하다고 생각하는 남자를 만나 본 적 있지 않은가? 그와 똑같다. 남성 광부들은 여성광부들의 욕설을 성적인 초대로 해석하고, 욕을 하는 여성들을 그렇지 않은 여성들보다 더 많이 추행했다. 그렇지만 욕설을 하지 않는다고 해도 좋은 결과는 없었다. 그들은 대화에서 배제되고, 참여하지 못하고, 결국 힘으로부터 소외되었다. 한 여성 광부는 연구자들에게 이렇게 말했다. "더러운 말은여자와 남자 사이에 존재하는 보이지 않는 경계선과 같아요." 여성 광부들은 욕할 것이냐 말 것이냐를 두고 고민하고 있었다. 어떤 경우에도 이길 수 없는 게임이었다. - P237

여성이 욕을 하는 이유 중에 순위가 높지만 어떤 남성도 고르지 않은 이유는 친밀성과 신뢰가 있다. 여성들은 욕설을 하는 경우에, 문제가 되거나 적어도 눈총을 받게 될 수 있다는 걸 잘 알고 있다. 스테이플턴은 여성들이 "맥락적으로 남성보다 더 제약을 받는다"라고 말했다. 여성들에게, 욕설을어떤 평가도 받지 않고 할 수 있는 상황은 사적인 상황이며, 특별한 집단 내에서만 가능하다. 왜냐하면 어느 정도 신뢰가 있어야 필터를 거둘 수 있기 때문이다. 어떤 상황에서 욕설은 연대를 만들어 내거나 여자 친구들 간의 애정을 형성한다. 남성들은 그렇지 않다. - P240

"여성이 섹스를 원하지 않고 남성이 항상 원한다거나, 여성은 ‘애착‘을 갖게 되지만 남성에게 이는 의미가 없다거나, 여성의 성기와 임신할 수 있는 가능성이 이들을 양육에 적합하도록 만든다거나, 남성은 성취중심적이라거나 (…) 저속함은 양분된 젠더와 관련된 모든 질문을 가진 소우주와 같다." 프리케는 이렇게 썼다. 결국 현대의 욕설은 대부분 남자 성기를 가지고 있지 않은 이들의 몸과 섹스, 판타지에 대해서는 다루고 있지 못하다. 저속함의 힘은 남성을 위해서만 발휘되는 것이 그래서이다. - P244

8장 ‘암탉’ 같은 클린턴과 ‘섹시함’ 스칼렛

‘브로바이블’ 리스트에서 1등을 차지한 인물이 바로 조핸슨이다.
스칼릿의 목소리가 할리우드에서 가장 섹시한 목소리로 꼽히기 1년 좀 안 되었을 때, ‘가장 안 섹시한‘ 현대 여성의 목소리도 거론된 적이 있었다. 바로 힐러리 클린턴이다(브로바이블은 이 결정에 관여하지 않았다. 정치인은 그들의 관심사가 아니었으니까). - P253

2016년 후반, 클린턴의 목소리가 비호감이라는 사실은 카일리 제너의 입술이나 제니퍼 로페즈의 엉덩이만큼이나 문화적으로 널리 언급되었다. 하지만 스칼릿 조핸슨의 목소리는 그와는 다른 이유로 많이 언급되었다. 이 두 여성의 목소리는 대중이 바라보는 여성들이 겪는 현실에서의 난제를 드러낸다. 힘을 갖고 싶어 하는 여성은 여성이라면 으레 그래야 하는, 다정하고 유쾌하고 정중한 톤을 유지하는 아슬아슬한 균형을 지켜야 한다. 그러면서도 터프하고 권위적이어서 충분히 리더의 자질을 보여야 한다. 그래서 이들이 썅년(힐러리 클린턴)도 성적 대상(스칼릿 조핸슨)도 아니라고 믿게끔 해야 한다. "두 가지는 충돌하고, 여성은 둘 중 어딘가로 너무 멀리갔다는 이유로 부정적인 평가를 얻게 될 수 있어요." 옥스퍼드의 언어학자인 우리의 데버라 캐머런은 말했다. "아주 어려운 길을 걸어야 하지요." 주로 사적 영역에서 계속 존재했던 전통적인 여성성과 공적인 상황에서 자신감 있는 리더십을 두고 나타나는 이 까다로운 협상을 사회과학자들은 ‘이중 구속’이라 부른다. - P254

권력을 가진 여성의 목소리에 대한 편견은 목소리 자체가 아니라 젠더와 권력에 대한 우리의 인상을 반영한다. "역사적이고 사회적인 이유로, 권력의 기본 목소리는 남성의 목소리였어요." - P256

캐머런은 말했다. "여성 정치인의 목소리를 비판하는건 여성이 통솔할 만한 권위를 가지고 있지 않다는 신념을 반영하는 하나의 방식입니다."
솔직히 고백하건대, 나 역시도 남성의 목소리를 들으면더 긍정적으로 반응한다(느끼한 목소리의 로먼 마스가 진행하는 건축 팟캐스트, <99% 인비저블99% Invisible>을 듣는 이유 중 절반이 그의 목소리일 것이다. 모건 프리먼의 목소리에 대해서는 아직 이야기를 시작하지도않았다). 연구자들은 우리가 낮은 음정이 권위와 연결되어 있다고 인식하기 때문에 남성의 목소리를 권위와 연결할 수 있다고 말한다. - P257

인형 비유는 주로 더 여성스러운 쪽에 가해지는 이중 구속이다. 2016년 기자인 벤 사피로Ben Shapiro는 "그렇다, 힐러리클린턴은 새된 목소리를 가졌다. 아니, 그렇게 말하는 건 성차별주의가 아니다"라는 내용의 기사를 실었다. 클린턴이 새된 목소리를 가졌다고 묘사하는 건 그것이 단순한 ‘진실‘이기때문에 정당하며, 그 단어가 모든 여성 정치인을 수식하지 않는다는 게 그 증거라고 말하는 기사였다. "누구도 다이앤 파인스타인 상원의원을 그렇게 부르지 않는다. 새된 목소리를 갖지 않았으니까." 샤피로는 방어했다. "생기 없는 인형 눈을 가지긴 했지만, 상처 입은 갈매기처럼 새된 목소리로 끼룩대지는 않는다." 생기 없는 인형 눈이라. 그렇지만 성차별주의는 아니라고. - P259

힘이 있는 여성에 대해서 우리가 보이는 복잡한 태도의 원천은 다양하다. 단순한 설명은 물론 없겠지만, 데버라 캐머런은 권위를 가진 여성에 대한 우리의 저항과 그들에 대한 이중 구속이 존재하는 까닭이 우리가 어머니에 대해 가지는 복잡한 감정과 어느 정도 관련이 있을 수 있다고 보았다. "역사적으로 권위를 가진 여성은 어머니의 변주였습니다." 그는 설명했다. "그리고 이는 사람들에게 적어도 어느 정도는 양가적인 형태의 힘입니다. 왜냐하면 우리는 아이일 때 무력감을 경험했었고, 자라나면서 어머니의 힘에 반기를 들게 되기 때문이지요." - P262

클린턴을 ‘새됐다‘고 말하는 건 그의 발목이 굵다고 비판하는 일과 똑같다. 클린턴의 발목은 그가 바지 정장으로 갈아입기 전엔 언론의 최대 관심사였다(대체 누가 다리 아래 2인치살이 그렇게 뉴스로 보도할 가치가 있다고 생각한 걸까?). 남성 정치인 가운데 굵은 발목으로 구글 검색 결과가 2만500개나 나오는 사람이 있는지 찾아보라. 이미 나는 찾아봤는데, 수요일 아침을 현명하게 보내는 방법이 아니었던 것 같다.
당신이 찾을 수 없는 게 또 하나 있다. 수많은 언론을 분석한들, 권위를 가진 남성을 성적으로 비유하는 경우가 나오지 않는다는 점이다. 그런데 권력을 가진 여성을 성적으로 점수를 매겨 비교하는 일은 일어난다. - P264

이중 구속 양쪽에 가해지는 비판은 모두 언어적 대상화에 해당한다. 여성이 권위를 갖는 게 이상하게 여겨지는 한, 우리는 그들의 옷, 몸, 목소리 그리고 젠더 자체에 추파나 던질 수밖에 없다. 그런 생각이 바뀌기 전까지, 여성들은 이중구속의 가파른 길을 걷도록 강요받고, 미끄러져 ‘사랑스러운 눈요깃거리‘ 혹은 ‘시끄러운 잔소리꾼‘ 중 한쪽으로 떨어지지 않기 위해서 노력해야 한다는 소리를 들을 것이다. - P265

클린턴보다 언어학적인 이중 구속을 유연하게 헤엄쳐 가는 성공적인 여성들이 있다. 소셜미디어 팔로워를 대상으로내가 집계한 결과, 카멀라 해리스 상원의원, 오프라 윈프리, 방송 진행자 다이앤 소여, 로빈 로버츠, 셰릴 샌드버그, 미셸 오바마, 앙겔라 메르켈 등이 균형을 잘 잡은 것으로 나타났다.
권력을 쥔 모든 여성이 자신의 목소리를 완벽하게 만들고, 윈프리처럼 균형 잡힌 목소리를 낸다 해도, 어떤 것도 해결하지 못한다. 여성 리더가 어떻게 들려야 하는지에 대한 문제는 개인적인 게 아니라 구조적이기 때문이다. 진정한 해결책은 장기적인 방안에 있다.
2015년 《뉴욕타임스》 칼럼에서 셰릴 샌드버그sheryl Sandberg는 "여성으로서 말하는 일의 이중 억압에 대한 장기적인 해결책"은 간단하다고 적었다. 여성상사를 더 많이 뽑는 것이다. - P268

9장 이 책을 조금 더 게이처럼 만들 시간

여태까지 우리가 많이 배웠다시피, 사용하는 언어나 높낮이 할 것 없이 사람의 발화는 자연이 아닌 양육의 산물이다. 누구도 포궁에서부터 노래하는 듯한 억양 유전자를 갖고나오는 게 아니다. 언어학자들은 동성애와 혀짧은 소리가 되는 ‘s’ 발음 간에 어떤 관계도 없다고 했다. 어떤 언어는 심지어 ‘s’ 소리가 없다. 그러나 많은 영어권화자들은 ‘게이 목소리‘가 특별하게 존재한다고 생각한다. 그리고 레즈비언 목소리를 알아채지 못한다. - P276

스미스는 우리의 목소리가 얼마나 남성 혹은 여성적인지가 우리가 어떤 의사소통을 하는지와 관련이 있다고 주장했다. - P278

학자들은 많은 게이 남성들이 게이 목소리를 무의식적으로 ‘배운‘다고 말한다. - P279

따라서 ‘게이 목소리’라고 부르고 싶다고 한다면, 그런 목소리는 존재한다. 그저 모든 배경의 게이가 이를 쓰지 않을 뿐이다. 그리고 이들이 이 목소리를 항상 내는 게 아니고, 이런 목소리를 낸다고 게이인 것도 아니다. 스미스의 연구 가운데 하나는 청자들이 남성의 목소리를 듣고 성정체성을 맞추는 실험인데, 정확도가 고작 60퍼센트에 이른다는 결과를 보였다. 게이 남성들이 여성처럼 말한다는 문화적 스테레오타입은 모든 여성이 업토크를 한다거나 생각에 대해 이야기하는 대신에 사람들에 대한 가십을 즐긴다는 것만큼이나 취약하다. 그렇게 간단한 일이 아니다. - P283

게이 목소리와 대응되는 레즈비언 목소리가 있는지에 대해서 언어학자들이 연구를 진행했다. 그러나 그다지 많은 것을 찾아내지는 못했다. 사실 ‘많이‘가 아니라, 하나도 못 찾았다. 1997년 스탠퍼드대학교의 음성학자인 아널드 즈위키Arnold Zwicky는 레즈비언 발화 스타일이 존재하지 않는다고 인식되는 이유를 이렇게 분석했다. 그런 ‘목소리’를 사용하는 게이 남성은, 스스로 인식하든 못하든, 규범적인 이성애 남성성에서 벗어나고픈 욕구가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는 것이다. 그러나 레즈비언들은 그들의 젠더 집단과 더 가깝게 지내며, 서로 대치되지 않기 때문에, 게이와 달리 레즈비언을 이성애여성들로부터 구분해 낼 필요가 존재하지 않는다. 즈위키가 생각하기로, 레즈비언은 우선 여성이며 그다음 동성애자이지만, 게이는 우선 동성애자이며 그다음 남성으로 인식된다. - P284

사회집단의 언어는 그 역사의 직접적인 산물이다. 게이와 레즈비언이 같은 역사를 가지고 있지 않기 때문에, 그들의언어도 다르다. 각각의 공동체가 미디어에 비치는 양상을 보라. 충격적이게도 레즈비언 캐릭터는 미국 TV와 영화에서 완전히 누락되어 있었으며, 마침내 등장했을 때도 긍정적인미지가 아니었다. 가장 두드러지게 레즈비언이 등장하는 이야기는 1961년 영화 <아이들의 시간The Children‘s Hour〉으로, 한 기숙학교 학생이 학교의 두 여자 교장이 낭만적 관계에 있다는 이유로 이들을 고발하고, 그들의 개인적인 평판과 직업적 평판을 영원히 망쳐 버리는 내용이다. 이 영화는 구체적으로 레즈비언 발화에 대해서 다루고 있지는 않지만, 레즈비언의 삶을 어둡고, 외롭고, 커리어를 망칠 수 있는 것으로 묘사했다. - P285

답은 간단하다. 레즈비언들이 남성적으로 말하지 않는게 아니라, 여성들이 남성처럼 말하는 게 남성이 여성처럼 말하는 것보다 덜 끔찍하게 여겨지는 것뿐이다. "누가 여자가되고 싶어 하겠어요?" 뉴욕대학교의 언어학자 루이즈 버스바리와 통화를 하던 중, 그는 내게 익살스레 물었다. "여자가 되고 싶어 하는 남자는 완전히 다운그레이드 되는 건데요." - P286

손자 레인하트는 백인 이성애자가(혹은 심지어 백인 게이들도) ‘야스’나 ‘워크’와 같은 단어를 힙해 보이기 위해서 사용한다고 지적했다. 마치 백인 팝 가수들이 흑인이 하는 머리 스타일을 하고, 금목걸이를 하고, 청바지를 내려 입는 것과 비슷하게 말이다. 억압받는 문화의 ‘쿨한‘ 부분만을 들어 옮기는 행위는 사실은 이 ‘쿨한‘ 것을 만들어 낸 문화가 어디에서 왔는지를 간편히 뒤에 남겨 놓고 잊는 효과를 가져온다. - P292

10장 키클롭스, 팬티 속 괴물, 대머리자식

그린은 단순히 재미를 위해서 이 단어를 모은 게 아니다. 그는 패턴을 찾고자 했다. 아마 그가 찾은 가장 뚜렷한 패턴이라 함은 성기에 관련한 이 주제가 시간이 지남에 따라서 얼마나 변함없이 남아 있는 동시에 불안정한가였을 것이다. 그의 연구가 발표되고 난 뒤에, 그린은 기자들에게 이렇게 말했다. "음경은 일종의 무기처럼, 질은 좁은 길처럼, 성교는 ‘남자가 여자를 때렸다’는 식으로 표현됩니다." 이런 문제적인 은유가 계속 살아남은 건 우연이 아니다. ‘음담패설dirty talk’라 불리는 언어에 특화된 언어학자들은 우리 문화가 섹스에 대해가진 주류적인 태도를 알고 싶다면 이걸 알면 된다고 했다. 즉, 섹스는 삽입하는 의미를 위주로 구성되고 남성이 사정하자마자 끝나며, 여성은 유순하고 욕망하지 않는 대상인 반면남성은 흥분한 호색한이다. 방금 우리가 앞서 묘사한 단어를보라. 성에 대해 이야기할 때 우리가 사용하는 당혹스러운 표현들을 보면, 실제 삶에서 우리가 불안한 방식으로 성을 대하고 있음이 여실히 드러난다.
음담패설을 연구한 학자 중에는 샌타바버라에 있는 우리의 언어학자 랄 지먼이 있다. 그는 사람들이 젠더에 따라 - P304

자신의 몸과 성적 경험을 묘사하기 위하여 성기와 관련된 단어를 쓰는 방식을 분석했다. "결국 우리가 성기에 대해서 말하는 방식은 우리가 섹스와 젠더에 대해 생각하는 방식을 아주 집중적으로 재현합니다." 그는 말했다. "이성애 중심적인 젠더 명명에 대한 연구는 우리 문화가 가지는 가치 중 가장나쁜 부분이 바로 성기에 대해 이야기하는 방식에 반영되어있음을 실제로 보여 줍니다. 남성의 성기는 관통과 삽입을 위해서 존재하는 무기이고, 섹스는 언제나 폭력이고, 여성과 여성의 질은 존재하지 않거나 수동적이고, 그저 남성의 성기를넣기 위해 존재하지요." - P305

여성과 남성의 섹스 토크에 대한 어떤 1994년 보고서가 말해 주는 것처럼 "이성애 관계에 대한 미디어 재현이 보여 주듯이 여성에 대한 남성 지배의 문화는 여성들로 하여금스스로를 남성의 눈을 통해서 바라보도록 한다. 여성들은 여성의 섹슈얼리티와 욕망에 대해서 말할 수 있는 담론을 가지고 있지 않다". - P314

연구팀은 미래에 대한 전망을 담아서 연구를 이렇게 마무리 지었다.

기쁨을 위한 섹스에 대한 담론, 즐거움을 생식과 분리하는 담론, 여성을 적극적으로 욕망하며 성적인 표현을 할 수 있는 주체로 인정하며 발기한 페니스를 중심으로 이루어지지 않는 이야기들이 기존의 권력구조에 도전하고 이에 직면할 수 있다. 상호적인 탐색, 소통, 발견, 서로를 기쁘게 해 주는 새로운 신화가 필요한 시점이다. 삽입은 다가 아니라, 에로틱한 기쁨을 찾는 다양한 가능성 가운데 하나이다. - P317

랄 지먼은 자신의 성기를 스스로 이름 붙이는 행위가 성적인 임파워링을 가능하게 한다는 점을 연구하는 데 전념했다. - P318

11장 그래서…… 천 년 안에는 여성이 영어를 다스리게 될까?

그리고 그 책에서 스펜더는 영어가 남성에 의해서 만들어지고, 남성의 관점만을 반영하기 때문에, 언어를 통해서 여성들이 남성의 관점대로 생각하게끔세뇌된다는 게 유일한 문제라고 주장했다. 따라서 여성이 만들고, 새로이 상상해서 만들어 내는 버전의 영어가 이런 사고방식을 뒤집을 수 있다는 것이다.
스펜더의 논리는 많은 제2물결 페미니스트들이 영어를진보시킬 수 있다고, 그래서 전반적인 성평등으로 나아가게할 수 있다고 믿었던 바로 그 논리였다. 스펜더의 책은 ‘사피어-워프 가설‘이라고 불리는 원리를 일부 반영한 해석을 담고 있다. 20세기 초에 나온 이 가설은 언어가 화자의 관점에영향을 미친다는 점을 설명한다. 이 원리에는 두 가지 버전이있다. 더 많이 받아들여지는 가벼운 버전은 언어가 그저 사고에 ‘영향을 준다‘고 보는 것이고, 다른 하나(스펜더의 이론이 여기들어간다)는 더 강력하게도 언어가 사고를 ‘결정한다‘고 본다. 스펜더의 설명에 따르면, 모국어를 이루는 문법과 어휘가 현실 인식을 내재적으로 결정한다. 만일 언어에 특정한 개념을 묘사할 수 있는 언어가 없다면, 이를 인식할 수 없는 것이다. 그리고 영어 사전과 문법이 남성에 의해 만들어졌으므로, 여성들은 자신의 관점을 중앙에 놓을 수 있는 새로운 언어를 필요로 한다. - P327

‘라디이딘’이라는 단어는 ‘휴일 아닌 휴일‘이라는 뜻인데, 휴일이라고 생각하기 쉽지만 요리하고, 장식하고, 손님을 맞아야 하는 여성에게는 짐이 되는 날을 뜻한다. 이 단어들은 엘긴이 여성이 경험한다고 인식하는 현상을 묘사하기 위해 만든 1800개 단어 가운데 일부일 뿐이다. - P329

데일리, 카푸티, 엘긴, 스펜더가 영어에 대해 가진 생각은 말하는 방식이 그들의 정치학을 바꿀 수 있다는 것이었다. 낙관적인 이론이다. 그러나 랄 지먼은 그렇게 해서 변화가 이루어지는 게 아니라고 지적한다. "언어의 개혁은 언제나 일어날 수 있지만, 문화 변동이라는 맥락에서 이루어집니다." 그는 말했다. "그저 언어학적인 변화를 만들어 낸 다음에 문화의 변화라는 흐름에 올라타도록 할 수는 없어요."
그렇지만 앞서 언급한 여성들은 몇 가지 중요한 지점을 포착해 냈다. 우선 어휘, 문법과 관련된 일에 종사하는 이들이 역사적으로 오직 남성이었다는 간단한 사실 때문에, 공식적인 언어 가이드가 일반적으로 남성 중심성을 띠고 있다는점을 잘 지적했다. (예를 들어서, ‘레즈비언‘이라는 단어가 『옥스퍼드영어 사전에 들어간 해가 겨우 1976년이라는 걸 알고 있는가? 놀랍게도, 그 단어가 사전에 포함될 때, 단어에 대한 예문은 작가인 세실 데이루이스Cecil Day-Lewis가 쓴 이 문장이었다. "나는 절대 진짜 시를 쓸 수 없을 것이다. 여자들은 레즈비언, 병자, 혹은 무언가가 아니고서는 그럴 수 없다.") - P331

"우리가 규범에 맞지 않는 정체성을 존중하려는흐름으로 움직이고 언어도 그렇게 나아갈수록, 반동은 더욱드라마틱할 겁니다." 지먼은 말했다. - P333

"낙관적‘이어야만’ 해요. 그렇게 되게 만들려면." 그는 웃으면서 말했다. "그게 가능하다고 믿어야 해요." - P340


댓글(4)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다락방 2023-09-10 18:59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아니, 여러분 모두 잘 아시다시피, 제가 알라딘에 페이퍼 쓸 때 욕을 정말 자주 하잖아요? 여러분 다 알잖아요, 그쵸? 저... 아이큐 높은 걸까요? ㅋㅋㅋㅋㅋㅋ

그나저나 저는 이 책 오늘 책장에서 꺼내왔는데, 햇살과함께 님 다 읽으신건가요? 꺅 >.<

햇살과함께 2023-09-10 18:53   좋아요 0 | URL
ㅋㅋㅋㅋ 다락방님 며칠 전에 아이큐가 두 자리일지도 모른다고 하시지 않았나요???
물론 저는 다락방님 천재 인정합니다만 ㅋㅋㅋㅋ
오늘 카페에서 끝내고 왔어요~!!!
그 버섯은 어떻게 되었는지 궁금하네요 ㅎ

다락방 2023-09-10 18:59   좋아요 1 | URL
버섯 120 페이지까지 읽었습니다. 껄껄. 이걸 페이퍼로 쓸 수 있을지 모르겠어요. 음.. 이런 걸 보면 역시 아이큐가 두자리 인걸지도.. 흠흠.

햇살과함께 2023-09-10 19:16   좋아요 0 | URL
어떤 내용일지 궁금하네요. 써주세요! 저는 그냥 산책하며 버섯 구경만..
다락방님이 못쓰면 누가 쓰겠어요! (잠자냥님 빼고요^^)
 

흥미진진! 전혀 기대하지 못한 가슴 아픈 스토리!

The only person who wasn‘t happy with it was Miss Katherine. She‘d run out of things needing to be fixed.
She sat at her desk one afternoon, listening to the pitter-patter of the rain on the roof. No water leaked into the classroom, except for the few drops that came from her eyes.
"Onions! Hot sweet onions!" Sam called, out on the street. She ran to him. She wanted to throw her arms around him but couldn‘t bring herself to do it. Instead she hugged Mary Lou‘s neck.
"Is something wrong?" he asked her.
"Oh, Sam," she said. "My heart is breaking."
"I can fix that," said Sam.
She turned to him.
He took hold of both of her hands, and kissed her.
Because of the rain, there was nobody else out on the street. Even if there was, Katherine and Sam wouldn‘t have noticed. They were lost in their own world.
At that moment, however, Hattie Parker stepped out of the general store. They didn‘t see her, but she saw them. She pointed her quivering finger in their direction and whispered, "God will punish you!" - P111

"I always get drunk before a hanging."
"A hanging? Who-"
"It‘s against the law for a Negro to kiss a white woman." - P113

"Well, then you‘ll have to hang me, too," said Katherine.
"Because I kissed him back."
"It ain‘t against the law for you to kiss him," the sheriff ex-plained. "Just for him to kiss you."
"We‘re all equal under the eyes of God," she declared.
The sheriff laughed. "Then if Sam and I are equal, why won‘t you kiss me?" He laughed again. "I‘ll make you a deal. One sweet kiss, and I won‘t hang your boyfriend. I‘ll just runhim out of town."
Miss Katherine jerked her hand free. As she hurried to the door, she heard the sheriff say, "The law will punish Sam.
And God will punish you." - P114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 뉴라이트
- 반격운동의 수동성
- 헤리티지재단의 슈퍼우먼
-> 그들은 명예남성인가. 언행이 일치하지 않는 자아분열적 인간인가. 모순을 느끼지 않는 능력주의 신봉자인가. 마초 페미니스트인가.

- 1980년대 레이건 행정부의 백래시
- ‘가족 친화’ 이데올로기
-> 정권이 바뀔 때마다, 보수정권이 집권할 때마다 겪는 반격들

- 반격의 사절들
- 변절자들
- 변화를 두려워하거나 거부하는 남자들
- 유명 페미니스트의 퇴행? 변절? 노화?: 베티 프리던, 저메인 그리어, 수전 브라운밀러, 에리카 종..

3부 반동의 기원: 전달자, 선동가, 사상가
9장 뉴라이트가 벌이는 원한의 정치

오늘날의 반격에 출생지가 있다면 아마 이곳 뉴라이트 집단 속일 것이다. 바로 여기서 반격은 처음으로 분명한 이데올로기적 의제를 가진 운동으로 꼴을 갖추었기 때문이다. 뉴라이트의 대표 주자들은 여성평등은 여성의 불행을 낳는다는 반격의 핵심 주장을 만들어낸 최초의 인물들이기도 했다. 그리고 이들은 가장 널리 인용되지만서로 모순되는 두 가지 죄, 도덕적 가치보다 물질주의를 더 드높이는(그러니까 여성들을 탐욕스러운 여피로 만드는) 죄와 전통적인 가족 - P362

지원 시스템을 뒤흔드는(그러니까 여성들을 생활 보조금에 기대 사는 엄마들로 전락시키는) 죄를 저질렀다며 페미니즘을 비난한 최초의 집단이기도 했다. 주류에서는 이들의 과열된 비유와 지옥 불의 이미지를 거부했지만 이들의 핵심적인 정치적 메시지는 살아남아서 미디어의 ‘트렌드’로 변질되었다. 미래의 - P363

뉴라이트가 공산주의나 인종이 아니라 페미니즘에 매달렸다는 점은 그 자체로 지난 10년 동안의 여성운동의 힘과 지위를 입증하는 증거였다. 학자인로절린드 폴락 페체스키Rosalind Pollack Petchesky의 말에 따르면 "1970년대 여성해방운동은 보수적인 가치와 이해관계뿐만 아니라, 성 해방개념 때문에 ‘생활 방식‘이 위태로워진 커다란 집단에게 가장 직접적으로 위협을 가하는, 미국에서 가장 역동적인 사회 변화 세력이 되었다." 핵심적인 뉴라이트 집단 모두가 여성운동이 최대의 승리(하나는 1972년에 의회가 남녀평등헌법수정안을 승인한 것이고, 다른하나는 1973년에 미국 대법원이 낙태를 합법화한 것이다)를 거머쥔뒤 2년 내에 활동을 개시했다는 점은 의미심장하다. - P366

헤리티지재단의 연구원인 에드문드 하이슬마이어Edmund Haislmaier는 "페미니즘이 모든 것의 초점이 된 것 같았다"고 회상했다.29) 경제 보수주의자였던 그는 퇴행적인 사회혁명에 대한 동료들의 욕망에공감하지 못했고, 불편하게 거리를 두고 사내의 반페미니즘 광기를지켜보았다.

돌이켜 생각해 보니 그들은 페미니스트들을 필요 이상으로 훨씬더 많이 비난했다. 이혼율을 높인 것은 페미니즘이 아니었다. 이혼율은 여성해방이 시작되기 전부터 이미 높아지고 있었다. 페미니스트들은 분명 참담한 경제정책들과도 아무런 관련이 없었다. 하지만 페미니스트는 대단히 분명한 먹잇감이 되었다. 엘리스밀Ellie Smeal*은 쉽게 알아볼 수 있는 먹잇감이었지만, 초인플레이션과 과세 등급은 그렇지 못했다. - P369

"역설적으로 보수주의는 진보주의가 있어야 의미가 있다." "보수주의자들은 사명감은 있지만, 적대적인 입장을 벗어나는데 어려움이 있다." 하지만 뉴라이트 남성들은 의존이라는 자리에서 자아를 발견했는데, 이는 이중적인 의미에서 모양 빠지는 일이었다. 이들은 먼저 나서기보다는 어떤 일이 터진 뒤에야 반응했을 뿐만 아니라, 여성들에게 적대적인 반응을 했던 것이다. 최소한 존버치협회추종자들은 자신들이 공산주의 모리배들의 전진을 물리친다는 주장이라도 할 수 있었다. 뉴라이트 연설자들은 숙녀들을 막아선다는 난감한 과제를 받아들였던 것이다. - P372

뉴라이트 지도자들의 언어는 여러가지 면에서 KKK만큼이나 공허했다. 이 "생명 친화적"이라는 사람들이 사람이 있는 가족계획 전문 병원에 불을 질렀고, 사형제에 찬성했고, 원자폭탄을 "현명한 하나님이 우리 나라에 주신 경이로운 선물"이라고 불렀다.45) 이 "모성친화적"이라는 사람들이 산전 서비스에서부터 영아 수유 프로그램에이르기까지 아기 엄마를 원조하는 사실상 모든 연방 프로그램에 반대하는 운동을 벌였다. ‘가족의 권리‘라는 기치하에 그 대변인들은 오직 가정에 군림할 수 있는 (그래서 폴웰의 표현에 따르면 "가정을 이끌 천부적인 책임"을 남편이 행사할 수 있도록) 모든 남성의 권리만을 위해 로비를 벌였다. - P374

마슈너는 그 모욕을 잊지는 못했지만, 최소한 개인적인 상처를다독거릴 줄 알았다. 스스로를 ‘여자애‘의 하나로 여기지 않음으로써말이다. 그녀는 스스로를 그 테이블의 반대편에 앉아 여성들에게 ‘명령’을 내리는 명예 남성 중 한 명으로 생각하는 것 같았다. 그녀는 순전히 재능만으로 그곳까지 갔다. "난 한 번도 직업 시장에서 차별받는다는 느낌을 받아 본 적이 없어요. 난 모든 걸 내 능력을 통해서 얻었어요." 그녀는 여성에게는 공적인 영역에서 성공할 기회가 없는 게아니라 능력이 없다는 법칙에서 ‘예외적인 존재였다.
따라서 여성의 권리를 쟁취하기 위한 운동은 "아둔하다"고 그녀는 말한다. 어차피 실력이 있으면 성공하게 되기 때문이다. 대부분의 여성들이 성공하지 못했다면 그건 능력이 되지 않기 때문이다. - P381

뉴라이트 여성들은 어떤 면에서는 반격의 소용돌이에 갇힌 좀 더 진보적인 ‘여피‘ 자매들을 거꾸로 뒤집어 놓은 모습이었다. 주류 직장여성들이 내부적으로 반격이 만들어 낸 자기 의심과 비난에 맞서면서 페미니즘의 원칙을 소리 높여 주장하는 편이었다면, 뉴라이트 여성들은 여성운동의 메시지를 내면화하고 자기 결정과 평등, 선택의 - P396

자유라는 여성운동의 교의를 자신의 사적인 행동에 말없이 녹여 내면서도 반페미니즘 관점을 소리 높여 외치고 있었다. - P397

미국을걱정하는여성모임의 활동가들은 정장을 입고 사무실에 나가 보고를 하고 여성들은 집으로 돌아가야 한다고 주장하는 언론보도 자료를 배포하면서도 절대 모순을 느끼지 않았다. 이들은 개인적인 자유와 성 정치에 대한 공적인 입장을 분리시킴으로써 공식적으로는 페미니즘의 영향력을 개탄하면서도 사적으로는 페미니즘을이용할 수 있었다. 이들이 실제로 ‘모든 걸 가질 수 있었던 건 다른모든 여성들이 자신들과 같은 기회를 누리지 못하게 저지하는 일에 열성적이었기 때문이다. - P397

10장 여자 사람 스미스 씨 워싱턴을 떠나다

뉴라이트 여성들은 열과 성을 다해 머릿수를 채우고 지적 능력을 동원하여 레이건이 집권하는 데 기여하고 난 뒤 1980년 이후 백악관에서 새로운 기회를 얻을 수 있으리라 기대했다. 하지만 로널드 레이건이 당선되면서 여성들은 연방 관청에서 사라지기 시작했다.
판사직의 경우 신임 여성 판사 임명이 카터 시절의 15퍼센트에서 8퍼센트로 감소했다. 상원의 승인이 필요한 여성 지명자의 수 역시 곤두박질쳐서 레이건은 10여 년 만에 처음으로 전임 대통령보다 더 나은 기록을 세우지 못한 첫 대통령이 되었다. 백악관 직원으로 임용된 여성의 수는 1980년 123명에서 1982년 62명으로 반토막이 났다. 사실 62명도 과장된 숫자였다. 레이건 행정부는 3등급 차관보자리 같은 하위직 여성들을 갑자기 "고위 공직 인사"라고 칭함으로써숫자를 부풀렸던 것이다. - P399

고위직을 받아들인 뉴라이트 여성들에게는 일반적으로 직함만 과장되었지 아무런 권한이 없는 자리나 정부의 가장 가혹한 반페미니즘 정책을 실행해야 하는 자리가 주어졌다. - P401

페라로는 회고록에서 "한 여성의 실패는 종종 모든 여성에 대한 판단으로 독해된다"고 적었다. - P415

여성 정치인들은 가족이라는 대의를 위해 여성 문제를 도외시하는 ‘선택’을 함으로써 ‘너는 모든 걸 가질 수 없다‘는 반격의 격언에 또 한 번 굴복했다. 여성들은 교육 기회와 임금 평등, 출산의 자유를 요구하지 않아야만 보육 서비스와 출산휴가를 요청할 수 있었다. 이런 반쪽짜리전략은 불공평할 뿐만 아니라 제대로 먹히지도 않았다. 그해 모든 보육 법안과 출산휴가 법안이 무산되었던 것이다. - P424

1980년대가 저물 무렵, 다수 미국 여성의 분노와 소외를 감지하기 위해서는 과도한 상상까지도 필요하지 않았다. 먼저 레이건 행정부에게 사기당하고, 그 다음에는 1988년 대선에서 완전히 소외되고, 마지막으로 낙태를 제한하는 웹스터 판결 때문에 사기가 땅에 떨어진 여성들의 분노는 사실 국내 여론조사에서 놀라울 정도로 표면화되고 있었다. 양켈로비치의 1989년 한 여론조사에 따르면 다수 여성들은 민주당과 공화당 모두 평균적인 미국 여성과 거리가 멀다고 생각했다. 그렇다면 이들은 누가 자신들과 가깝다고 생각했을까? 다수 여성이 전미여성연맹, 여성운동 지도자들, 그리고 페미니스트 세집단을 언급했다. 이 양켈로비치 조사를 연령대별로 분석해 보니 민주당과 공화당의 미래에 정말로 우울한 결과가 나타났다. 여론조사에 참여한 모든 연령 집단 중에서 이 전통적인 양대 정당과 가장 동일시를 적게 한 집단은 젊은 여성들이었다. 그리고 이들은 페미니스트 집단 및 지도자 들과 가장 많이 동일시한 집단이었다. 22세부터29세 사이의 여성 중에서 공화당이 평균적인 여성들과 가깝다고 믿는 사람은 36퍼센트밖에 되지 않았다. 반면 이 젊은 여성들 중에서 전미여성연맹이 자신들의 필요에 닿아 있다고 말한 사람은 73퍼센트였다. 가장 압도적으로 많은 수가 같은 의견을 표출한 연령 집단은 가장 젊은 16세부터 21세까지였다. 이들은 83퍼센트가 전미여성연맹이 자신들을 대변한다고 믿었다. - P428

11장 반격의 수뇌부, 네오콘에서 네오펨까지

수전은 어째서 아널드와 결혼해야 하는 걸까? 길더에 따르면 여성들이 "이 세상의 수많은 아널드들에게 승부를 걸어야 하는 이유는이들을 선택하고 사랑하고 이들의 아이를 낳음으로써 고군분투하는젊은 싱글 남성들이 시몬처럼 성공한 남성이 될 가능성을 크게 높여줄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니까 수전이 아널드와 결혼해야 하는건 아널드를 위해서라는 것이다. 결국 공주의 ‘문제‘는 왕자의 문제였던 것이다.. - P439

학계에서 블룸 같은 학자들의 기회가 줄어들었다면 이는 페미니즘 연구보다는 대학 내의 우선순위가 금전을 좇는쪽으로 바뀐 탓이 더 컸다. 1980년대에는 대학들이 하나둘 인문학 예산을 감축하고 그 대신 1980년대의 양대 교내 성장 산업인 의대와 경영대에 재정을 퍼부었다. - P447

『미국 정신의 종말』은 학자적인 고전적 암시들로 가득해서 마치 페미니즘 비판이 개인적인 노여움보다는 플라톤을 발판으로 삼고있는 듯한 인상을 준다. 하지만 블룸의 정원에서 너무 무성하게 자란비유들과, 덩굴식물처럼 곳곳을 휘감고 있는 다음절어들과, 고대 그리스 철학자, 루소, 플로베르, 셰익스피어에게서 가져온 숱한 인용구들을 베어 버리고 나면 남는 것은 학문의 황무지뿐이다. 아무런 연구도, 근거도 없고, 심지어 오늘날 남녀의 상황에 대한 블룸의 분석을 뒷받침하기 위해 살아 있는 인간의 인용구를 단 한 개도 넣지 않았다. 그나마 거기에 가장 가까운 것은 식당에서 커플의 대화를 "우연히 들었다"는 내용이 전부다. 학문이 정말로 몰락하고 있다 해도블룸의 연구가 그걸 저지하는 데는 도움이 되지 못할 것이다. - P450

휴렛은 길거리에서 접한 평균적인 여성들과의 이런 유익한 만남을 근거로 페미니즘이 여성들의 뒤통수를 쳤다는 결론을 내린다. "미국의 여성운동은 여성의 문제를 완전한 법적·정치적·경제적 권리를 성취하고, 자신의 몸에 대한 통제권을 쟁취하는 것으로 규정해 왔다." 하지만 대부분의 미국 여성들은 평등, 개인적 자유나 성적인자유 같은 것을 원하지 않는다고 그녀는 단언한다. 그들은 "전통적인 가족 구조를 약화시키는 게 아니라 강화하고 싶어 한다." 그런데 페미니스트들은 모성이 아닌 평등에 집중함으로써 "엄청나게 큰 실수"를 저질렀다. 여성운동은 사실 직장 여성과 그 아이들의 필요를 옹호하는 데 실패함으로써 여성들에게 "시시한 인생"을 안겨 주었다. 페미니즘은 "목욕물과 함께 아기를 내버렸다." - P475

전국적인 전선에서도 진짜 ‘반모성‘ 전사들은 페미니스트가 아니라 뉴라이트 대표, 보수 정치인, 기업 임원들이었다. 이들은 어머니의 권리를 무시하기만 한 게 아니라 공격하기도 했다. 그러니까 결국 의회의 보육 법안과 출산휴가 법안을 20년간 반대하는 데 앞장선 건 글로리아 스타이넘이 아니라 필리스 슐래플리였다. 1988년 가족의료휴가법Family and Medical Leave Act 을 무산시킨 데 가장 많은 힘을 행사한단일 세력은 전미여성연맹이 아니라 상공회의소였다(상공회의소는이 법이 통과될 경우 산업계가 매년 최소 240억 달러의 비용을 치르게 될 것이라는 주장으로 승리를 거머쥐었다.144) 그런데 나중에 미국회계감사원General Accounting Office 은 이 비용을 5억 달러라고 밝혔다). - P480

자기가 직접 쌓은 탑에 흠집을 내는 유명 페미니스트는 프리던만이 아니었다. 잘나가는 베스트셀러로 1970년대에 여성해방운동이 유명세를 타는 데 도움을 주었던 일부 작가들이 과거의 입장을 철회하느라 정신이 없었다. 뉴라이트의 입장에서는 오래된 페미니스트의 이런 회개가 너무 좋아서 믿어지지 않을 정도였다. 신보수주의 성향의 《폴리시리뷰》의 편집장이나 레이건의 보좌관인 디네시 드수자Dinesh D’Souza는 "한때 여성을 위한 기회의 창을 열어 주었던 페미니즘이 거기에 등을 돌렸다"며 고소해했다. 《뉴욕타임스 매거진》이 표지에『두 번째 단계』의 발췌문을 싣고 나자 필리스 슐래플리는 자신의 소식지에서 프리던이 "페미니즘의 관에 또 다른 못을 박았다"고환호했다. - P482

1986년 무렵 반페미니스트 대변인들은 페미니스트 운동가 수전 브라운밀러Susan Brownmiller의 수정주의적 입장도 부각시켰다. 1975년 강간에 대한 기념비적인 책 『우리의 의지에 반해서 Against OurWill』를 쓴 브라운밀러는 이제는 여성운동이 남성과 여성 간의 "심오한 생물학적, 심리학적 차이"를 간과했는지도 모른다고 말하고 있었다. 성폭력의 역사를 꼼꼼하게 기록한 분석서를 저술했던 그녀가 이제는 대대로 이어져 온 여성적인 행동을 아무런 근거도 없이 애매하게 고찰했다. 『여성성 Femininity』은 브라운밀러의 얼굴에 난 털 한 가닥이 "불경한 야심"의 결과인지 혹은 "내 시스템 안에서 잠자던 테스토스테론의 원천"은 아닌지, 그리고 그걸 뽑아야 할지 말아야 할지같은 한심한 주제들을 물고 늘어진다. 두 번째 질문에 대한 답은 뽑는다였다.
1980년대가 진행되는 동안 이 1970년대 유명 페미니스트들은 점점 퇴행적인 먹잇감을 내놓곤 했다. - P484

어째서 프리던은 자신이 그렇게 큰 공을 들여 만들고 이끌었던 운동을 짓뭉개게 된 걸까? 어쩌면 반페미니즘 반격이 진행되던 와중에는 꽁무니를 빼고 달아나거나 상대방을 물어뜯으려는 경향이 불가피한지도 모르겠다. 페미니스트 학자 주디스 스테이시 Judith Stacey 가말했듯 "’포스트페미니즘적‘이고 우익이 득세하는 1980년대의 분위기에서 많은 두 번째 물결 페미니스트들에게 노화는 정신적 외상을 초래하는 경험이었고, 우리에겐 우리의 고난을 떠안길 편리한 희생양이 없었다. 어쩌면 변절자들이 가족 친화적인 새로운 페미니즘안에서 거칠고 조야한 주장을 펼친 건 이 때문인지 모른다." 하지만 프리던의 사례에서는 한 가지 가능성이 더 있다. 『두 번째 단계』를 잘 읽어 보면 "급진 페미니스트들"이 저지른 큰 실수는 그녀의 명령에 따르지 않았던 것임을 알 수 있다. 프리던은 자신의 책에서 설명하는, 지도자가 없고 협력적이며 "관계적인" 조직의 "베타 스타일"에 자신은 "쉽게 공감했다"고 말하는 것인지도 모른다. 하지만 그녀의 책에는 분명 자신이 원하는 만큼 오랫동안 알파 늑대 행세를 하지 못해서 괴롭고 화가 난, 실패한 지도자의 울화가 간간이 묻어난다. - P486

그런데 사실 대중들에게 이런 주장을 설파하는 책들의 토대가 되는 이론들은 페미니즘 연구에서 발아한 것들이었다. 1970년대 말 독자적인 ‘여성 문화’와 여성의 특수한 ‘차이’를 강조하는 새로운 ‘관계적relational‘ 페미니즘 학파가 나타났다. - P490

페미니즘 학자 대부분은 원래 남성과 여성의 차이를 예찬하는게 아니라 그 근원을 파헤칠 생각이었다. 이들은 남성의 행동을 표준으로, 여성의 행동을 변칙으로 규정하는 오래된 관습에 맞서고 싶었다. - P491

그녀는 평등이 오히려 여성의 특수한 필요를 충족시키지 못하기 때문에 여성을 차별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고말한다. 여성에게 ‘특별하다’는 표현을 쓰는 순간 여성의 한계를 정해버리는 우를 쉽게 범하게 된다. ‘특별하다’는 건 우월하다는 말처럼 들릴 수도 있지만, 장애가 있다는 것을 에둘러서 일컫는 표현이기도 하다. - P492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 문법적 젠더 vs ‘자연’적 젠더
- 단수 they 사용
- 언어의 변화
- 캣콜링: 권력에 대한 문제
- 딸이 아니라 아들에게 공감을 가르치자

5장 당신의 문법을 고치려 드는 사람들을 당황스럽게 하는 법

그렇지만 어떤 사람의 문법을 절대 고치지 않는 유형의사람이 있다. 바로 언어학자다. 직관적으로 틀린 말 같게 느껴질지 모르지만, 언어학자들은 언어가 어떻게 작동해야‘ 하는지에는 별 관심이 없다. 그들은 그것이 어떻게 작동하고 있는지‘에 관심이 있다(캐머런은 사람들의 문법을 감시하는 건 ‘멍청한 짓’이라고 한다). 사람들은 규범 문법-국어 선생님이 배우라고 하는 그것이 막강하고, 영원히 작용하는, 그러니까 중력이나 - P167

해와 같이 변치 않는 힘이라고 생각한다. 우리는 문법이 인간의 발명품이며, 그렇기 때문에 꾸준히 진화한다는 사실을 잊어버린다. 오늘날 ‘좋은 문법‘이라고 간주되는 것들은 50년 전에는 절대로 용납되지 않았다. 물론 반대의 경우도 있다. 에인트ain‘t를 떠올려 보자. 이 말은 윈스턴 처칠이 무척 즐겨 쓴 말이며 상류층 영국인들이 사용한 것이었다. 그리고 21세기 초영어의 역사에서 가장 낙인찍힌 영문법으로 전락한다. - P168

오늘날 스페인어와 불어가 그러하듯 모든 단어를 남성혹은 여성으로 나누는 것은 영어권 화자에게 너무 복잡하게보일 수 있지만, 우리의 자연적 젠더 시스템도 이게 없는 언어가 보기엔 마찬가지로 복잡하다. 헝가리어, 핀란드어, 한국어, - P172

스와힐리어, 터키어는 ‘그’, ‘그녀’와 같은 젠더화된 대명사가없는 몇 안 되는 언어이다. 젠더를 모르고 어떻게 누굴 가리키는지 알 수 있느냐고? 그저 맥락의 문제이다. 하지만 어떤언어는 더 창의적인 젠더 중립적 해결 방안을 뽐내기도 한다. 북미의 토착 알곤킨어에는 젠더를 지칭하지 않는 삼인칭대명사가 두 개 있다. 이는 어떤 사람이 대화의 중심에 더 와 있느냐에 따라서 결정된다. 이 언어에서 대명사는 어떤 주제로 이야기를 하는지에 따라서 결정된다. ‘오브비에이션obviation‘이라고 불리는 이 체계는 엄청나게 똑똑한 것 같다. - P173

문법 젠더 이론이 발전하면서, 그림과 렙시우스는 돌대가리였음이 밝혀졌다. 영어가 계속 잘나가고 있는 걸 보면 일단 알 수 있다(오, 19세기 프로이센 남자의 자신감이란). 그리고 모든사람이 ‘자연적‘ 젠더가 언어에 반영되어야 하는지를 두고 그들과 같은 극단적인 관점을 공유하진 않는다. 많은 학자들은사실 연결도, ‘누수‘도 없다고 결론 내렸다. 하지만 그림과 렙시우스가 맞았던 게 하나 있다. 문법적 젠더와 화자가 여성혹은 남성에 대해 보이는 태도가 늘 별개는 아니라는 점이다.
이 태도는 객관적이지도 본질적으로 진실되지도 않았다. - P175

1995년, 유나이티드 에어라인은 기내지에 ‘보잉 뷰티‘라는 제목의 기사를 실었는데, 이 기사 속 조종사는 보잉 727을 다음과 같이 표현했다. "나의 아내 조애나는 오늘 경쟁에 나섰다. 우리의 31년 결혼 생활 동안 ‘다른 여자‘가 있다는 사실을 아내는 알고 있었다. (…) 물론 나는 지금 비행기에 대해서말하는 것이다. (…) 하지만 그 비행기가 어떤 비행기냐." 남자는 코팅이 싹 된 자기 비행기를 자랑한다. "이 여자 예쁘지 않아?" IT업계 남자는 당신의 노트북이 잘 굴러가지 않는다면책상 앞에 와서 이렇게 말할 것이다. "그녀를 열어 봐!" 2011년 언어학자들은 《대중문화저널Journal of Popular Culture》에서 허리케인 카트리나가 덮쳤을 당시 팔린 티셔츠에 담긴 성차별주의를 조사했다. 문구는 다음과 같았다. "카트리나, 이 썅년!", "카트리나는 나를 날리고, 삼키고, 잡아먹었다. 걸레 같으니", "카트리나는 나를 삼킬 수 있다." - P180

미국에서 이 문제는 대명사와 관련이 많다. 트랜스젠더와 논바이너리 정체성이 더욱 가시화되면서, "선호하는 대명사가 더 많이 논의되고 있다. 여성이나 남성 정체성을 갖지않은 많은 사람들이 단수의 ‘그들they‘을 사용한다. 그러나 모 - P186

두가 여기 동참한 건 아니다. ‘그들‘을 싫어하는 사람들은 이말이 복수로 읽힐 수 있다는 이유로 저항감을 표한다. 그렇게하면 문법적으로 올바르지 않다는 것이다.
하지만 이 논리에는 두 가지 결함이 있다. 우선 복수형대명사를 통해서 단수를 의미하는 방식은 영어권 화자들에게 새로운 방법이 아니다. 몇백 년 전, 이인칭대명사인 유you는 오직 복수에만 쓰였다. 단수형 다우thou는 따로 있었다(살인하지 마라Thou shalt not kill‘, ‘거짓말하지 마라Thou shalt not lit‘). 결국 ‘유‘는이전의 단수형 이인칭을 완전히 밀어내면서 단수로서의 의미까지 갖게 되었다. 그러니 누가 ‘그들‘에도 같은 변화가 일어나지 못할 거라고 말할 수 있을까? - P487

이런 대명사 게임으로 넘어가고 싶지만 여전히 약간 혼란스러운 이들에게, 랄 지먼은 엄청난 팁을 주었다. 사람들의대명사를 그들의 이름처럼 여기는 것이다. 다른 사람들을 보기만 해서는 이름을 알 수가 없다. 만일 이름을 알고 싶다면, 물어보아야 한다. 그리고 이름에 대해서 논쟁한다는 건 이상하고 무례해 보인다. 모두가 자신의 고유한 이름을 가지고 있다. 기억하거나 발음하기 어렵기는 하겠지만, 이것을 배우고자 노력하는 건 기본적인 예의이다. ("이름이 크리센서멈이라고요? 너무 길어서 싫은데. 그냥 밥이라고 부를게요." 이게 말도 안 되는 소리이듯 그들의 것이 아닌 대명사를 사용해서 사람을 부르는 일도 똑같다.)사람들은 그들이 원하는 대로 이름을 바꿀 수 있다. 처음에는새 이름이 어려울 수 있다. 그건 괜찮다. 하지만 사람들은 받아들여야 한다. 그렇지 않다면 마찬가지로 이상하고 무례할것이다. 실제로, 지금으로부터 20년 뒤엔 이름과 대명사를 소개하는 게 새로운 규범이 될 수 있다. "안녕, 나는 어맨다고‘그녀’라고 부르면 돼. 넌?", "나는 샘이고 ‘그들‘이야. 만나서반가워." 이게 그렇게 펄쩍 뛸 일인가? - P190

언어학자들은 편협한 사람들이 부패했을 뿐 아니라 멍청하며, 그 둘이 연결되어 있다는 개념이 전제되어 있기 때문이라고 한다. "이는 지적으로, 문화적으로, 또한 도덕적으로 우월하다는 감정을 느끼도록 허용해 준다." 캐머런은 이렇게 설명했다. 이는 만족스러운 감정이지만, 문법과 도덕은 사실상 별상관이 없다. 그리고 적들의 형편없는 문법을 지적하는 일은 당신이 더 나은 사람이라는 걸 입증해 주지 못한다. 이 말은당신이 교육받을 기회를 더 가졌음을 의미하고, 더 많은 시간을 표준 영어를 배우는 데 들였다는 의미를 지닌다. 하지만 누군가가 하는 말의 도덕적 중요성은 내용에 있지 문법에 있지는 않다. 캐머런이 말하기로, "히틀러가 문법적 일관성을지켰다고 해서 덜 파시스트인 건 아니었다." - P194

단수로서의 ‘그들‘부터 트위터 문법충, 그리고 프랑스의 아카데미프랑세즈에 이르기까지 문법을 지적하는 이들에게는 공통점이 있다. 정치적 신념이 무엇이든 간에, 발화에서일어나는 변화를 교정하거나 멈추고자 하는 깊은 열망이 있다는 것이다. 모든 사람에게 이는 실제로 존재한다. 언어가변화하면, 삶에서 어떤 것이 변화할 때와 마찬가지로, 사람들은 어쩔 수 없이 귀찮아진다. 언어의 변화는 더 큰 사회적 변화의 신호이기 때문에 이는 사람들을 불안하게 만든다. 그래서 사십 대 이상의 사람들이 십 대의 은어에 그토록 치를 떠는 것이다. 새 세대의 등장을 의미하기 때문이다. 어머니의친구 중 하나인 오십대 후반 남성은 그가 요즘 은어들을 얼마나 ‘싫어하는지‘ 말해 주었다. 그 이유는 "영어의 발전에 도움이 되지 않기 때문이었다. 이 말이 재미있는 까닭은 40년전 그의 부모님 역시 ‘쿨cool‘이나 ‘버머bummer‘, ‘프리킹 아웃freaking out‘과 같은 은어들을 두고 똑같은 반응을 보였기 때문이다. 이 말들은 이제 적합한 영어로서 자리를 꿰찼지만 처음에는 똑같이 짜증나는 십 대 은어로 출발했다. - P196

6장 캣콜링 하는 놈을 혼란스럽게 만들기: 그리고 가부장제를 언어로 깨부수기

그 남자는 나와 결혼을 하고 싶었던 것도 내 기분을 좋게해 주고 싶었던 것도 아니다. 그가 원한 건 내가 자기 말을 듣고 그저 나에 대한 통제권을 쥐었다고 생각하는 거였다. 단몇 초라도 말이다. 캣콜링은 섹스에 대한 문제가 아니라 권력에 대한 문제다. - P202

2017년 코미디언인 피터 화이트는 이런 ‘칭찬‘이 정신 나갔다는 사실을 간결하게 정리했다. "내 생각에는 모든 남성에게 이런 룰이 적용되어야 해요. 남자라면, 감옥에서 남자에게 듣고 싶지 않은 어떤 말도 여자에게 하지 마라." - P211

길거리 성희롱이 기분을 잡치게 하는 가장 기본적인 이유는 남성 동료가 여성 동료를 ‘자기‘라고 부를 때 기분이 더러운 이유와 같다. 남성이 남성을 만지지 않을 방식으로 여성을 만질 때 느껴지는 기분과도 같다(사람 많은 바에서 옆을 지나쳐갈 때 엉덩이에 손을 댄다든지 하는 식으로). 기저에 깔린 문제는 남성이 여성의 몸에 대해서 자동으로 권리를 가지고 있다고 여기는 그 가정에 있다. 이는 사회적 통제의 현시이며, 여성들로 하여금 남성이 소유한 세상에 침입했다는 기분을 느끼게하고, 따라서 사생활을 가질 권리가 없다고 여기게끔 한다. - P215

서 비롯된 양 취급하곤 한다. 우리는 여성들이 일터에서, 관계 속에서, 혹은 그저 기차에서 집으로 걸어오면서 침묵당한다고 느낀다면, 목소리를 찾는 건 너의 문제라고, 너 혼자결할 문제라고 여성들을 가르친다. 2017년 상원에서 미치 매코널이 엘리자베스 워런을 침묵시켰을 때 ‘그럼에도 불구하고 계속‘ 워런이 목소리를 냈듯이 하라는 것이다. 소셜미디어에서 공개적으로 말하고, 조직을 만들고, 길을 점거하고, 가해자에게 "싫어"라고 말하고. - P219

나는 잠시, 성적 동의에 대해서 여성에게 "싫어"라고 말하라고 가르치고 남성들에게 "싫어"를 알아들으라고 가르치는 방식이 왜 잘못되었는가를 언어학적으로 비판하는 시간을 갖고 싶다. 실제 상황에서 거부는 ‘싫어‘라는 단어를 포함하지 않는 방식으로, 보다 사회적으로 받아들여지는 방식으로 이루어진다는 분석이 존재한다. 실제로는 ‘싫어‘가 아니라, 머뭇거림+완곡어법+미안함의 표현+문화적으로 수용되는 이유로 구성되는 것이다. - P219

그런 세상을 얻을 수 있으려면 여성들에게 위해로부터 자신을 어떻게 보호해야 하는지 가르칠 게 아니라 남성을, 이상적으로는 굉장히 이른 시기부터 가르치는 데 달렸다. 세상이 전부 그들의 것이 아니라는 걸 가르쳐야 한다. 남자들이어린아이일 때, 양육자이자 선생님으로서 우리는 남성성에대한 문화적 상상을 깨부술 필요가 있다. 남성이 여성에게 공감해도 괜찮다. 다른 남성이 언어로나 다른 방법으로 여성을쓰러뜨리려 할 때 남성이 여성에게 공감하고 동조하고 지지해도 괜찮고, 정말 권장돼야 한다. "이런 원칙을 형제애보다중요하게 만들어야 한다." 캐머런이 말한 대로다. 그리고 남성이 아닌 사람을 세상의 침입자처럼 대하는 건 괜찮지 않은 일이어야 한다. - P222

내가 생각할 때에는, 적절하지 않게 말하는 게 언어로 할 수 있는 가장 페미니스트적인 행위 같기도 하다. - P224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 보컬 프라이: 유투브에서 영상 찾아봄. 카페 여성 종업원의 목소리, 말투 비난하는 남자..
- 레이코프의 여성의 언어 목록
- 여성에 대한 문화적 기대
- ‘라이크’의 용법 예시
- 여성의 업토크: ‘보스’ 같지도 ‘쌍년’ 같지도 않게 보이려는.. 말 하기도 힘들 여성들이여!
- 여성이 비난받는 발화의 특징은 내용보다 발화자와 관계 있음. 결국 누가 말하느냐에 따라 해석이 달라짐.

계속 언급되는 ’데버라 캐머런‘ 낯익다 했는데 <페미니즘> 저자네!

4장 여성들은 영어를 망치지 않았다 - 그들은, 그니까, 영어를 발명했다

대체 여성들만 한다는 이 현상이 뭔지 짐작이 가시나? 바로 ‘보컬 프라이vocal try‘, ‘갈라지는 음색‘이라고도 불리는 현상이다. 아마 들어 보았거나 본인도 하고 있을 수 있다. 보컬프라이는 탁하고 낮은 음색의 목소리로 문장 끝에서 말소리가 잦아들 때 많이 나타난다. 화자들이 성대를 누르고 공기의흐름을 줄이게 되면 후두부의 진동이 일어나면서 목소리가갈라지게 된다. 녹슨 문 혹은 멕시코 악기인 귀로의 거슬리는소리 같기도 하다. (당시 진행자들은 보컬 프라이에 대해 말하면서 ‘밸리 걸‘이나 킴 카다시안의 목소리를 예시로 들었다. 사실상 이 현상은 모든 젠더와 지역에서 나타나지만 통상 ‘밸리 걸 말하기‘라고 불리고 있다. 여기에 대해서는 다시 다루어 보겠다.) - P138

레이코프의 1975년 책 『언어와 여성의 자리』가 이룬 공헌 중에 가장 잘 알려진 것은 ‘여성의 발화‘로 관찰되는 목록을 만들었다는 사실이다. 이는 이전에 오토 예스페르센이 ‘여성‘ 장을 썼던 데 대한 페미니스트 비슷한 관점에서의 비틀기라고 할 수 있다. 레이코프는 숙녀들의언어 목록을 다음과 같이 작성한다. 과도하게 사과하는 경향, ‘속 빈’ 형용사("이 초콜릿 무스 엄청나", 무지막지하게 정중한 태도(이렇게 한다면 혹시 실례가 될까요), 강한 강조(나 이 쇼를 완전 사랑해‘), 간접적 요구(소포 좀 가져다줄래?‘ 대신 ‘소포가 아직 아래층에있는 거 같아‘), 문법의 과잉 정정(나랑 너가‘ 대신 ‘나와 네가), 헤징 - P141

(‘아니’, ‘있지‘), 부가의문문(‘영화 좋았다, 그치?), 그리고 욕설의 회피(‘이런 씨발‘ 대신 ‘맙소사‘).
레이코프는 여성들이 남성보다 이런 언어적 특질을 더 활용하는 이유가 여성들은 공손하고 불확실한 존재로 자신을 드러내야 한다는 문화적 기대가 있으며 이에 맞춰 사회화됐기 때문이라고 주장한다. 레이코프의 주장에서 좋은 점은 언어와 사회적 권력의 관계에 전례 없던 초점을 맞췄다는 데 있고, 발화가 젠더 스테레오타입을 영속화할 수 있다는 발견에이르도록 길을 밝혀 주었다는 데 있다. 이전에는 어떤 언어학자도 사람들이 사용하는 어조나 질문의 유형이 발화자의 젠더에 대한 메시지를 주며, 발화자에게 존중과 권위에 대한 접근을 허락하거나 막는다고 논한 적이 없었다. 그러나 레이코프가 틀린 점은, 여성들이 남성과 동등해지고자 한다면 남성의 발화 방식대로 순응해야 한다고 제안한 데 있다. 레이코프에 따르면, 연약함은 여성적인 것과 강하게 연합된다. 언어적인 차원이 아니라 전반적으로 그러하다. 그렇기 때문에 여성들이 다른 방식으로 인식되고 싶다면, 여성적인 행동으로 조건화된 것으로부터 분리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이 말은 앞서 언급한, 여성을 불안정하게 들리게끔 만든다고 레이코프가 주장한 특질들을 하나도 발화하지 않도록 노력해야 함을 뜻한다. 40년 뒤 광고와 기사가 떠들게 되는 내용처럼 말이다. - P142

요약해 보자면, 21세기의 첫 20년 동안, 여성들은 더 낮은 음역을 썼고, 지배적인 태도와 지루함을 더 많이 드러냈으며, 이 두 가지는 중년 남성들이 여성들에게서 보고 싶지 않은 어떤 것이었다. 밥 가필드가 그렇게 보컬 프라이를 싫어한까닭을 설명해 주는 게 아닐지? - P145

다시에 따르면, ‘라이크‘는 여섯 가지 두드러진 기능을한다. 영어에서 가장 오래된 유형은 형용사 ‘라이크(같다)’와동사 ‘라이크(좋아하다)‘가 있다. ‘네 수트가 마음에 들어, 제임스 본드 같아 보이네l like your suit, It makes you look like James Bond"라는 문장에서, 첫 번째 ‘라이크‘는 동사이고 두 번째는 형용사이다. 가장 심술궂은 영어권 화자들도 이 두 가지엔 이견이 - P146

없다. 오늘날 이 두 ‘라이크’는 완전히 똑같이 들리기 때문에 대다수 사람들은 두 단어가 별개의 역사를 가졌다는 생각을하지 못한다. 그들은 동음이의어다. 마치 시계를 뜻하는 ‘워치watch‘와 보다를 뜻하는 ‘워치watch‘처럼 말이다. 옥스퍼드영어 사전에선 동사 ‘라이크‘가 고대 영어 ‘리시안lician‘에서왔고, 형용사 ‘라이크‘는 고대 영어 ‘리치lich‘에서 왔다고 한다. 두 가지가 지난 800년간 어떤 지점에서 합류하면서 우리에게익숙해지게 되었다. - P147

레이코프는 권위를 드러내는 소통에서 여성들이의문문 비슷한 억양을 사용하는 이유가 그렇게 해야 한다고스스로 훈련됐기 때문이라고 본다. 일부러 그러거나 무의식적으로 그러거나, 업토크를 통해서 ‘보스‘ 같지도 ‘썅년‘ 같지도 않게 보이려는 것이다. 레이코프의 설명에 따르면, 업토크 - P150

는 여성들로 하여금 ‘여자답지 않게 들린다고 공격당할 여지를 줄이면서 자신감을 드러내게 한다. 나는 말을 할 때, 확정적인 문장의 어조를 완화하기 위해서 업토크를 사용하며, 특히 약간 논쟁적인 주제에서 그렇게 한다. 그게 과연 덜 썅년같아 보이는 효과를 줄 거라고는 생각하지 않는다. 하지만 다른 이들의 대답에 조금 더 개방적으로 보이면서도 자신감을 표명하게 하기는 한다. 그렇게 나쁜 기능은 아니지? - P151

그렇다면 여성들은 왜 그렇게 업토크, 보컬 프라이, ‘라이크‘, 기타 헤징으로 비난을 받을까? 언어학자들은 이러한 발화 특징이 내용보다는 발화자와 관계가 있는 것으로 받아들여진다고 말한다. 언어학에 대해서 이러쿵저러쿵하는 평가는 발화자에 대해서 우리가 느끼는 바를 더 잘 보여 준다는 것이다. - P153

여성과 다른 사회적으로 억압받은 이들이 언어를 통해서 힘을 얻는 방식은 연결되어 있다. 주변화된 집단이 언어를 창의적으로 사용하여 스스로를 일으킨 역사는 길다. 그리고그들은 이에 무척 능하다. 왜냐하면 그들이 멋진 새 은어, 발음, 억양에 대해 누구에게 공을 돌릴지 알든 모르든, 세계 나머지 지역도 예외 없이 그들처럼 말하게 되기 때문이다. - P159

언어학의 미래를 비판하는 대신 그 흐름의 일부가 되는 간단한 방법이 있다. 새로운 경향을 앞두고 젠체하고 변덕스럽게 구는 대신에, 호기심을 가지고 열광해 보는 것이다. 이런 언어 습관을 이유로 여성이나 누군가(심지어 자기 자신)를 비난하고 싶은 충동이 든다면, 언어학자처럼 생각하기를 기억하고, 체계적인 발화 패턴이란 멍청하거나 아무 생각 없이 나타나지 않는다는 걸 상기하자. - P160

데버라 캐머런이 말했다. "젊은 여성들이 로펌과 엔지니어링 회사를 운영하는 남성들의 언어학적 선호, 말하자면 편견에 길들여지도록 가르치는 건 가부장제에 복무하는 일이다." 이는 성차별적인 태도에 대항하게 하는 게 아니라 여성적 말하기가 문제가 된다는 생각을 수용하게 한다. 캐머런은이렇게 말을 잇는다. "페미니즘의 일은 분명 성차별적 태도에 도전하는 것이며 편견에 맞추는 게 아니라 맞서는 것이다." - P162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